百 濟

일본속의 백제, 구다라

吾心竹--오심죽-- 2010. 1. 29. 15:36

『일본속의 백제, 구다라』
영문 번역으로 우리의 역사 알린다
 
독서신문

[일본속의 백제, 구다라 (Kudara, another Paekche in Japan)]


               문학박사 홍윤기 (written by Dr. Younki Hong)
 
               영문번역 홍석진(translation by Seokjin Hong)

1. 구다라나이
고대 백제의 열풍, 한류(韓流)의 원조
‘구다라나이(無い)’라는 말이 일본 땅에서 오랜 역사 속에 이어져 왔다. 백제, 구다라 열풍은 이미 고대 일본땅에서 왕성하게 일었고 그것이 한류의 원조(元祖)였다.
옛날 일인들은 백제에서 건너온 물건이나 백제 문화를 접하면 입버릇처럼 “구다라나이” 소리를 했다. “구다라나이”란 무슨 뜻이었던가.
 
1. Kudara-nai
Enthusiasm for Paekche in ancient Japan: the prototype of current enthusiasm about Korean popular culture noticed in Japan
The word ‘Kudara-nai’ (pronounced kudalanai) has long been preserved in history of Japan. The enthusiasm over Paekche Kingdom or Kudara(meaning ancient Paekche Kingdom in Korean peninsula) has already enjoyed its full blossom in ancient Japan and that was the prototype of current massive interest in Korean entertainers noticed in Japan.
In old days Japanese folks habitually acclaimed stuffs from Paekche or Paekche culture saying "Kudara-nai." What was meant by the word Kudara-nai?
 
‘구다라나이’는 일인들의 ‘백제 칭송’이다. 본래 일인들이 백제 문화를 찬양하던 이 말의 어원은 “이것은 백제 물건이 아니다(これはの物では無い)”였다. 백제에서 일본으로 건너온 뛰어난 생산품이 아니면 가치가 없다는 말이었다. 요즘 흔히들 우리가 외제 명품을 따지는 것과 같은 찬사였다. 이렇듯 고대 백제 문화는 왜(倭)나라에 영향이 컸다.
 
That is also proven by an old Japanese history book entitled "Nihonshoki, A.D. 720". According to Nihonshoki, in ancient Japan the very name of the region around the royal palace was ‘Kudara’ (meaning ancient Paekche Kingdom in Korean peninsula). There, a river named Kudara River (so Paekche River) was running. Folks who inhabited the riversides built ‘Kudara Palace’ for 34th Emperor Jomei, their king (reign: 629∼641). They also built the ‘Grand Temple of Kudara’ (大寺, Grand Temple of Paekche). Of course Emperor Jomei lived in Kudara Palace.
 
그 사실을 입증하는 역사 내용이 일본 역사책 [일본서기]에도 나온다. 그것을 읽어 보면 일본 고대의 왕궁 지역은 땅의 이름 그 자체가 ‘구다라’(, 백제)였다. 그곳에는 ‘구다라강’(川, 백제강)이라는 이름의 강물이 흐르고 있고, 그 강변에 사는 백성들은 그들의 왕인 일본 제34대 조메이천황(敍明天皇, 629∼641 재위)을 위해서 ‘구다라궁’(宮)을 짓고, ‘구다라대사’(大寺, 백제 큰절)도 건축했다. 물론 조메이천황은 그 구다라궁(宮)에서 살았다.
 
"Kudara-nai" had been expression of admiration for Paekche among Japanese folks. The linguistic origin of this word which had been used for praising Paekche culture is: "This stuff is not of Paekche make". That is, for Japanese folks a stuff was considered as having little value unless it is a top-notch product imported from Paekche. Just the same way as we nowadays prefer renowned consumer goods from foreign nations. Like that, in those days ancient Paekche exerted great cultural influence on Japan.
 
일본의 세이조대학 사학과 사에키 아리키요(佐伯有淸) 교수는 이 당시 “백성들은 조메이천황을 ‘구다라대왕’(大王, 백제대왕)이라고 불렀을 것 같다”([新撰姓氏錄硏究の硏究篇], 1970)라고 지적한 저명한 역사학자이다.
어째서 백성들은 조메이천황을 ‘구다라대왕’(大王, 백제대왕)이라고 불렀던 것인가. 두 말할 나위 없이 조메이천황은 백제 사람이었기 때문이다. 지금부터 1천2백년 전인 서기 815년에 일본 왕실에서 펴낸 [신찬성씨록](新撰姓氏錄)이라는 왕실 족보를 읽어보면 그 사실이 밝혀져 있다. 상세한 내용은 [신찬성씨록]에 관해 필자가 자세하게 쓴 본문의 글을 읽어주시기 바란다.
 
