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hscity.net/hscity/images/oldimg/page_left01.gif) |
|
![](http://www.hscity.net/hscity/images/oldimg/page_right01.gif) |
|
![](http://www.hscity.net/hscity/images/oldimg/page_left_img01.gif) |
자료관리담당 : 문화예술과 | 문화재담당 ☎ 031-369-2068 |
최종수정일 : 2009-03-04 |
![](http://www.hscity.net/hscity/images/oldimg/page_right_img01.gif) | |
![](http://www.hscity.net/hscity/images/oldimg/page_left_img02.gif) |
매우만족 만족 보통 불만족 매우불만족 |
|
![](http://www.hscity.net/hscity/images/oldimg/page_register_btn.gif) | | |
국가지정문화재 |
![](http://www.hscity.net/images/blank.gif) |
|
문화재는 그 형태와 역사적 배경, 조형미와 역사성 등 모든 면에서 으뜸가는 것을 국가에서 지정하여 국보, 보물, 사적 등으로 구분 보호하고 있으며, 각 지방의 우수한 문화재는 그 지방 단위로 유형 문화재, 기념물, 문화재 자료 등으로 지정 보존하고 있다. 우리 조상들이 남겨놓은 유형, 무형의 문화적인 유산을 문화재라고 할 때 화성시 관내에는 실로 다양하고도 다채로운 문화재가 가득함을 느낄 수 있다.
화성시 관내에는 국보, 보물, 지방 유형 문화재, 기념물, 문화재 자료 등은 물론 중요 민속자료와 천연 기념물, 무형문화재, 향토유적 등 다양한 방면의 문화재가 곳곳에 보존되어 있어 문화재의 보고(寶庫)임을 느끼게 한다. 종교적으로 볼 때에도 불교적인 유적, 유물, 유교적인 유적, 유물, 기독교적인 유적, 유물 등이 화성시 전역에 고루 자리 잡고 있다. 2002년 12월 현재, 화성시에 소재한 국가지정문화재의 목록을 정리해 보면 표-1과 같다. |
|
지정번호 |
문화재명 |
위 치 |
지정일자 |
제작년대 |
비 고 |
국보 제120호 |
용주사 범종 |
송산동 188 |
1964.03.30. |
고려시대 |
|
보물 제980호 |
봉림사 목아미타불 좌상 |
북양동 642 |
1984.04.10. |
1362년 |
|
보물 제1095호 |
봉림사 목아미타불 좌상 복장전적 |
송산동 188 |
1991.09.30. |
1378년 |
|
사적 제206호 |
융릉·건릉 |
안녕동 산 1-1 일원 |
1970.05.26. |
조선 정조 |
|
사적 제217호 |
당성 |
서신면 상안리 산 32 일원 |
1971.04.15. |
고구려 |
|
사적 제299호 |
제암리 3·1운동 순국유적 |
향남읍 제암리 322-4 일원 |
1982.12.21. |
일제시대 |
|
천연기념물 제414호 |
화성 고정리공룡알화석지 |
송산면 고정리 산 5 일원 |
2000.03.22. |
중생대 백악기 |
|
중요민속자료 제124호 |
화성 정용채가옥 |
서신면 궁평리 109 |
1984.01.10. |
1700년경 |
|
중요민속자료 제125호 |
화성 정용래가옥 |
서신면 궁평리 108 |
1984.01.10. |
19C말 |
|
천연기념물
제470호 |
전곡리물푸레나무 |
서신면 전곡리 149-2 |
1996.04.04. |
17세기
식목추정 |
|
|
화성시에서 유일하게 국보로 지정되어 있는 용주사의 범종(제120호)은 고려 초기에 조성된 것으로 신라시대 범종의 각부 양식을 잘 계승하면서 고려시대 양식으로 넘어가기 직전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어 고려 초기 범종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그 위상이 높게 평가되고 있다.
보물로는 북양동에 위치한 봉림사의 목조아미타불좌상(제980호)과 목조아미타불좌상복장전적일괄(제1095호)이 있는데 봉림사의 목조아미타불좌상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고려시대의 목조여래좌상으로 알려져 있다. 물론 그 이전 시기에도 목불을 조성하기는 하였으나, 현재까지 고려시대 조성으로 판명된 것은 봉림사의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이 유일하다. 이와 함께 목불에서 복장 전적 8종이 발견, 조사되어 보물로 지정 보존되고 있는 바 이 또한 고려시대 희귀본으로 주목받고 있다.
