慰禮城 地名由來

일본기록에서의 고구려어

吾心竹--오심죽-- 2009. 11. 3. 13:53

일본기록에서의 고구려어


◎釈日本紀(13世紀末成立) <- 젤루 오래된 일본서기 주석서라구 함.

A     コクソリ(고케소리)
  注 コマ   モチ ム ツキノヒノヘムマノ日ヲ タテ+        クノ ヲリク+ノヨモヲ    ス    オリコケ  トシ ヤツ
  ○高 麗 以 正 月 丙 午   立  中 夫 人 子 為 王   年 八 歳
      고마    모치   무츠키노히노헤무마노日오 타테쿠노 오리쿠 노요모오 스 오리코게 토시 야츠

         二        一    二         一 V
  コクヲリコケ アリキ 刀タリノヲリク+ マカリ オリク+ハ ナシヨモ  クノ ヲリク+  ウメリ マカリヨモヲ ソノ シウトハ  ソ クム
  狛  王 有  三 夫 人  正 夫 人 無 子 中 夫 人 生 世 子  其 舅 氏 麁 群
   고쿠오리코게 아리키 미타리노 오리쿠+마카리 오리쿠+하 나시요모 쿠노오리쿠+우메리 마카리요모오 소노 시우토하 소 쿠무
  キ百    二       一          V           二    一
    音信
  ナリ シム ヲリク+  ウメリ ヨモヲ ソノ シウトハ  匕イクム ナリ オヨムテ コクヲリコケノ ヤマヒスルニ
  也 小 夫ー人 生  子  其 舅 氏 細 群 也 及   キ百 王  疾 篤 細 群 麁 群
   나리 시무 오리쿠+ 우메리 요모오 소노시우토하 비이쿠무 나리 오요무테 고쿠오리코게노 야마히스루니 
    六隻       V                    二            一
 ヲノ++ ス  テムト ソノ ヲリク+ノ   ヨモヲ        シヌルモノ
  各 欲 立  其 夫 人 之 子 故 細 群 死 者 二 千 餘 人 也
   오노++스   테무토 소노 오리쿠+노 요모오         시누르모노
      V  二            一             フタヒ+アマリ(후타히+아마리)

B イロハノヲリク+ (이로하노오리쿠+)
  母 夫 人



◎兼右本(1540年写)
A                           クノ ヲリク+   トモ ヲリコケ  トシ  ヤツ
  百 済 本 記 云 高 麗 以 正 月 丙 午 立 中 夫ー人 子 為 王  年 八ー歳
                    二 ムツキノ    一  二       ヨモ一  V
  コク オリコケ      ヲリク+ マカリ オリク+     トモ ク         マカリヨモ   ノ シウト   ソ  クン
  狛  王 有 三 夫 人 正 夫ー人 無 子 中 夫ー人 生 世ー子 其 舅ー氏 麁ー群
 コクコノオリコケ 二                 V            二    一
    コウ  オリク+    コトモヲ                       ヤマイスル
  也 小 夫ー人 生 子  其 舅ー氏 細ー群 也 及 狛 王 疾ー篤 細 群 麁 群
    六隻       V                    二

  各 欲 立 其 夫 人 之 子 故 細 群 死 者 二 千 餘 人 也
      V  二           一

Bイロハ オリク+
  母 夫ー人

◎穂久邇文庫本(1500年前後写)
B    ヲリクシ
  母 夫ー人

//////////////////////////////////////////////////////////////////////////

百済本記云、十二月甲午、高麗国細群与麁群、戦于宮門。伐鼓戦闘。細群敗不解
   백제본기운, 12월갑오, 고려국세군여추군, 전우궐문.벌고전투.세군패불해
兵三日。尽捕誅細群子孫。戊戌、狛国香岡上王薨也。(巻一九・欽明六年)
병3일. 진포주세군자손.무술, 박국향강상왕훙야.(권19·흠명6년) 
 
이기록에 일본서기 주석서나 필사본들을 보면 狛의 훈독으로 코크,코마를 붙여놓고 있음을 볼수 있다.

釈日本紀 : コマ ノ クニ ノ   ヌ タ       爪   ヲリコケ 刀ウセヌ
                狛  國  香 岡 上 王 薨  也。
             고마 노 쿠니 노 누타     스 오리코게  미우세누

                 コク     ヌタノ    爪  ヲリコケ
                キ百  香 岡    上  王
                고쿠  누타노 스  오리코게

                                                          

                                                                         アスメス    オリコケ
兼右本 : コク    コク   カ    カノ    クスシス   オリコケ   ミウセヌ
            狛   國  香   岡   上   王   薨   也
            고쿠     고쿠      카         카노    쿠스시스  오리코게  미우세누                                                      
                                                                 아스메스  오리코게

北野本 :  コ マ            ノ コキシ ミウセヌ
            キ百 - 香 - 岡 -上  王  薨
            고마                                    노  코키시 미우세누 


일본식 훈독을 벗어난 백제식 훈독 몇개...

