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기전후 무렵부터 562년까지 한반도의 남단인 지금의 경상남북도 서부지역에 존재하였던 국가들의 총칭, 또는 좁은 의미에서 보아 김해의 가야국(加耶國)이나 고령의 대가야국(大加耶國). 기원을 전후한 시기에 이르러 경상남도 해안지대에 철기문화가 보급되면서, 이 지역에서는 사회통합이 진전되어 변한소국들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발전추세가 지속됨에 따라 소국간의 통합이 한 단계 더 진행되어, 2∼3세기에 변한지역은 김해의 가야국을 중심으로 변한소국연맹, 즉 전기가야연맹을 이루게 되었으며, 그 세력범위는 낙동강유역 일대에 널리 퍼져 있었다. 그러다가 4세기초 이후 국제관계의 변화에 따라 전기가야연맹은 약화되기 시작하여, 4세기말 5세기초에는 그 중심지역이 큰 타격을 입었다. 그러나 5세기 후반에 들어 옛 가야지역의 내부에서 재통합의 기운이 일어나고 지배권력의 주체 및 중심지역이 옮겨져서, 고령의 대가야국을 중심으로 후기가야연맹이 형성되었으며, 이들은 그뒤 백제 · 신라와 대등하게 세력을 다투었다. 그러나 신라 · 백제의 팽창에 따라 530년대에 김해의 금관국을 비롯한 남부지역이 병합되자 가야는 다시 약화되고, 결국은 562년 고령 대가야가 신라에게 병합됨으로써 후기가야연맹은 완전히 몰락하고 말았다. 가야는 문헌기록에 여러 가지로 이름을 남기고 있는데, ‘가야(加耶 · 伽耶 · 伽倻)’외에 ‘구야(狗邪 · 拘邪)’,‘가라(加羅 · 加良)’,‘가락(伽落)’ 등의 이름이 전하고 있다. 이러한 명칭들은 모두 ‘가야’ · ‘가라’를 음차표기한 것인데, 그 가야의 뜻에 대해서는 ‘갈래[分派]’,‘강(江)’,‘겨레[同族]’,‘성(城)’등 여러 가지가 있다. 가야에 속하는 국가들로서는 먼저 《삼국지》의 변진12국(弁辰十二國), 즉 미리미동국(彌離彌凍國) · 접도국(接塗國) · 고자미동국(古資彌凍國) · 고순시국(古淳是國) · 반로국(半路國, 혹은 半跛國) · 악노국(樂奴國) · 군미국(軍彌國) · 미오야마국(彌烏邪馬國) · 감로국(甘路國) · 구야국(狗邪國) · 주조마국(走漕馬國) · 안야국(安邪國) · 독로국(瀆盧國) 등이 있다. 한편, 국내 사료인 《삼국유사》의 5가야조에는 아라가야(阿羅伽耶) · 고령가야(古寧伽耶) · 대가야(大伽耶) · 성산가야(星山伽耶) · 소가야(小伽耶) · 금관가야(金官伽耶) · 비화가야(非火伽耶) 등이 있고, 《삼국사기》 지리지에는 고령가야 · 금관국 · 아시라국(阿尸良國) · 대가야국(大加耶國) 등이 나타나 있다. 또한, 《일본서기》에 전하는 것으로서 남가라(南加羅) · 탁순(卓淳) · 탁기탄(啄己呑)과 멸망 당시의 이른바 임나십국(任那十國)인 가라국(加羅國) · 안라국(安羅國) · 사이기국(斯二岐國) · 다라국(多羅國) · 졸마국(卒麻國) · 고차국(古嵯國) · 자타국(子他國) · 산반하국(散半下國) · 걸찬국(乞飡國) · 염례국(稔禮國) 등이 있다. 그 중에서 지명고증이 대개 일치하는 것은 김해(狗邪國 · 金官伽耶 · 金官國 · 南加羅) · 함안(安邪國 · 阿羅伽耶 · 阿尸良國 · 安羅國) · 고성(古資彌凍國 · 小伽耶 · 古嵯國) · 합천(多羅國) · 고령(大伽耶 · 大加耶國 · 加羅國) 정도이며, 고령 대가야의 전신에 대하여는 미오야마국으로 보는 견해와 반로국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 가야의 건국설화로는 두 종류가 있으며, 이는 각기 김해와 고령지방에 전하고 있다. 김해에 전하는 수로왕신화는 《삼국유사》 가락국기조에 수록되어 있으며, 전형적인 천강신화(天降神話)의 요소를 나타낸다. 즉, 김해지방에는 원래 아도간(我刀干) 등의 가락9간(駕洛九干)이 있었는데, 그들은 서기 42년(후한 건무 18)에 ‘구지봉’에서 〈구지가 龜旨歌〉를 부르면서 천신을 맞이하였다. 그때 하늘에서 내려온 황금알 6개 중 가장 먼저 동자로 화한 것이 수로이고, 그가 나라를 세워 대가락 또는 가야국이라 칭하였으며, 나머지 다섯 사람은 각기 돌아가 5가야주(五伽耶主)가 되었다고 한다. 이는 서기전후 시기의 김해지역에서 9간으로 대표되는 지배세력들이 보다 문화능력이 높은 수로집단에 의해 통합되어 가야국이 출현하는 것을 반영한 설화이다. 고령에 전하는 대가야 시조신화는 《동국여지승람》 고령현조에 수록되어 있으며, 형제설화의 요소를 나타낸다. 이에 따르면 가야산신 정견모주(正見母主)가 천신 이비가지(夷毗訶之)에게 감응되어 대가야왕 뇌질주일(惱窒朱日)과 금관국왕 뇌질청예(惱窒靑裔) 두 사람을 낳았는데, 뇌질주일은 이진아시왕(伊珍阿시王)의 별칭이고 청예는 수로왕의 별칭이라고 한다. 여기에 수로와의 형제관계가 나타나 있는 것으로 보아, 이 설화는 수로신화보다 늦은 시기에 성립된 것으로서, 고령지방의 토착집단이 대가야의 정통임을 표방하며, 가야연맹의 주도적 존재로 대두하는 것을 반영한 설화로 보인다.