국가지정 사적으로서는 당성(唐城, 제217호), 융릉·건릉(隆陵·健陵, 제206호), 제암리 3·1운동순국유적(堤巖里三一運動殉國遺蹟, 제299호)이 있다. 사적이란 글자 그대로 역사의 현장, 역사의 고장, 역사의 증언을 알려주는 역사적인 기념물이다. 삼국시대에 조성된 당성의 역사성은 말할 것도 없거니와 융릉과 건릉은 조선시대 능묘 양식을 연구하고 석조 유물을 살피며 석조 조각을 비교 검토할 수 있는 귀중한 유물인 점에서 주목을 끌고 있다. 제암리 3·1운동 순국 유적은 최근의 것이기는 하지만 일제 침략기의 독립운동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유적지로 그 역사성에 비추어 다시없는 유적지로 평가되고 있다. 제암리 교회에서의 참상은 일제의 잔악상이 그대로 드러난 현장으로 우리 후손에게 남길 교훈을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도 잘 보존해야할 것이다.
천연 기념물에 있어서도 다른 고장 못지않게 귀중하게 여겨지는 문화재가 있다. 송산 공룡알화석지와 전곡리물푸레나무가 그것인데 특히 천연기념물 제470호로 지정되어 있는전곡리물푸레나무는수령 350년 추정으로 수목이 수려하고 아름답다. 중요 민속자료로는 정용채가옥(鄭用采家屋, 제124호)과 정용래가옥(鄭用來家屋, 제125호)이 지정 보존되어 있다. 가옥들의 역사성·구조·배치 등으로 보았을 때 우리나라의 민속자료로는 국가적 차원에서 보존해야 할 가치가 있는 것이어서 우리 고장의 또 하나의 자랑거리라 하겠다. | |
도지정문화재 |
![](http://www.hscity.net/images/blank.gif) |
|
지정번호 |
문화재명 |
위 치 |
지정일자 |
제작년대 |
비 고 |
도유형 제11호 |
금동향로 |
송산동 188 |
1972.05.04. |
조선시대 |
|
도유형 제12호 |
청동향로 |
송산동 188 |
1972.05.04. |
조선시대 |
|
도유형 제13호 |
용주사 상량문 |
송산동 188 |
1972.05.04. |
조선 정조 |
|
도유형 제14호 |
전적 수사본 |
송산동 188 |
1972.05.04. |
조선시대 |
|
도유형 제15호 |
용주사 병풍 |
송산동 188 |
1972.05.04. |
조선 정조 |
|
도유형 제16호 |
용주사 대웅전 후불탱화 |
송산동 188 |
1972.05.04. |
조선 정조 |
|
도유형 제17호 |
불설부모은중경 |
송산동 188 |
1972.05.04. |
조선 정조 |
|
도유형 제85호 |
윤계선생순절비 |
남양동 산 29 일원 |
1979.09.30. |
1636년 |
|
|
|
|
|
|
|
도무형 제2호 |
부의주(동동주) |
향남읍 구문천리 540-4 |
1987.05.14. |
미상 |
기능보유자: 권오수 |
도유형 제136호 |
서거정선생묘지석 |
봉담읍 왕림리 47 |
1989. 6. 1 |
1488년 |
세종시대 분실, 22쪽 중 19쪽 보존 |
도유형 제163호 |
박세채영정 |
동탄면 영천리 142 |
1996.12.24 |
조선(17세기말) |
|
도기념물 제13호 |
남이장군묘 |
비봉면 남전리 산145 일원 |
1973.07.10. |
1441년 |
|
도기념물 제86호 |
백천장 선생묘 |
기안동 140-1 일원 |
1985.09.20. |
고려시대 |
|
도기념물 제93호 |
수원고읍성 |
기안동 산 1 일원 |
1986.07.10. |
고려말 |
|
도기념물 제153호 |