上王 : 아스메스 오리코게 , 쿠스시스 오리코게 .
狛王 : 고쿠오리코게 /고마오리코게 : 코크는 고구려를 뜻하고..狛은 이리,사나운동물을 뜻하며 고마(팽이)라고 訓.
                             오리코(게)는 아무리봐도 백제의 어라하와 비슷한데  일단 부여어로 해둔다.
                             고구려의 존칭 접미사 '기(치)'는 일본어에서 '케'로 변하는 경향이 있다. (붓다>붓토>호토>호토+키>호토케)
                            
王 : 코키시  (건길지) , 일본서기에선 백제 国主를(こにきし)등으로 읽는다
中夫人 : 쿠노 오리쿠  :가운데를 ku로 읽은것인데. 아니면 계루부? 부인일수도..
                              오리쿠?  백제어로 왕비를 뜻하는 어륙과 닮은 발음이다. 
正夫人 : 마카리 오리쿠: 높은 관직에 해당되는 막리지, 막하하라지(태대형),막하라수지(대모달)에 비슷한 표기다. 
                                이미 널리 알려진 단어들이니 패쓰.
世子 :  마카리 요모  :  世를 마카리로 읽을수가 없는데 어쨋든 마카리 요모로 훈독해줬다.
                               세자들 가운데 최고로 높은 세자를 부르는 호칭으로 보인다.
小  : 중국의 3세기 기록을 보면 sir로 읽을수 있는데 일본서기에는 sim으로 훈독해버렸다. 어딘가 이상하다.
       한원(翰苑) : 次 小兄 比正七品 一名失支.

..2008년 1月 내용 추가..
무령왕릉 왕비의 은팔찌 명문에서 大夫人이라는 호칭을 확인했음 .庚子年二月多利作 大夫人分 二百州主耳'

..2008년 9月 내용 추가..
오리코게의 "게"는  한국어 존칭 접미사 <支>의 백제음 <기>가 일본에서 변질된 형태.
시미즈 키요시 교수-불교의 핵심 단어. ‘부처puch- (Bud dha)’와‘절<뎔c r< ti r (Buddhist temple)’이다. 부처의 고대 일본어 형태는 한국어 접미사 *-ki 가 -ke로 바뀐 ‘ ほとけ hot-o-ke’이다. 대륙에서는 고대 여진어(Old Jurchen) 형태가 *puc-i-ki로 기록돼 있으며, 이것은 나중에 만주어에서 fuc-i-hi로 바뀌게 되었다. 따라서 한국어 접미사 *-ki(支)는 -ki와 -hi 의 형태로 남게 된 것이다.



by 밥로스 | 2007/09/02 17:23 | 고구려 | 트랙백(1) | 덧글(2)

트랙백 주소 : http://yokeru.egloos.com/tb/629781
☞ 내 이글루에 이 글과 관련된 글 쓰기 (트랙백 보내기) [도움말]
Tracked from mizlok님의 이글루 at 2007/12/29 19:30

제목 : 일본서기의 고구려어 小 해석
일본기록에서의 고구려어小=simu(シム)http://100.naver.com/100.nhn?docid=94204小獸林王=小解朱留王 小=小解小=sV解=*mV小=sV(음독)解=*mv(훈독)小=小解(simu)=향찰식 표현일까? 참고 : http://www.riss4u.net/link?id=A19686733日本書紀 諸寫本에 나타나는 古代韓國語의 성격 ...

Commented by 講壇走狗 at 2007/10/06 21:11
《일본서기》우라베(卜部)본에는 小가 "シソ"라 되어 있지요. 마에다본의 ム는 발음(撥音)에 대한 표기인 경우가 종종 있으니까, 혹 우라베본의 "シソ"는 "シン"의 오기인지도 모르겠습니다. "sini > sin"이라면 失과 가깝지 않을까요. koku에 대해서는 같은 마에다본에서 "高麗細群"을 "コマコクソリサクム"(ム은 撥音)라 훈하고 있으니, 참고가 되겠죠.
Commented by 講壇走狗 at 2007/10/06 21:14
大野晉은 makari를 중세한국어 "ㅁㆍㄷ-(현대 한국어 맏-)"와 연결시키려는 시도는 했으나, 스스로도 무리라는 건 인정하더라구요.
 