Prof. Arikiyo Sayeki (Dept. of History, Seijo Univ. in Japan), a renowned historian, pointed out that chances are the folks might have called Emperor Jomei as ‘the great King of Kudara’ (大王, great King of Paekche) ([Studies on Shinsenshojiroku], 1970).
Why the folks should have called Emperor Jomei as ‘great King of Kudara (大王, great King of Paekche). Becaus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Emperor Jomei was an immigrant from Paekche. It is clearly manifested in a family chronicle 'Shinsenshojiroku' published by the royal family of Japan some 1200 years ago (in A.D. 815). For further details, refer to later descriptions on 'Shinsenshojiroku'.

[신찬성씨록]에는 조메이천황의 친할아버지였던 “일본 제30대 비타쓰천황(敏達天皇, 572∼585 재위)은 백제인 왕족이다”라는 역사 기사도 밝혀져 있다. 또한 일본 고대사 연구가 우다 노부오(宇田伸夫) 씨가 지금부터 6년 전인 2002년에 쓴 역사 저술 [구다라가엔](花苑, 백제화원)이라는 책을 읽어 보면 다음처럼 썼다.
나라(奈良)땅의 구다라궁(宮, 백제궁)에 살던 남편 제34대 조메이천황이 서거한 뒤에 왕위를 계승한 것은 왕비였던 일본 제35대 고교쿠(皇極, 642∼645 재위) 여왕이었다. 고교쿠여왕도 남편처럼 계속해서 구다라궁에서 살았다. 고교쿠여왕 당시의 인자하고 슬기롭다는 공주는 이름이 하시히토(間人) 공주였다. 하시히토 공주와 히이라기 궁녀와의 대화에 보면 다음 같은 대목이 나온다.
 
In 'Shinsenshojiroku', also we can find a historical article saying "Japan’s 30th Emperor Bitatsu (reign: 572∼585) inherited the line of the royal family of Paekche  Kingdom." Emperor Bitatsu was real grandfather of Emperor Jomei. Also, Nobuoh Uda, an expert on history of ancient Japan, wrote on 2002 i.e., 7 years ago, in [Kudara-Kahen] (meaning "Paekche Garden") as follows:
The 34th Emperor Jomei died. He had been living in the Kudara Palace (Paekche Palace) built in Nara. Then his wife became an heir to the throne and was enthroned as 35th Empress Kokyoku (reign: 642∼645). Empress Kokyoku also continued to live in Kudara Palace as her husband did. In the reign of Empress Kokyoku, a princess named Hashihito was known for her generosity and intelligence. Following is a conversation between Princess Hashihito and her maid Heeyiragi.
 
하시히토 공주는 백제궁 정원에 피어 있던 붉고 아름다운 ‘잇꽃’을 가리키며, “이 꽃은 어디서 이곳 아스카(飛鳥, 나라땅의 백제인 왕실 터전, 필자 주)에 온 것이지? ”하고 물었다.
그러자 궁녀는 하시히토 공주에게 서슴없이 대답한다.
“물론 구다라(, 백제)에서 전해 온 것이지요.”
그 말을 들은 공주는, “좋은 것은 모두 구다라(, 백제)에서 온 것이네”하는 감탄이 나온다. 즉 ‘백제 것만이 최고’라는 비유로 일본의 옛날 명언이 된 이른바 ‘구다라나이’(無い)라는 찬사가 이미 지금부터 1360년 전부터 일본땅에 퍼져 있었다.
 
Pointing at a beautiful blossom of safflowers at the garden of Paekche Palace, Princess Hashihito asks, "From where did those flowers get here in Aska (the site of royal residence owned by the royal family who were Paekche immigrants: author)?
Then the maid replies to Princess Hashihito without hesitation.
"Of course they’re from Kudara.”
At this, the princess exclaims, "Then all those adorable stuffs are from Kudara.” That is, it was a metaphor which means only the stuffs from Paekche are of supreme quality." So the chant of admiration ‘Kudara-nai’, which became an old Japanese proverb, had already been widely circulating in Japan some 1360 years ago.
 
그런데 일본의 군국주의 일제 치하가 되면서부터 일본에서는 ‘구다라나이’라는 백제 찬사를 ‘쓸모 없는 것’이라고 나쁘게 해석하기 시작했다고 한다. 일본 역사학의 태두(泰斗) 우에다 마사아키(上田正昭) 박사는 “구다라(, 백제)라는 말은 고대부터 일본에서 백제를 ‘큰나라’라고 부른 데서 생긴 말이다”(KBS-TV [역사스페셜] 2002. 7 방송)라고 했다. 우에다 마사아키 박사의 주장은 수긍이 간다. 고대 백제로부터 일본으로는 불교를 비롯하여 벼농사며 베틀과 대장간 철기 문화, 글을 쓰는 문자며 좋은 말(馬)과 소 등 가축과 그 밖의 모든 선진 문화가 건너갔기 때문이다.
 