신빈김씨묘역 |
남양동 산 131-17 일원 |
1994 12.24. |
1464년 |
|
도기념물 제161호 |
만년제 |
안녕동 152 일원 |
1996.07.22. |
1797년 |
|
도기념물 제168호 |
남양홍씨묘역 |
서신면 홍법리 산 30 일원 |
1999.04.23. |
조선 중종 |
봉분11기 |
도민속자료 제6호 |
정원채고가 |
송림동 320 일원 |
1985.06.24. |
1904년 |
|
문화재자료 제34호 |
남양향교 |
남양동 335 |
1983.09.19. |
1397년 |
|
문화재자료 제35호 |
용주사 대웅보전 |
송산동 188 |
1983.09.19. |
1790년 |
|
문화재자료 제36호 |
용주사 천보루 |
송산동 188 |
1983.09.19. |
1790년 |
|
문화재자료 제74호 |
홍승인고가 |
정남면 문학리 628 일원 |
1983.09.19. |
19세기 말 |
|
문화재자료 제112호 |
남양풍화당 |
남양동 651-6 일원 |
2002.09.16. |
1852년 |
|
문화재자료
제121호 |
우성전,우하영묘역 |
매송면숙곡리 산79-1 일원 |
2003.04.21. |
조선중기 |
|
|
우리 화성시에는 유형문화재로 박세채 영정·서거정선생 묘지석·용주사 금동향로·용주사의 대웅전 후불탱화를 비롯하여 용주사의 병풍·상량문·전적수사본·청동향로·불설부모은중경과 윤계선생 순절비 등이 지정 보존되어 있다. 용주사의 유물들이 대부분 차지하고 있는데 이 가운데 특히 대웅전의 후불탱화는 단원 김홍도의 그림으로 알려져 있는 귀중한 것으로 그 화법이나 채색, 사물의 배치 등 전체의 탱화 작성이 가히 보물급이라는 칭찬을 받고 있다. 또한 부모은중경도 높이 평가되고 있어 이 방면 연구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박세채 영정은 채색과 구도로 주목받고 있으며 서거정 선생의 묘지석과 윤계선생 순절비는 두 분 선생의 발자취를 밝히는 데 귀중한 사료가 되고 있다.
기념물로는 남양홍씨묘역·남이장군묘·만년제·백천장선생묘·수원고읍성·신빈김씨묘 등이 지정되어 있다. 이 가운데에서 남양홍씨와 남이 장군의 묘역은 각기 묘소의 양식과 석물들의 배치 등이 주목을 끌고 있다. 수원 고읍성과 만년제 등은 이 고장의 역사와 문화를 알리는 데 귀중한 자료로 평가되고 있다. 경기도 민속자료로는 정원채 고가가 지정되어 있는데 건물의 구조뿐 아니라 방과 마루, 사랑채의 배치 등이 주의를 끌며 골기와 지붕이나 문틀 등의 세세한 부분까지도 주목받고 있다.
무형문화재로는 상여회다지소리가 지정되어 있다. 이것은 회다지를 진행할 때 읊는 소리이기 때문에 한 사람으로 재연할 수 없어 여러 인원이 필요하다. 또한 소리란 교과서식으로 학습하며 터득하는 것이 아니므로 잊혀지지 않도록 수시로 실연하고 맥을 이어가지 않으면 그 보존이 어렵다. 따라서 이에 대한 보존 대책이 있어야 할 것이다.
지방문화재에는 유형문화재·기념물 이외에 문화재자료가 있다. 문화재자료는 문화재로 보존할 가치는 있지만 유형문화재나 기념물 등으로 지정하는 데 다소 미흡한 점이 있어 설정한 문화재 종류이다. 그러나 실상 그 자료의 역사성이나 조형적인 면에서 좀 더 소상하게 알아보면 지정가치를 한 단계 높여 유형문화재 혹은 기념물로 승격시킬만한 자료가 상당수 있는 것으로 안다. 보물로 지정되었던 것이 그 자체는 물론 주변의 역사성에 비추어 국보로 승격되어 지정된 문화재가 여럿 있음을 보면 그것을 알 수 있다.
