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한연맹왕국을 가리키는 것 / 하나의 고분 안에 여러 사람들을 매장 신미제국(新彌諸國)의 실체 | 잃어 버린 마한 2008.06.11 13:29 먼 발치 매운 눈 마한연맹왕국을 가리키는 것 영산강유역은 평야를 끼고 있어 마한연맹왕국들의 터전이 되었다. 3세기 후반 영산강유역의 마한사회의 모습은 {진서(晋書)} 장화열전(張華列傳)에 나오는 '신미제국(新彌諸國)' 관련 기사를 통해.. 考古學 2009.03.29
영산강 유역에 옹관왕국 왜가 있었다 새롭게 밝혀내야 할 옹관왕국 | 잃어 버린 마한 2008.06.13 12:45 먼 발치 매운 눈 영산강 유역에 옹관왕국 왜가 있었다 고대 영산강 유역에 백제와는 또 다른 정치체제와 문화를 가진 왕국이 존재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금동관을 쓰고 영산강 지역을 다스리던 나라, 그 나라는 대형옹관의 나라였다. 나주의.. 考古學 2009.03.29
마한(馬韓)에서 바둑을 살피다 호남지역에서 바둑의 고수가 나오는 까닭은? | 잃어 버린 마한 2008.06.04 10:17 먼 발치 매운 눈 마한(馬韓)에서 바둑을 살피다. 역사는 기록이다. 기록은 문자로 된 정보임은 말 할 것도 없다. 문자는 한 문명의 척도이며 수준의 반영이다. 뿌리가 있는 나라(민족)는 역사도 깊고 문자의 내력도 깊다. 우리.. 考古學 2009.03.29
영산강을 정복한 실력자의 무덤 영산강을 정복한 실력자의 무덤 백제는 기원전 18년에 건국해 기원후 660년 신라에게 멸망하기까지 678년간 존속한 나라다. 부여계 이주민이 한강 유역에 세운 나라로서 마한지역을 통합하며 성장했다. 그들은 도읍을 지금의 공주인 ‘옹진’에서 현 부여인 ‘사비’로 옮기면서 독특한 문화를 꽃피웠.. 考古學 2009.03.29
마한에서도 수레를 사용했다 마한에서도 수레를 사용했다. | 잃어 버린 마한 2008.05.16 10:37 먼 발치 매운 눈 97년 광주 출토된 유물 "BC1세기 수레바퀴 일부" 확인 삼국지 위지 동이전에는 "마한 사람들은 소나 말을 탈 줄 모른다"라고 설명하고 있는데 97년 이런 설명을 뒤엎을 만한 유물이 발견돼 학계의 관심을 사고 있다. 1997년 발굴.. 考古學 2009.03.29
청주한씨(淸州韓氏)는 마한의 후예(後裔) 청주한씨(淸州韓氏)는 마한의 후예(後裔) 청주한씨(淸州韓氏)의 유래(由來)는 후조선(後朝鮮)인 기자조선(箕子朝鮮)에 기원(起源)을 두고 있다. 기자는 은(殷)나라 왕실 사람으로 주왕(紂王)의 숙부(叔父)였다. 주왕은 평소 성정이 잔인하고 포악하여 학정을 일삼으니 국력이 쇠퇴하였다. 이를 기화로 .. 考古學 2009.03.29
한일 고대사의 수수께끼 "장고형 고분" 한일 고대사의 수수께끼 "장고형 고분" -무덤의 주인공은? 충남 부여(1972년)에서 시작되어 경남 고성 송학동 고분(83년)으로 이어진 일본식 무덤(장고형 고분) 논쟁은 90년대 들어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든다. 엉뚱하게 전남지역으로 번진 것이다. 앞서 말했듯 일본의 젊은 학자들은 ‘신임나일본부설’.. 考古學 2009.03.29
영산강 마한 추정 세력과 백제 영산강 마한 추정 세력과 백제 1. 들어가는 말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것으로는, 백제는 마한의 묵인 하에서 건국을 하고 이어 시조왕 때에 이미 마한을 흡수하여 강국이 된 것으로 알고 있다. 하지만 요사이 주목되고 있는 영산강 유역의 옹관묘 세력을 보면, 동시기에 백제와는 다른 세력이 나.. 考古學 2009.03.29
기원전 2~3세기 한반도 중남부 지역의 소국집단 마한의 역사 | 잃어 버린 마한 2008.03.15 11:42 먼 발치 매운 눈 기원전 2~3세기 한반도 중남부 지역의 소국집단 고조선 이후의 여러나라들 대체로 기원전 2~3세기에서 서기 3세기에 이르기까지, 경기·충청·전라도 지방에 분포한 54개의 소국(小國)집단을 가리킨다. 《삼국지》 위지 동이전에 따르면, 마한.. 考古學 2009.03.29
영산강 유역 고대사회의 흥망성쇠 영산강 유역 고대사회의 흥망성쇠 1.'옹관고분사회'의 성립과 발전 영산강유역이 4세기 후반부터 백제의 지배를 받았다고 본 것이 이제까지 사학계의 통설이었다. 그러나 고고학적 발굴 조사가 축적되어 감에 따라 이러한 생각은 수정되지 않으면 안되게 되었다. 그 실상을 주로 고분의 분포상을 통해.. 考古學 2009.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