It is said, however, that since the militarist regime took power in Japan, Japanese folks began to depreciate the word ‘Kudara-nai’ which had been used for praising Paekche culture as useless. Dr. Masaaki Ueda, a leading Japanese historian, pointed out: "The word Kudara (Paekche) was coined as Paekche had been referred to as "great nation"in ancient Japan (refer to [History Special], KBS-TV, July 2002). Dr. Masaaki Ueda’s opinion is quite convincing as all kinds of advanced cultural achievements were transferred from ancient Paekche to Japan including Buddhism, rice farming, looms, smithery and ironware crafting, Chinese characters, quality livestock such as horses and cattle, or whatever.

지금의 충남 부여땅 백마강 나루터인 ‘구드래’ 나루터는 고대 백제의 문물이 일본으로 떠났던 뱃터였기 때문에 백제로부터 건너오는 선진 문화는 “구드래에서 왔다”는 찬사를 받게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구드래’ 나루에서 일본의 ‘구다라’(백제) 호칭이 나온 것 같다(본문의 [구다라] 항목에서 상술함).

The ‘Kudrae’port, currently the port of Paekma River located in Buyeo of Chungcheongnamdo, was a port where the culture of ancient Paekche Kingdom   had been exported to Japan. So the chant of admiration for advanced culture from Paekche: "That stuff is from Kudrae." Possibly the port name ‘Kudrae’ is the origin of the word ‘Kudara’ in Japanese (further details can be found in later descriptions on Kudara).
한국 시단의 대표적인 이 탄 시인을 비롯하여 문효치, 양채영, 정호승, 갈정웅, 김년균, 이길원, 황경락, 장태평, 김태호, 조인자, 강기옥, 최금녀, 김영미 시인 등이 일본 속의 백제 역사 현장을 직접 답사하고 ‘백제시’를 써서 보내주어 독자 여러분에게 백제 역사의 발자취를 눈부시게 부각시키고 있다. 좋은 시를 보내준 시인 일동에게 아울러 감사드린다.
 
Leading poets in Korea including Lee Tan, Moon Hyo-chi, Yang Chae-yeong, Cheong Ho-seung, Kal Cheong-ung, Kim Nyeon-kyoon, Lee Kil-won, Hwang Kyeong-nak, Chang Tae-pyeong, Kim Tae-ho, Jo In-ja, Kang Ki-ok, Choi Keum-nyo, and Kim Yeong-mi et al. themselves visited historic scenes of Paekche in Japan and sent me ‘Paekche Poems’ they have written, splendidly highlighting the footprints of Paekche history to the readers. Let me express my personal gratitude to these poets who have contributed good poems, too.

2. 피는 물보다 진하다고 했다
― 고대에 오사카로 진출했던 백제인들의 생생한 모습
누구나 사람은 온 몸속을 뜨겁게 맴도는 제 조상의 핏줄기는 속이지 못하는 것 같다. 그러기에 지금의 일본 아키히토(明仁, 1989년 즉위) 일왕도 지난 2001년 12월 23일, 도쿄의 왕궁(황거)에서 “내 몸에도 한국인의 피가 흐른다”고 공언했나 보다. 그 날 아키히토 일왕은 도쿄의 일본 왕실에서 68번째의 생일을 맞으면서 기자회견을 갖고 다음처럼 말했다.
“나 자신으로 말하면, 간무(桓武, 781∼806 재위) 천황의 생모가 백제 무령왕(武寧王, 501∼523 재위)의 자손이라고 역사책 [속일본기]에 쓰여 있기 때문에 한국과의 혈연을 느끼고 있습니다”(「朝日新聞」 2001년 12월 23일자 보도).
 
2. It is said blood is thicker than water
― The vivid portrait of ancient Paekche folks who made their way to Osaka.
It seems no one was ever successful in denying the stream of hot blood within one’s whole body inherited from one’s ancestors. Possibly that is the reason why current Emperor Akihito (crowned in 1989) of Japan has declared on December 23th, 2001, that "Korean blood flows in my vessel."at the Royal Palace in Tokyo. That day, on his 68th birthday, Emperor Akihito held a press conference at the Royal Palace in Tokyo, saying:
"I, on my part, feel a certain kinship with Korea. The mother of Emperor Kammu was of the line of King Muryong of the Kingdom of Paekche (Asahi shinbun, a daily newspaper in Japan., Dec. 23th, 2001).
 