화성시에 지정되어 있는 문화재 자료로는 남양 향교·용주사 대웅보전·용주사 천보루·홍승인 고가 등이 있는데 이 가운데에서 용주사 대웅보전은 역사성이나 건축양식 등으로 보아 문화재 자료에서 승격시킬만한 건축물이 아닌가 한다. 남양 향교도 건축적인 면에서 다소 뒤진 점이 있다고 해도 역사적으로 보아 기념물 지정의 대상은 되지 않을까 하는 욕심이 생긴다. 홍승인 고가도 보수한 부분이 다소 있기는 하지만 규모와 배치면에서 드문 케이스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
| |
![](http://www.hscity.net/hscity/images/oldimg/02/1_depth.gif) |
향토유적 |
![](http://www.hscity.net/images/blank.gif) |
|
지정번호 |
문화재명 |
위 치 |
지정일자 |
제작년대 |
비 고 |
향토유적 제1호 |
안곡서원 |
서신면 상안리 585 |
1986.5.20 |
1666년 |
도원제공, 송춘공, 인제공의 위패봉안 |
향토유적 제2호 |
최루백효자비각 |
봉담읍 분천리 165 |
1986.5.20 |
조선시대 |
|
향토유적 제3호 |
이곤선생 효자문 |
봉담읍 상리 산 97 |
1986.5.20 |
조선시대 |
|
향토유적 제4호 |
홍담 효자각 |
서신면 흥법리 산 32 |
1986.5.20 |
1539년 |
|
향토유적 제5호 |
한명윤·밀양박씨 충렬각 |
양감면 정문리 198-3 |
1986.5.20 |
1593년 |
|
향토유적 제6호 |
박장철효자각 |
동탄면 장지리 493-2 |
1986.5.20 |
1780년 |
1945중건 |
향토유적 제7호 |
금산사 |
팔탄면 창곡리 산 14 |
1986.5.20 |
1912년 |
김유신, 설총, 최치원 위패봉안 |
향토유적 제9호 |
수촌교회 |
장안면 수촌리 674-1 |
1986.5.20 |
1905년 |
|
향토유적 제10호 |
홍한 묘역 |
서신면 홍법리 산 70-1 |
1986.5.20 |
조선시대 |
|
향토유적 제11호 |
최운식 기념비 |
정남면 괘랑리 산 143-1 |
1999.10.18 |
1940년 |
|
향토유적 제12호 |
남양홍씨 열녀 정려문 |
송림동 산 125 |
1999.10.18 |
조선 정조 |
|
향토유적 제13호 |
반남박씨 묘역 |
동탄면 석우리 산 1-1 |
2001.9.14 |
조선시대 |
|
향토유적 제14호 |
노작 홍사용 묘역 |
동탄면 석우리 산 77 |
2002.12.3 |
1947년 |
|
|
화성시에는 향토유적이라는 명칭 하에 보존책을 강구하고 있는 문화유산들이 상당수 있다. 금산사·남양홍씨 열녀정려문·박장철 효자각·수촌 교회·안곡 서원·이곤선생 효자문·최루백 효자비각·최윤식기념비·한명윤·밀양박씨 충렬각·홍담 효자각·홍한 묘역 등이 향토 유적으로 지정, 보존되어 있는데 이들 문화유적은 문화재자료로도 지정할 수준이 아니어서 자료로 지정하지 않고 다만 향토문화재로만 보존하고 있는 것이다. 향토유적으로 지정 보존하고 있으니 유적을 보존한다는 뜻에서는 별다른 문제가 없겠으나 무엇으로든지 지정되면 지정 종류에 따라 그 문화유산의 위상이 문제되고 또한 지정 종류에 따라서 보존상 국비지원·지방비 지원·자비부담 보존책이 따르기 때문에 이러한 지정 문제는 신중을 기해야 될 것이다. 향토유적에는 사찰문화재는 물론 유교 문화재·기독교 문화재 등 각 종교에 따른 문화유산들도 있는데 어떠한 종교에도 편중되지 않는 판단으로 유적 지정에 불평불만이 없도록 해야 한다. 옛 선학들의 말씀이 “지정하는 데 인색하지 말아야 한다. 지정되면 여하튼 보존 된다.”고 하였다. 평범한 말이지만 오늘날 문화유산을 접할 때 다시금 떠오른다.