좀더 쉽게 설명하자면~
1. 건국 신화
《삼국유사》에는 “하나의 자줏빛 끈이 드리워져 6개의 둥근 알이 내려왔는데, 다섯은 각기 읍으로 돌아가고 하나만 이 성에 남았구나"라고 하였으니, 그 하나는 수로왕이 되었고, 나머지 다섯은 각각 5가야의 주인이 되었다.”고 나와있다. 여기서 5가야란 대가야, 성산가야, 아라가야, 고령가야, 소가야이고, 수로왕이 남은 성이 가락국 즉 금관가야이다. 그러나 6가야에 대해서는 다른 전승도 많은데, 《고려사략》(高麗史略)은 금관가야, 고령가야, 비화가야, 아라가야, 성산가야의 다섯 가야가 존재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2. 역사
가야의 소국들은 2~3세기경에 김해부근에 있던 금관가야를 중심으로 전기 가야 연맹을 구성했다. 그러나 가야 연맹을 고구려가 공격하면서 쇠락기에 들어섰다. 5~6세기경, 고령부근의 대가야를 중심으로 후기 가야 연맹이 구성되었다. 후기 가야 연맹은 신라와 백제사이에서 압박을 받으며 차례로 무너졌고, 562년 대가야가 신라에게 병합되며 완전히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3. 일본과의 관계
가야는 형성기에 일본 기타큐슈 지방의 왜와 관계가 가까웠다. 가야와 왜의 관계에 대해 일본의 수정주의 역사가들은 아직도 논쟁을 계속하고있다. 일본서기에서는 가야(일본어로 미마나[출처 필요])가 왜의 식민지나 속국으로 기록되어있다. 한국의 기록에는 이에 대한 언급이 없고 고고학적으로도 당시 가야는 철기문명을 바탕으로 다양한 마구와 판갑을 이용활용한 조직적인 군대를 운용한 선진 군사문화를 이룬 반면 왜는 6세기 초까지 제련로를 만들지 못하였으며 무기도 단도와 얇은 양날창 등 초보적인 무기가 활용되어 조직적인 군대 운용의 흔적이 없는 시기 였음으로 대부분의 학자는 이런 설을 부정하고있다.
오늘날 대부분의 학자들은 가야와 왜는 가까운 관계이나 지배관계는 아니라고 인정하고 있다
4. 가야왕조계보
代 |
왕명 |
재위기간 |
약사 |
1 |
수로왕(首露, 42~199) |
42~199 |
42년 알에서 낳아서 곧 즉위. 아유타국(인도의 한 국가) 공주 허황옥과 결혼함 |
2 |
거등왕(居登, ?~253) |
199~259 |
수로왕의 아들. 어머니는 허황옥 |
3 |
마품왕(麻品, ?~291) |
259~291 |
거등왕의 아들 |
4 |
거질미왕(居叱彌, ?~346) |
291~346 |
마품왕의 아들. |
5 |
이시품왕(伊尸品, ?~407) |
346~407 |
거질미왕의 아들 |
6 |
좌지왕(坐知, ?~421) |
407~421 |
이시품왕의 아들. 금토왕(金吐王), 김질(金叱). 왕비 용녀의 사람들을 관리로 등용하여 시끄러웠다. 후에 왕비를 귀양 보내고 백성을 편안히 다스렸다. |
7 |
취희왕(吹希, ?~451) |
421~451 |
좌지왕의 아들. 질가(叱嘉) |
8 |
질지왕(?~492) |
451~492 |
취희왕의 아들 |
9 |
겸지왕(鉗知, ?~521) |
492~521 |
고이왕 아들. |
10 |
구형왕(仇衡, ?) |
521~532 |
겸지왕의 아들. 신라 진흥왕이 쳐들어오자 영토를 바치고 귀순함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