일왕이 한국인의 후손이라는 것을 더욱 구체적이고도 적극적으로 입증할 만한 매우 중요한 행사가 2004년 8월 3일, 충청남도 공주의 무령왕릉에서 거행되었다. 이 날 일본 왕실의 아사카노미야(朝香宮, 이하 조향궁)라는 이름(왕실 호칭)의 아사카노 마사히코(朝香誠彦) 왕자가 백제 제25대 무령왕 왕릉(공주 송산리 제7호 고분)에 찾아와 제사를 지냈다. 조향궁 왕자는 한국에 건너오기 직전에 도쿄의 황거에서 지금의 아키히토(明仁) 일왕의 윤허를 받고 공주에 왔다. 조향궁 왕자는 일본 왕실에서 직접 가지고 온 고대 일본 왕실의 향(香)을 향로에다 피우며 제삿술과 제사용 음식물 등 제물을 진설하고 무령왕의 영전에 깊이 머리 숙여 절을 올렸다.

On 3rdof August, 2004 a very important ritual was performed at the tomb of King Muryong(reign: 501∼523. ancient Paekche Kingdom in Korean peninsula), possibly thereby certifying more specifically and explicitly that current Emperor of Japan is a scion of the Korean Race. That day, Prince Masahiko Asakano (朝香誠彦) of Japan with court byname Asakanomiya (朝香宮) visited the tomb of the 25thKing Muryong of Paekche Kingdom (the 7thtomb in Songsan-ri, Gongju) and held a memorial ceremony for him. Prince Asakanomiya got permission from current Emperor Akihito at the royal residence in Tokyo, just before coming to Korea. The Prince burnt an incense which he himself had carried from the royal residence in Japan. And he placed ritual stuffs including beverages and foodstuffs, bowing deeply before the portrait of King Muryong.

지금의 아키히토 일왕의 당숙인 조향궁 왕자는 제사를 모시고 나자 공주 시내의 공주시청으로 오영희 공주시장을 시장실로 찾아 예방했다.
이 자리에서 조향궁 왕자는 일본 왕실에서 가지고 온 향로와 향을 무령왕릉 제사 기념으로 오영희 공주시장에게 직접 기증했다. 그가 오영희 공주시장에게 기증한 향은 1300년 전에 일본 왕실에서 침향목(沈香木)으로 만든 일본 왕실 제사용의 향이다.
 
After the ceremony, Prince Asakanomiya, an uncle of current Emperor Akihito, made a courtesy call on Mayor Young-hee Oh of Gongju City at his office.
There, Prince Asakanomiya presented the mayor with pots and incense, in commemoration of the ritual held at the tomb of King Muryong. He had carried those pots and fumes from the royal residence in Japan. That incense, presented to Mayor Young-hee Oh by Prince Asakanomiya, had been crafted with specially treated plant roots by the royal family of Japan some 1300 years ago, for use in royal memorial services.
 
고대 백제인들은 4세기 경부터 본격적으로 일본 내해의 ‘난바’(難波) 나루터(難波津, 난파진,
지금의 오사카 난바)로 건너갔다. 그 무렵부터 난바(難波)는 백제인들의 새로운 개척지가 되기 시작했다. 영국인들이 영국의 ‘요크’(York) 지방으로부터 대서양의 험한 파도를 넘어 신대륙 아메리카로 건너가서 새로운 항구를 개척하고 ‘뉴욕’(New York)이라는 새 이름을 붙였듯이, 백제인들은 영국인들보다 이미 1400년 전에 현해탄의 험한 파도를 건너가 고대 일본 내해의 새로운 나루터를 글자 그대로 ‘난바’(難波, 난파)로 부르기 시작했다. 현재의 오사카 중심지 ‘난바’는 이미 고대 백제인들의 터전 바로 그 자리다. 오늘의 오사카 중심 번화가다.
 
From about A.D. 4, folks from ancient Paekche started to make their way to ‘Nanba’ Port (also, today it is called Nanba and is located in Osaka) located in the inland sea of Japan in earnest. From then on, Nanba(難波) became a new land of pioneers for the people of Paekche Kingdom. Just the same way as the Englishmen immigrated from York of England to the new continent of America over the rough waves of the Atlantic, developing a new port and calling it New York, the people of Paekche had already made their way over the tumultuous waves of the Korea Strait, and that more than some 1400 years earlier than the Englishmen did, calling the new port literally Nanba (meaning rough waves). Nanba, today’s downtown Osaka, had already been developed as a settlement by the people from ancient Paekche Kingdom.  It is today’s downtown Osaka.

오사카는 구다라스(, 백제주)라는 백제국가였다
백제에서 일본 왕실로 죂천자문죃 책을 써가지고 건너간 백제인 학자박사 왕인(王仁, 5C)이 지은 일본 최초의 고대시(古代詩)인 ‘와카(和歌)’가 바로 그 [난바 나루터 노래](難波津歌, 난파진가, 나니와쓰노우다)였다. 그 무렵 ‘난바’의 백제인 왕족 오진왕(應神王, 4∼5C)의 왕실은 현재의 오사카부인 구다라스(百濟洲, 백제주) 땅에 있었다.
 