한편 화성시에 전해지는 많은 유적·유물들 중 문화재로 지정되지 못한 것들을 시대별, 종류별 등으로 나누어 제6장에서 살펴볼 것이다. 그 중 용주사의 목어는 대단히 주목받는 목조 조각품이라 하겠다. 불가에서는 불구사물(四物)이라 하여 범종과 법고·운판·목어를 일컬어 대체적으로 종각이나 누마루전각에 이 사물(四物)들을 달아주어 행사 때마다 치고 있다. 범종은 사람을 제도하기 위한 종이어서 인경이라고도 말하고 법고는 네발 달린 짐승, 예컨대 소, 개, 돼지 등의 동물을 제도하기 위하여 치는 북을 일컬음이다. 하늘을 나는 새들을 제도하기 위해서는 운판을 쳐서 창공에 땡땡 맑은 소리가 울리도록 하며, 헤엄쳐 다니는 물속의 고깃떼들을 제도하기 위해서는 목어를 따다닥 쳐서 장단을 맞추는 것이다. 이 때 목어를 보면 길쭉한 나무를 깎아 고기모양으로 만들고 그 속을 모두 파내어 퉁퉁 소리가 나도록 한다. 그리고 표면에는 고기의 머리와 비늘, 지느러미까지 채색하여 물고기와 똑같은 형태를 만들어 공중에 매달아 치기 때문에 그 소리도 맑으면서 가라앉아 마치 물 속에서 들리는 소리인 듯 하다. 이 같은 면에서 용주사의 목어는 그 조성 양식이나 수법에 있어서 귀중하게 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불교적인 문화유산, 석조물 편을 별도로 ‘석탑과 부도"로 설정하여 관항리 3층 석탑, 문학리 부도, 문학리 5층 석탑, 선화대사 부도, 용주사 5층 석탑, 용주사 천보루 앞 5층 석탑을 다루고 있는데 이 가운데서 관항리 3층 석탑과 선화대사 부도 및 석비, 용주사의 5층 석탑과 천보루 앞 5층 석탑은 대단히 주목할만한 석조물들이라 하겠다.
우선 관항리 3층 석탑은 현 위치가 원위치인지는 알 수 없으나 기단부 구성이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 찾아볼 수 없는 특수한 고려시대의 양식을 보이고 있어 주목된다. 즉 하대석은 석등 하대석과 같이 8각 연화문 대석으로 이루어졌고 그 위의 중대석은 8각 면석으로 조성되었다. 그리고 그 위의 갑석은 하면이 8각으로 8판의 앙련(仰蓮)이 조각되었으나 측면에 이르러는 정사각형의 갑석이다. 그리고 상면에 널찍한 정사각형의 괴임대를 마련하여 답신부를 받치고 있다.
이렇듯 기단부가 정사각형의 평면이 아니고 8각 복련의 연화대 하대석과 8각 면석, 정사각형의 갑석 하면이 8각 앙련으로 구성된 석탑은 고려시대 건립으로는 오직 이곳의 관항리 3층 석탑 뿐이다. 탑신부에 있어서 부재가 결실된 부분이 있으므로 국가지정에는 못 미치더라도 지방유형문화재로는 지정할 가치가 충분하다고 생각되어진다.
선화대사의 부도와 석비도 선화대사의 역사적 위상, 조선시대의 불교사 연구상 그의 역할, 부도와 석비 자체의 양식과 수법 등으로 보아 지방문화재로 지정할 가치가 충분한 것으로 사료된다. 선화대사의 부도와 석비는 현재 옛 만의사 절터에 나란히 건립되어 있다. 부도는 조선시대 전형적인 양식인 1석 조성의 석종형 부도로 상단의 보주까지 완전하게 보존되어 있다. 석비는 바로 옆 동쪽에 건립되어 있는데 비신 상단에 이수가 마련되어 비신과 이수가 한 돌로 이루어져 있다. 비신의 전자와 해서 음각의 비문이 앞, 뒤에 잘 남아있을 뿐만 아니라 구름과 용으로 표현된 이수의 조각은 그 웅장함과 생동감이 돋보인다. 선화대사는 속성이 이씨이며 이름은 경림(敬淋)으로 1566년(명종 21)에 출생하여 16세에 출가해 서산대사와 사명대사로부터 수학하였다. 그리하여 서산대사와 사명대사의 법맥을 이어가며 높고 고결한 지행으로 법문을 듣는 이가 많았다는 고승대덕으로 유명한 역사적인 인물이라는 점에서도 그 유적은 주목해야 될 것이 아닌가 한다.
용주사의 5층 석탑과 천보루 앞 5층 석탑은 각각 탑신부에 있어 부재가 하나, 둘 결실 보강된 부분이 있으나 고려시대의 작품임을 잘 보여주는 석탑인 동시에 특히 기단부에 있어서 장식적인 지대석과 면석, 초층탑신석 등은 주목받는 석탑으로 평가받고 있다.
