남쪽의 목지국 중심의 마한과는 다른 북마한 북마한(北馬韓) | 잃어 버린 마한 2008.09.26 10:40 먼 발치 매운 눈 남쪽의 목지국 중심의 마한과는 다른 북마한 1931년 일본 학자인 고이즈미 아키오가 조사한 평양 남정리 116호 낙랑고분의 발굴 현장 모습. 북마한은 과연 실제하였던 역사 일까? 그렇다면 그 위치는 어디였으며, 주체는 누구였을까? 한때 .. 考古學 2009.03.29
마한, 예맥은 고구려 복속 후에도 5부와는 달리 독자적인 세력일 수도 고구려 속의 마한 | 잃어 버린 마한 2008.10.01 09:24 먼 발치 매운 눈 마한에 대한 가장 일반적인 설명으로는, 경기도에서 전라남도에 이르는 서해안 일대를 장악하다가 백제의 건국에 밀려 남하한, 고대 부족국가 연맹체이다. 그러나 삼국유사에는 "마한은 고구려"란 기록이 있을 뿐 아니라, 또 한편으로.. 考古學 2009.03.29
국호 '마한'은 '말한'의 이두표기 국호 '마한'은 '말한'의 이두표기 영암 내동리 출토 옹관 단군조선은 삼경을 두고 그중 "펴라" 지금의 평양에 "말한"을 두었음은 앞에 설명했다. 후에 삼조선으로 갈리면서 말한은 "말조선"의 신한이 되고 국호를 원래 왕호로 쓰던 "말한"이라하고 이두표기로 마한이라 했다. 그리고 왕호는 "신한"의 이.. 考古學 2009.03.29
고조선의 후예들에게 관대했던 마한 고조선의 후예들에게 관대했던 마한 | 잃어 버린 마한 2008.09.23 10:24 먼 발치 매운 눈 마한, 진한·변한에게 땅을 나눠 살게 해줘 백제가 서기 475년까지 왕성으로 사용했다는 하남위례성은 한강 이남이 아니라 대동강 남쪽지역에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한강이남에서 하남위례성에 관련된 어떤 흔적도 .. 考古學 2009.03.29
마한의 수수께끼 ㆍ백제로부터 벗어날 수 없었던 이들의 역사 마한의 수수께끼 ㆍ백제로부터 벗어날 수 없었던 이들의 역사 “마한의 시작은 BC 3세기 무렵이다. 영산강 유역에서 백제와는 전혀 다른 정치체를 유지하며 AD 6세기까지 존재했다.” 이것이 이른바 최근 대두되고 있는 마한론의 실체이다. 나주 복암리 등 영산강 유역에서 나타나는 주구토광묘(도랑을.. 考古學 2009.03.29
고대 한일 관계의 진실은 고대 한일 관계의 진실은 나주 반남고분군 1917년 12월, 조선총독부박물관 고적조사위원인 야쓰이 세이이치(谷井濟一)가 영산강 유역, 나주 반남면의 옛 무덤들을 발굴 조사했다. 그는 이 일대의 고분 31기에 번호를 붙이고, 짤막한 보고문 10여 줄을 남겼다. “그 매장법과 관련 유물로 보건대 아마 왜인.. 考古學 2009.03.29
마한의 고도 반남성(潘南城, 가칭), 전설 속에서 현실로 마한의 고도 반남성(潘南城, 가칭), 전설 속에서 현실로 무수히 많은 반남의 고분군 들의 주인은 과연 누구였을까? 어렸을 적 말무덤 또는 조산이라고 불리었던 그곳에서 국보급 금동관과 금동신발이 출토되었다. 역사적 상식으로도 이곳에선 왕이 주거하였으며, 수십 기의 분묘가 있다는 것은 오랜 .. 考古學 2009.03.29
마한이 무너진 까닭 마한이 무너진 까닭 ▶ 기존 통설에 대한 비판 먼저 마한시대에 만들어진 유물을 살펴보자. “지난 97년 광주 광산구 신창동 초기 철기시대 저습지 유적에서 발굴된 유물 중에는 2천여년 전 마차의 부속품으로 추정되는 목제 수레바퀴가 포함(<연합뉴스>의 서기 2003년 1월 10일자 기사인「광주 신창.. 考古學 2009.03.29
호남 대형고분의 비밀 호남 대형고분의 비밀 안동권씨 선산이었던 나주 복암리 고분군의 발굴되기 전 모습 대형고분의 의미 직경 30-50m에 달하는 대형고분들은 성곽과 함께 고대국가를 상징하는 중요한 고고학 자료이다. 영산강유역을 중심으로한 호남지역에는 당시 백제 중심지역과는 전혀 다른 대형고분들이 밀집되어 .. 考古學 2009.03.29
마한에서 일본으로 간 농업및 철기문화 마한에서 일본으로 간 농업및 철기문화 영산강 유역의 마한 지역은 일본 농경의 시작인 죠몬과 야요이 문화를 이끌어 일본 문화가 시작될 수 있도록 했다. 일본과 마한 지역의 관계는 이후 백제와 일본 왕실의 관계까지 이어진다. 일본고대의 ‘야요이 시대’(BC3~AD3)를 전후하여 벼농사와 거석, 청동.. 考古學 2009.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