Osaka had been a nation named 'Kudaras'(百濟洲) built by Paekche folks.
Dr. Wang In(Dr. Wani, called in Japan) was a scholar from Paekche Kingdom who brought a copy of the "Thousand-Character Text" to the royal household in Japan. He wrote the first Waka(和歌) in Japan and that was non other than the "Song of the Port Town of Nanba" (難波津歌, Naniwatsu-no-wuta, 'Kokinshu, written in A.D. 905. 古今集). Waka was a type of poem which has been written in ancient Japan. In those days the regime of the King Oujin (4∼5C) had been based in "Kudaras" (百濟洲) i.e., Osaka of today. King Ojin inherited the line of the royal family of Paekche.
 
고대 한국인들이 일본 열도로 건너가 일본에 먼저 와서 살고 있었던 일본 선주민들을 거느리면서 서로 혼혈하게 된 과정을 설득력 있게 지적한 저명한 학자가 있다. 일본의 동물자원 육종학자인 아자후대학 수의학과 다나베 유이치(田名部雄一) 교수가 필자에게 보내준 논문 [개로부터 찾아내는 일본인의 수수께끼]([犬から探る日本人の謎], 1985)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눈길을 끈다.
 
There is a renowned biologist who pertinently explained the process how ancient Koreans immigrated to the Japanese Islands, subduing and mating with the natives there. Prof. Yooichi Danabe, Dept. of Veterinary Science, Azahoo University, a Japanese zoologist whose specialty is animal breeding science, sent me a paper entitled “The Mystery of the Japanese Race explained from dogs”, 犬から探る日本人の謎, 1985) and there, the following stands out.
 
“한반도로부터 고대 일본으로 개가 건너왔다. 개는 사람이 데리고 왔다”고 했다. 개는 저 혼자 한반도로부터 호기심을 갖고 앞도 보이지 않는 막막한 먼 바다로 일부러 건너갈 수 없다. 한반도에 사는 사람들이 의도적으로 왜섬 땅으로 건너갈 때 개도 함께 데리고 갔다는 것. 다나베 유이치 교수는 잇대어 다음처럼 쓰고 있다.
“지금으로부터 2000년 전 무렵, 한반도에서 ‘야요이인’(彌生人, BC. 3∼AD. 3C 시대 한국인)이며 ‘고분인’(古墳人, AD. 4∼6C 시대 한국인) 등 도래인들이 일본열도로 건너오면서 새로운 개를 데리고 왔다. 그 이후로 인간은 혼혈하여 현재의 일본인들이 성립되었고, 그와 마찬가지로 개도 혼혈하여 대다수의 일본 견종(犬種)도 성립되었다.”

“Dogs had been introduced to ancient Japan from Korean Peninsula. These dogs came with human.”, he says. Dogs cannot willingly swim across the vast sea on its own, out of curiosity, from the Korean peninsula to the Japanese Islands, without any landmarks at all. His point is that the people who inhabited the Korean Peninsula willingly brought dogs with them while immigrating to the Japanese Islands. Prof. Yooichi continues:
"Some 2000 years ago, the immigrants including ‘Yayoi People’(彌生人, Korean Race of the era B.C. 3C∼A.D. 3C) or ‘고분인’ (古墳人, Korean Race of the era A.D. 4∼6C) introduced to the Japanese Islands new variety of dogs which they have brought with them. Since then people mated with each other to form current Japanese Race. Likewise, dogs too mated with each other, forming the majority of current Japanese dog subspecieses.”
 
고대의 오사카 땅을 [백제주](百濟洲, 구다라스)라고 불렀는데, ‘주’(洲)라는 글자는 대륙 또는 국가의 터전 등을 뜻하는 한자어다. 그렇다면 어째서 오사카 지역을 [백제 나라]로 불렀던가. 그 해답은 이 책의 본문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파악이 되리라고 본다.
오사카 시내에서 [백제] 즉 [구다라](한자어의 百濟, 또는 久太郞) 지명들이 여기 저기 수없이 등장하기 시작한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지금부터 1천 5백년 전인 서기 4세기 경부터의 일이다. 왜냐하면 4세기 무렵부터 본격적으로 수많은 백제인들이 백제로부터 일본 규슈며 오사카 땅으로 건너가 살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The land of ancient Osaka had been called "Kudarasu"(百濟洲) and the Chinese character ‘洲’ "su"( means "a continent or the site of a nation". Then, why the region of Osaka had been referred to as "Paekche State"? The answer should be found as a matter of course while you read this book.
In Osaka, it is quite a while since numerous geographical names bearing the string ‘Kudara’ i.e., ‘Kudara’(百濟 or 久太郞 in Chinese) started to be seen everywhere.  Such was the case since A.D. 4 i.e., some 1500 years ago. Because numerous Paekche folks began to migrate to Kyushu or Osaka province in Japan in honest since about A.D. 4.