사찰문화재로서는 사찰과 옛 절터의 항목을 설정하여 고찰하였고, ‘서원과 사우"의 항목에서는 명고서원, 매곡서원, 충장공 권율 부조묘 등을 들고 있는데 이러한 것들을 살펴보면 유교적인 면에서도 우리 고장을 생각해 볼 수 있게 한다. 고가옥과 주목되는 건축물에 있어서는 나씨 고가, 노창호 고가, 정용래 가옥, 남양 기로소 등을 거론하고 있는데 이들 고가들은 우리 고장의 전통적인 고가 연구에 귀중한 자료들이 되고 있다. 성과 성터는 길성리 토성을 비롯하여 12개소 등이 있는데 이것으로 보아 화성시 지역은 고대부터 역사적으로 성읍과 같은 작은 마을이 이곳저곳에 올망졸망 있었던 고장임을 알 수 있겠다. |
| |
![](http://www.hscity.net/hscity/images/oldimg/02/1_depth.gif) |
각종 비·정려 현황 |
![](http://www.hscity.net/images/blank.gif) |
|
이 밖에도 옛 봉수지, 역참지 분묘와 석물, 무형문화재 등 광범위한 유형·무형의 문화유산들을 다음의 각 장, 절 등에서 자세히 풀어 우리 고장이 문화의 보고임을 느끼게 할 것이다. 한편 화성시에는 아직 자세한 조사가 이루어진 바는 없지만 보존해야 할 가치가 있는 많은 유물·유적들이 곳곳에 산재해 있다. 그 중 각종 비와 정려, 그리고 보호수의 현황을 간단하게 정리해 두고자 한다. 이에 대하여는 앞으로 학술적인 조사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
명칭 |
소재지 |
건립년도 |
정석규·달성서씨 정려문 (鄭錫揆·達成徐氏 旌閭門) |
신남동 26-4 |
1884년(고종 21) |
홍술연 효자문 (정석규·달성서씨 정려문 (鄭錫揆·達成徐氏 旌閭門)洪述淵 孝子門) |
서신면 전곡리 101 |
1887년(고종 24) |
정추 효자문 (鄭推 孝子門) |
매송면 어천리 |
1713년(숙종 39), 1740년(영조 16) 개립(改立) |
안동권씨 효부문 (安東權氏 孝婦門) |
봉담읍 상기리 |
1783년(정조 7) |
최일황·우흥 정려문 (崔一晃·遇鴻 旌閭門) |
장안면 수촌리 |
1832년(순조 32), 1872년(고종 9) |
김연호 효자문·광주이씨 열녀문 (金淵浩 孝子門·廣州李氏 烈女門) |
장안면 독정리 |
1827년(순조 27) |
기계유씨 열녀문 (杞溪兪氏 烈女門) |
장안면 독정리 산 149-1 |
1783년(정조 7) |
우상대 효자문 (禹相大 孝子門) |
정남면 망월리 |
1888년(고종 25) |
김광서 효자문 (金光瑞 孝子門) |
유몽룡 충렬문 (劉夢龍 忠烈門) |
차운혁 충렬비 (車云革 忠烈碑) |
지상규 효자정려 (池相奎 孝子旌閭) |
서백호 효자비 (徐伯虎 孝子碑) |
선정비군 (善政碑群) |
강덕휘·강기환·부안장씨 정려문 (姜德輝·姜璣煥·扶安張氏 旌閭門) |
남정유·남철 충효 정려문 (南挺?r·南撤 忠孝 旌閭門))·南撤 忠孝旌閭門 | |
양감면 사창2리 691 |
정남면 망월리 |
정남면 괘랑리 |
서신면 상안리 87 |
남양동 |
남양동 |
정남면 괘랑3리 1078-1 |
매송면 송라리 산 122 | |
1870년(고종 7) |
1885년(고종 22) |
1860년(철종 11) |
1860년(철종 11) |
1922년 |
|
1855년(고종 22) |
1609년(광해군 1), 1694년(숙종 20) | | |
![](http://www.hscity.net/hscity/images/oldimg/02/1_depth.gif) |
보호수현황 |
![](http://www.hscity.net/images/blank.gif) |
|
이 밖에도 옛 봉수지, 역참지 분묘와 석물, 무형문화재 등 광범위한 유형·무형의 문화유산들을 다음의 각 장, 절 등에서 자세히 풀어 우리 고장이 문화의 보고임을 느끼게 할 것이다. 한편 화성시에는 아직 자세한 조사가 이루어진 바는 없지만 보존해야 할 가치가 있는 많은 유물·유적들이 곳곳에 산재해 있다. 그 중 각종 비와 정려, 그리고 보호수의 현황을 간단하게 정리해 두고자 한다. 이에 대하여는 앞으로 학술적인 조사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