 
 

질지(叱智)와 실지(失支), 소형(小兄)

1. 阿利水
2. 阿羅斯等 , 阿利叱智 干岐
3. 小兄 比正七品 一名失支


아리수 阿利水 ( 한강 )
아리시토 阿羅斯等 ( 대가야 왕자 이름 )
아리시치 阿利叱智  ( 아리시토의 또다른 표기 )

 아리시치는 삼한의 문헌을 발췌했다 생각한다.
우선 아리의 발음을 위해 阿利라고 써놨는데 호태왕 비석의 한자 阿利와 일치하고 발음도 한국어에 일치한다.
여기까진 형용사이고 마지막 지(智)는 존칭의 한국어.
간기(干岐)는 5세기 이전의 삼국시대 왕호이다.
叱의 발음은 일본어로 시쯔,한국어로 질
한국의 한자발음은 -k, -t, -p, -m, -n, -ng의 6종류가 -t가 -l로 변했을뿐 거의 보존되어 있고 일본은 앞자음이 잘 보존되니.
당시엔 싣 정도로 볼수있다. 

阿利叱智를 분해한다면 阿利(아리:긴),叱(싣),智(지).

싣지..이상한 호칭표기이지만 분명히 사서에 같은 발음이 나온다.
고려기 인용에 소형(小兄)은 실지(失支)라고도 한다고 쓰여있다.
당시엔 지금의 ~ㄹ발음 한자는 모두 ~ㄷ받침 발음이었으니  싣지(失支)로 읽을수 있다.
시토(斯等)라는 표현도 싣(失)과 같은 맥락이라 생각된다.
 
질지(叱智)는 박제상(모마리질지毛麻利叱智), 소나갈질지(蘇那曷叱智)에서도 볼수있다.

(시치) 이것의 정확한 뜻은 좀더 생각해봐야 알겠지만 고구려,신라,가야에서 공통된 호칭으로 볼수있다.
짐작컨데 사자(使者)나 기마민족의 샤드(군지휘관) 비슷한 것이려나.


----------------------------------
내용 추가. 좀 의심가는 군장 칭호

신지[臣智] :    臣智或加優呼臣雲遣支報安邪踧支濆臣離兒不例拘邪秦支廉之號  (위지 동이전 마한)
신지(臣智)는 혹은  신운(臣雲)견지보(遣支報)ㆍ안야(安邪)축지분(踧支濆)ㆍ신리아(臣離兒)불례(不例)ㆍ구야(狗邪) 진지렴(秦支廉)이라고 높여 부른다.

臣智 = 遣支 = 秦支  시토(시치)는 신지냐 ..

 

by 밥로스 | 2008/03/09 11:36 | 고구려 | 트랙백 | 덧글(4)

트랙백 주소 : http://yokeru.egloos.com/tb/1503942
☞ 내 이글루에 이 글과 관련된 글 쓰기 (트랙백 보내기) [도움말]
Commented by 지나가다Ⅱ at 2008/03/10 08:06
叱은 고대에 속격조사 사이시옷을 나타내는 표기로서 일관되게 사용되었습니다. 이유는 불명. 未斯欣과 일본서기 "微叱許知", 異斯夫와 일본서기 "伊叱夫智"를 비교해도 이는 알 수 있습니다. 知/智는 가라-신라 지역에서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인명어미로, 삼국사기에서는 많은 경우 생략되었으나, 일본서기나 금석문에서는 자주 나타나며, 일본서기 소수의 백제삼서에서는 至로 적히기도 했습니다. 따라서 叱智와 失支를 비교하는 시도는 무리입니다.
Commented by 밥로스 at 2008/03/10 08:18
ㅅ으로 아릿지를 생각해 보긴했는데 斯等이라는 표현에 짝이 안맞는거 같아서 늘어놔 봤습니다.
소나갈질지에서도 ㅅ으로 생각하니 뭔가 어색하더군요.
Commented by 지나가다Ⅱ at 2008/03/10 08:37
"인명 + 속격조사 叱 + 知/智"로 이해해야 할 문제라고 봅니다. "阿羅斯等 / 阿利叱智"의 문제는 전자는 일본인에 의한 표기, 후자는 반도인에 의한 표기라고 이해해야 할 일입니다. 애초에 "아라시토"와 "아리시치"는 그 모음도 차이가 크게 나서, 일대일 대응시켜놓고 논하기 어려운 부분입니다.
Commented by 海凡申九 at 2009/01/23 23:05
아라사등(아리지토)를 아리지의 무리로 해석하면 어떨까요?....
그러면 단체 개척자의 무리가 실패해 다시 가야 쪽으로 돌아간 것이 되는데....
그러면 문제되는 것은... 아리지의 무리라면 아리지는 알지???? 알지? 김알지의 무리로 변화하는 건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