그런데 백제주()의 “셋쓰국(攝津國)의 ‘구다라 고우리’(百濟郡, 백제군)를 구다라(久太郞,くたら)라고 읽었으며, 그 고장은 삼향(三鄕)으로 나누었다”는 역사의 기사가 [화명초](和名抄, 934년 경 성립)에 밝혀져 있다. 여기서 삼향이란 동, 서, 남 세 곳의 지역을 가리킨다.
그러기에 지금의 오사카 시내 중심지 일대는 이미 7세기 중엽인 “서기 646년부터 죂구다라군죃 즉 [백제군](百濟郡)이라는 행정구역이 설치되었다”고 사학자 기무라 가매지로(木村龜次郞) 씨는 지적했다([田辺百年のあゆみ], 1973).
By the way, in ‘wameisho’ (和名抄, written in about A.D. 934), a historical article is ound that “The town name of ‘Gudara Gouri’ (백제군) in the State of Setsu was pronounced Gudara (久太郞,くたら), and it consisted of three towns (三鄕).” There, ‘three towns’ mean three regions in east, west, and south.
Thus historian Kamejiro Kimura (木村龜次郞) pointed out that “In 646 A.D., there had been founded a district named ‘Kudara-gori’ i.e, ‘Paekche-gun’(百濟郡)” around downtown Osaka, no later than in the midst of 7C (“Walk on Tanabe 100 years” “田辺百年のあゆみ”, 1973).

그 뒤 다시 120년만인 서기 765년의 일본 왕실 문서 [정창원문서](正倉院文書)에도 백제군()이라는 기사가 나타났고, 일본 왕실 편찬 역사책 [속일본기](續日本紀, 797년 일본 왕실에서 성립)에도 서기 791년조에 백제군()이 보인다.
[속일본기]에는 수많은 백제 왕족들이 백제인 간무왕(桓武, 781∼806 재위)에 의해 항상 조정의 고위 조신으로서 승진하는 기사들로 넘치고 있을 정도로 백제가 망한 뒤 일본으로 건너간 백제 왕족들에 대한 특대, 특전 사항들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어 눈길을 모으기에 족하다. 그런 기사 가운데 간무왕이 “백제 왕족 난파공주(難波姬)에게 정6위상(正六位上)에서 종5위하(從五位下) 품계의 벼슬을 주었다”는 기사도 보인다(791년 1월 9일). 이 대목이야말로 그 당시 백제주의 난파가 전통적인 백제군()이며 난파궁(難波宮)은 백제 왕족들의 왕궁이었음을 실감시킨다.
 
Again some 120 years later, in A.D. 765 an article about ‘Kudara-gori’ is found in a Japanese court document named " "shozoinbunsho"(正倉院文書), and ‘Kudara-gori’  is also noticed in articles on the year 791, in a history book "shokunihongi" published by Japan’s royal household (續日本紀, published by Japan’s royal household in 797).
"shokunihongi" is noteworthy enough as there stands out descriptions on special treatment and privileges given out to Paekche royals who have migrated to Japan after Paekche had fallen, to such a degree as to abound in articles on numerous Paekche royals always being promoted to senior rank offices by Emperor Kanmu who is a scion of Paekche Royals (桓武, reign: 781∼806). In one of those articles, it is found that "Emperor Kanmu has appointed princess Nanba as a government official ranking between lower sub-level 5 (從五位下) and upper sub-level 6 (正六位上)" (9th of Jan., 791). This very description realizes us that Nanba in Paekcheju was "Kudara-gori" in tradition and Nanba Palace (難波宮) was the royal palace owned by Paekche royals.
 
더구나 주목되는 사실은 현재의 일본 도치기현(木)의 지사(知事)격인 당시의 시모쓰케 태수였던 백제 왕족 준철(俊哲)의 승진 내용이다. 즉 “시모쓰케수(下野守)인 백제 왕족 준철을 무쓰 진수장군(陸奧鎭守將軍)으로 겸임하여 임명했다”(791년 9월 22일)는 기사다. 여기서 ‘무쓰’는 일본 동북 지방(지금의 아오모리현, 미야기현 등 여섯 현이 속한 광대한 지역)이며, 그 당시 북해도 지방 등 북쪽의 아이누족과 일본 선주민들이 결속하여 백제계의 간무왕 정권에 침략 위협을 가했기 때문에 군사적 방위는 매우 중대한 과제였다.
 