내용 지정번호 |
수종 |
구분 |
소재지 |
형태 |
|
수령(년) |
수고(m) |
둘레(m) |
수관직경(m) |
지정일 |
경기-화성-68 |
회화 나무 |
정자목 |
남양1163 (남양초교 교정내) |
370 |
11 |
3.6 |
11 |
1982.10.15 |
경기-화성-69 |
회화 나무 |
정자목 |
남양동 651-1 (남양초교 정문 앞) |
370 |
9 |
3.2 |
10 |
1982.10.15 |
경기-화성-70 |
느티 나무 |
정자목 |
무송동 340번지 |
370 |
21 |
6.4 |
27 |
1982.10.15 |
경기-화성-71 |
느티 나무 |
당산목 |
신외동 515 |
380 |
15 |
5.8 |
32 |
1996.10.25 |
경기-화성-72 |
은행 나무 |
기념목 |
남양동 392 (남양 향교내) |
150 |
20 |
3.7 |
24 |
1996.10.25 |
경기-화성-73 |
은행 나무 |
기념목 |
남양동 392 (남양 향교내) |
150 |
25 |
3.6 |
25.6 |
1996.10.25 |
경기-화성-74 |
은행 나무 |
기념목 |
남양동 392 (남양 향교내) |
150 |
17 |
3 |
12 |
1996.10.25 |
내용 지정번호 |
수종 |
구분 |
소재지 |
형태 |
|
수령(년) |
수고(m) |
둘레(m) |
수관직경(m) |
지정일 |
경기-화성-51 |
은행나무 |
정자목 |
금곡리 486-3 |
520 |
30 |
9.2 |
11 |
1982.10.15 |
경기-화성-52 |
느티나무 |
정자목 |
장지리 635-1 |
500 |
18 |
6.15 |
11 |
1982.10.15 |
경기-화성-53 |
느티나무 |
정자목 |
청계리 211 |
420 |
18 |
6.1 |
24 |
1982.10.15 |
경기-화성-54 |
느티나무 |
당산목 |
신리 360 |
220 |
24 |
4.47 |
18 |
1982.10.15 |
경기-화성-55 |
느티나무 |
기념목 |
산척리 133 |
220 |
좌16 우16 |
좌3 우4 |
좌3 우4 |
1982.10.15 |
내용 지정번호 |
수종 |
구분 |
소재지 |
형태 |
|
수령(년) |
수고(m) |
둘레(m) |
수관직경(m) |
지정일 |
경기-화성-62 |
은행나무 |
정자목 |
금당2리 438 |
380 |
15 |
6.1 |
17 |
1982.10.15 |
경기-화성-63 |
은행나무 |
정자목 |
두곡리 191- |
380 |
20 |
4.3 |
20 |
1982.10.15 |
내용 지정번호 |
수종 |
구분 |
소재지 |
형태 |
|
수령(년) |
수고(m) |
둘레(m) |
수관직경(m) |
지정일 |
경기-화성-16 |
은행나무 |
노거목 |
송라리 412 |
600 |
140 |
8.5 |
60.4 |
1982.10.15 |
경기-화성-17 |
회화나무 |
당산목 |
송라1리 624-5 |
650 |
좌18 우16 |
좌3.9 우2.9 |
좌20 우17 |
1982.10.15 |
경기-화성-18 |
향나무 |
노거목 |
어천리 49 |
420 |
9 |
4 |
12 |
1982.10.15 |
경기-화성-19 |
느티나무 |
정자목 |
어천리 394-2 |
420 |
18 |
4.15 |
12 |
1982.10.15 |
경기-화성-20 |
측백나무 |
정자목 |
숙곡리 365 |
320 |
15 |
2..3 |
12 |
1982.10.15 |
경기-화성-21 |
느티나무 |
정자목 |
송라리 453 |
320 |
13 |
3.2 |
21 |
1982.10.15 |
경기-화성-22 |
향나무 |
노거목 |
숙곡리 128-1 |
510 |
10 |
2.5 |
8 |
1982.10.15 |
