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도(蘇塗)란 무엇인가? 소도(蘇塗)란 무엇인가? 마을의 동구에 서있는 솟대, 강릉시 강문동 삼한시대 제의가 행해지던 곳. <후한서>, <삼국지>, <진서>, <통전> 등에 이에 대한 기록이 전한다. 그 중 가장 자세한 기록인 <삼국지>위서 한전에서는 소도에 대해 “귀신을 믿으므로 국읍에서는 각기 한 사람을 .. 考古學 2009.03.29
馬韓-目支國의 위치비정 羅州地域 古代文化의 特性 -潘南面 古墳群과 目支國- 崔 夢 龍 (서울대 박물관장) 1. 머리말 2. 馬韓-目支國의 위치비정 3. 考古學的 側面에서 본 馬韓-目支國 4. 맺음말 1. 머리말 羅州 潘南面 德山里, 大安里, 新村里 일대에는 각각 史蹟 76, 77, 78호로 지정된 고분군이 존재한다. 이들 고분들은 해방전 谷.. 考古學 2009.03.29
마한의 언어생활은? 마한의 종족 마한의 언어생활은? | 잃어 버린 마한 2007.10.07 11:42 먼 발치 매운 눈 공개 통하는 블로그 비공개 http://blog.daum.net/ysriver21/3147478 마한의 언어는 어땠을까 고대 우리의 언어생활에 대한 확증적인 자료나 기술된 내용은 현재까지 알려진 것이 없다. 중국의 진나라 학자 진수가 편찬한 삼국지에 단편적으로 .. 考古學 2009.03.29
54개 마한 제국(諸國)들 위치 54개 마한 제국(諸國)들 위치 | 잃어 버린 마한 2009.03.03 11:19 먼 발치 매운 눈 www://blog.daum.net/ysriver21/6043749 대방에서 남쪽으로 위치한 마한 소국들 <후한서>에는 마한을 이루는 나라들이 54개인 것으로 나와 있지만 <삼국지>한전에는 55개국으로 기재되어 있다. 이는 막로국(莫盧國)이라는 같은 이.. 考古學 2009.03.29
馬韓論의 實體와 問題點 馬韓論의 實體와 問題點 최 성 락 (목포대학교 박물관장) 1. 머리말 2. 마한에 대한 문헌사의 연구성과 3. 마한연구와 고고학 4. 마한연구의 문제점과 전망 5. 맺음말 1. 머리말 최근 삼한, 특히 마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데 삼한은 고고학적으로 철기시대에 해당한다. 필자의 연구대상인 영산강.. 考古學 2009.03.29
제1대 시조 온조왕 <始祖 溫祚王 B.C18~28 재위기간 45년> 삼국사기 백제본기 제1대 시조 온조왕 <始祖 溫祚王 B.C18~28 재위기간 45년> ○ 시조 온조왕의 아버지는 우태이니, 북부여왕 해부루의 서손이었다. 어머니는 소서노이니 졸본 사람 연타발의 딸이다. 그녀가 처음 우태에게 시집와서 두 아들을 낳았다. 첫째는 비류, 둘째는 온조였다. 소서노는 우태가.. 考古學 2009.03.29
마한 (馬韓) 마한 (馬韓) 마한은 두형태로 크게 나눌수있다. 왕금조선때의 제후국의 마한은 한반도 전체가 마한이였으나 진조선이 무너지고 해모수에의해 북부여가 들어선이후의 마한은 독자적인 세력을 유지하면서 기자조선의 유민이 경상도 지방에 이주 해오면서 진한과 변한이 마한왕을 대국으로 하면서 독.. 考古學 2009.03.29
3가지 악재가 겹친 풍납토성 파괴 <3가지 악재가 겹친 풍납토성 파괴> 김태식기자 = 지난 13일 오전에 일어난 풍납토성 문화유적 발굴현장 파괴는 문화재 발굴로 인한 재산권 침해를 우려한 재건축아파트 조합원들이발굴과 보존여부에 대한 결정이 채 끝나기도 전에 굴착기로 밀어버렸다는 점에서 충격적인 사건으로 기록됐다. 문.. 考古學 2009.03.28
박순발/문화도 국가경쟁력이다 [시론]박순발/문화도 국가경쟁력이다 역사는 반드시 그 깊이로 평가되진 않지만 ‘샘이 깊은 물’이나 ‘뿌리 깊은 나무’가 선망되듯 유구한 역사는 분명 긍지가 된다. 반만년 역사의 깊이는 우리에게 정신적 우월감의 원천이었으며 무한경쟁의 지구촌시대에 세계를 향해 내놓을 수 있는 든든한 밑.. 考古學 2009.03.28
'풍납토성 지킴이' 이형구교수의 20년 외로운 싸움 '풍납토성 지킴이' 이형구교수의 20년 외로운 싸움 어쩌면 그의 혼 속에는 백제무사의 혼백이 숨어 있는지도 모른다. 풍납토성 유적 보전을 위해 20년간 외로운 싸움을 벌여온 선문대 이형구(李亨求·56·고고학)교수는 17일 정부가 사실상 풍납토성 내부를 국가 사적으로 지정, 보존키로 정책방향을 잡.. 考古學 2009.0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