Further, noteworthy is the details about the promotion of Simotsuke governor Shuntetsu(俊哲) − a counter part of today’s Dochigi governor − who was a Paekche royal, too. Details are found in the article entitled, "Simotsuke governor (下野守) Shuntetsu, a Paekche royal, has been appointed as defender general for Mutsu (陸奧鎭守將軍) (22nd of Sep., 791). There, ‘Mutsu’ is located in Tohoku (a vast region consisted of today’s 6 kens including Aomori and Miyagi) province of Japan. In those days, national defense was critical as the Ainus and Japan natives teamed with each other and threatened to overthrow the regime of Emperor Kammu who was a scion of Paekche.
 
그 뿐 아니라 간무왕이 백제 왕족들과 더불어 ‘백제음악’ 연주를 듣고, 백제 왕족들(乙叡, 玄風, 善貞, 淨子, 貞孫)에게 각기 벼슬을 올려주었다는 기사(791년 10월 12일)도 주목하기에 족하다고 본다. 그런데 그 후 9백 50년 정도가 지난 16세기 말엽에 이르자, [백제주]의 바탕인 [백제군]이라는 오사카의 행정 지명이 느닷없이 사라졌다.
 
Further, the article that Emperor Kammu listened ‘Paekche music’ being played together with Paekche royals (乙叡, 玄風, 善貞, 淨子, and 貞孫), and promoted them, is noteworthy as well (12th of Oct., 791). However, toward the end of 16C –some 950 years later since then – in Osaka the district name of "Kudara-gori", which is the foundation for "Kudaras", suddenly disappeared.

누가 갑자기 [백제군] 지명을 없애 버렸는가
그렇다면 누가 갑자기 [백제군]이라는 행정 지명을 없애 버린 것인가.
그는 1592년 4월에 우리나라 부산 땅을 침범하며 ‘임진왜란’을 일으켜 조선 침략을 저지른 왜장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 1537∼1598)라는 것이 추찰된다. 왜냐하면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죽은 후인 1617(元和 3)년의 고문서에도 백제군이 ‘결군’(缺郡) 되어 그 이름 자체가 행정 지명에서 빠져 버렸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다행이랄까, 그 후에 백제군이라는 본래의 군 행정 지명은 다시 등장했다. 그 경위는 아직 역사 자료가 없어서 자세하게 알 수 없다.
 
Who did suddenly rule out the district name of "Kudara-gori"?
Then, who has suddenly eliminated the district name of "Kudara-gori"?
It can be supposed that that was the Japanese commander general Hideyoshi Toyotomi (豊臣秀吉, 1537∼1598), who invaded the land of Busan(southern port of Korean peninshula) and leading to a war with Chosun Dainasti in April 1592, as the district name of ‘백제군’ itself is missing in an ancient document published in 1617(元和3) – 3 years after the death of Hideyoshi Toyotomi.
However, maybe we can call it a fortune that the original district name of 백제군 has been reinstated later. Yet the details are not known due to the lack of relevant historical material.
 
그러던 것이 일제의 군국주의 치하가 되면서 또 다시 1889년부터 백제군을 없애 버렸다. 그 후 백제군 지역에 새롭게 만들어진 행정 지명은 [남백제촌](南村) 지역과 [북백제촌](北村) 지역이 남과 북 양쪽으로 나뉘어 오사카 중심 지역에 등장하였다(井上正雄, [大阪府全志], 1922). 참으로 백제 지명은 그처럼 숨가쁘면서도 끈질기게 오사카 땅에서 맥맥히 이어졌다. 그것이 백제인들의 은근과 끈기의 강한 뚝심이 아닌가 한다. 물론 이와 같은 ‘백제’(구다라, , 久太郞) 명칭들은 역대 일본 정부의 행정 지명이었다. 그러나 일제의 군국 치하에 이르자 우리나라 고대 백제에서 따왔던 ‘남백제’와 ‘북백제’라는 행정 지명도 드디어 하나하나씩 행정 지명 그 자체가 제거되기 시작했다. 또한 거의 대부분의 ‘백제’ 지명도 하나둘씩 사라지게 되었다.

Then, in 1889, again the district name "Kudara-gori" gets obliterated as Japan falls under the control of a militarist regime. Thereafter, new district names "Minami-   Kudara-mura, town"(南百濟村) and Kita-Kudara-mura, town" (北百濟村) appeared in the central region of Osaka, one in north and the other in south (Inoue Masao "All history of Osaka States", 1922. 井上正雄, "大阪府全志", ). Indeed, the geographical name ‘Paekche’ survived so thrillingly and so persistently in the region of Osaka. Maybe it’s a reflection of Paekche people’s strong will represented by quietness and perseverance. Of course, these district names bearing the string ‘Kudara’ (久太郞) have been official ones designated by past governments of Japan. However, as a militarist regime takes power in Japan, at last the district names ‘Minami-   Kudara-mura, town’ and ‘Kita-Kudara-mura, town’ themselves - derived from ancient Kingdom of Paekche - began to be removed one by one. Also, most of the geographical names bearing the string ‘백제’ disappeared one by one.

남백제와 북백제 지역이라는 행정 지명이 일제에 의해 없어지게 되었다고 하여 이 고장 오사카 큰 터전의 ‘백제’(, 구다라)라고 하는 지명들이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다. 고대로부터 오사카 각 지역에 뿌리박혔던 백제는 오늘에도 끈질기게 그 자취가 살아있지 않은가. 공공 기관으로서 대표적인 공립학교 명칭인 ‘남백제초등학교’는 오랜 일제 군국 치하를 거쳐 오늘에도 엄연하게 교명을 지키고 있는 게 어쩐지 자랑스럽게만 보인다.

However, even if those district names ‘Minami-Kudara-mura, town’ and ‘Kita-Kudara-mura, town’ had been obliterated by the imperialist regime in Japan, it does not mean that the geographical name of ‘Kudara’ itself had completely been ruled out from the region of Osaka proper. Indeed, the footprint of Paekche which had been firmly rooted in every inch of Osaka from ancient times still survives persistently now on today. Seeing ‘Minami-Kudara Primary School’ still firmly preserving its name now on today despite the prolonged rule of imperialist regimes in Japan, I feel kind of proud myself.
 
필자는 지난 날 지금의 오사카 큰 지역은 본래부터 백제인들의 구다라스(洲)였다고 하는 11세기 말(1098, 承德二年)의 ‘난바팔랑화도(難波八浪華)’를 찾아보면서 오사카 지역이 고대에는 [백제국]으로 불렸다는 발자취를 자세하게 알 수 있었다. 일본 정복의 초기 지배자였던 백제인 오진왕(王, 백제의 곤지왕자) 등 상세한 역사 내용은 본문에 기술했다. 두 말할 것 없이 일본의 저명한 사학자들의 역사론이 그 바탕이다. 실예를 들자면 일본의 저명한 역사학자 이시와타리 신이치로(1926~ .石渡信一郞) 씨의 일본 고대 역사 연구서에 보면 {백제로부터 건너온 오진천황]([百濟から渡來した應神天皇] 2001)이 있다. 저자는 도쿄도립 치토세고등학교 역사 교사였다.
 
While I was chasing the painting "Map of Nanba-hachinami" (難波八浪華圖) crafted toward the end of 11C (1098, 承德二年), bearing an evidence that the Osaka proper of today was originally the "Kudarasu"(百濟洲) ruled by Kudara immigrants, I could fully understand the details about how and why the region of Osaka came to be referred to as "Kudara State". For historical details about early rulers including Emperor Ojin (reign: 4~5C, Prince Gonji of Paekche Kingdom) while Japan was under the control of Paekche Kingdom, please refer to later descriptions. Not to mention above is based upon the views of renowned historians in Japan. For an Exemple, a well known ancient Japanes history studies "Emperor Ojin came from    Kudara"([百濟から渡來した應神天皇] 2001) by Ishiwatari Shinichiro(1926~ . 石渡信一郞). he was a history teacher of Tokyo public high school, Chitose.
 
그러면 이제부터 우리는 먼저 고대 백제인들의 뜨거운 숨결이 연면하게 이어져 온 오사카 땅 중심지, 그 정다운 옛 터전 남백제(南) 지역이며 ‘난바’(難波, 난파) 등지를 한 곳 한 곳 함께 둘러보면서 이야기를 나눠보자.
백제(百濟)라는 한자어를 일본인들은 [구다라, くだら]로 부르고 있다. 이 ‘구다라’는 일본어가 아니며 백제 부여땅 [구드래]에서 생겼다는 것도 밝혀둔다.
 
Now, let us first look around one by one those friendly old places in central Osaka such as ‘Minami-Kudara-mura, town’ or ‘Nanba’ where the impressive progression of ancient Paekche folks have been continued without interruption, and then go ahead with our exploration.
The Japanese pronounce the Chinese character ‘百濟’ as Kudara. With the notion that this word ‘Kudara’ is not a Japanese word in itself and has been derived from the town name of Kudrae in Buyeo, Paekche Kingdom, firmly anchored in your mind.
 
 



기사입력: 2009/10/26 [11:28]  최종편집: ⓒ 독서신문i
 

짙은화장 클렌징
올리브로 지우자
살빼기 쉬운법!
65kg→48kg

1만원대 의료실비..
1만원대 의료실비..

건강선물★추천
숙성발효★흑마늘

컴퓨터 싸게 잘사..
최저가 178,5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