내용 지정번호 |
수종 |
구분 |
소재지 |
형태 |
|
수령(년) |
수고(m) |
둘레(m) |
수관직경(m) |
지정일 |
경기-화성-9 |
은행나무 |
정자목 |
분천리 447 |
520 |
14.5 |
4.9 |
11.6 |
1982.10.15 |
경기-화성-10 |
느티나무 |
당산목 |
분천리 256 |
720 |
16.5 |
7.1 |
22 |
1982.10.15 |
경기-화성-11 |
느티나무 |
당산목 |
내리 505-4 |
520 |
20 |
3.9 |
18.6 |
1982.10.15 |
경기-화성-12 |
느티나무 |
정자목 |
상리 486-9 |
420 |
16 |
3.65 |
20.8 |
1982.10.15 |
경기-화성-13 |
느티나무 |
정자목 |
마하리 290-1 |
500 |
14 |
9.1 |
20.4 |
1982.10.15 |
경기-화성-14 |
은행나무 |
정자목 |
상기리 118-1 |
600 |
10 |
4.8 |
24 |
1982.10.15 |
경기-화성-15 |
느티나무 |
정자목 |
상기리 66 |
270 |
16.5 |
4.3 |
22.2 |
1982.10.15 |
내용 지정번호 |
수종 |
구분 |
소재지 |
형태 |
|
수령(년) |
수고(m) |
둘레(m) |
수관직경(m) |
지정일 |
경기-화성-56 |
회화나무 |
정자목 |
유포리 32-1 (재장골) |
450 |
17 |
5.5 |
14 |
1982.10.15 |
경기-화성-57 |
느티나무 |
정자목 |
남천1리 34 |
370 |
17 |
3.7 |
24 |
1982.10.15 |
경기-화성-58 |
느티나무 |
정자목 |
청요2리 |
370 |
17 |
3.7 |
24 |
1997.7.31 |
경기-화성-59 |
측백나무 |
묘지조경목 |
청요1리 128-1 |
337 |
7 |
1.4 |
26 |
1997.7.31 |
경기-화성-60 |
느티나무 |
정자목 |
청요리 97 |
390 |
9 |
4.9 |
7 |
1982.10.15 |
경기-화성-61 |
느티나무 |
정자목 |
구포리 514 |
270 |
23 |
4.3 |
28 |
1982.10.15 |
내용 지정번호 |
수종 |
구분 |
소재지 |
형태 |
|
수령(년) |
수고(m) |
둘레(m) |
수관직경(m) |
지정일 |
경기-화성-79 |
소나무 |
풍치목 |
용포리 123) |
300 |
13 |
3.6 |
20 |
1982.10.15 |
내용 지정번호 |
수종 |
구분 |
소재지 |
형태 |
|
수령(년) |
수고(m) |
둘레(m) |
수관직경(m) |
지정일 |
경기-화성-75 |
은행나무 |
정자목 |
상안리 568-1 |
450 |
26 |
9 |
50 |
1982.10.15 |
경기-화성-76 |
은행나무 |
|
궁평리 108 |
370 |
8.5 |
3.4 |
10.8 |
1982.10.15 |
경기-화성-77 |
물푸레나무 |
고목 |
전곡리 151 |
370 |
12.7 |
5.4 |
15 |
1982.10.15 |
경기-화성-78 |
느티나무 |
정자목 |
전곡리 225 |
370 |
13 |
4.2 |
15 |
1982.10.15 |
내용 지정번호 |
수종 |
구분 |
소재지 |
형태 |
|
수령(년) |
수고(m) |
둘레(m) |
수관직경(m) |
지정일 |
경기-화성-64 |
은행나무 |
정자목 |
요당리 160-1 |
380 |
25 |
5.8 |
11.8 |
1982.10.15 |
경기-화성-65 |
느티나무 |
정자목 |
정문리 346 |
380 |
14 |
6.9 |
20 |
1982.10.15 |
경기-화성-66 |
느티나무 |
정자목 |
사창2리 691 |
340 |
17 |
4.1 |
25 |
1982.10.15 |
경기-화성-67 |
느티나무 |
정자목 |
송산리 678-1 |
370 |
10 |
4.5 |
13.6 |
1982.10.15 |
내용 지정번호 |
수종 |
구분 |
소재지 |
형태 |
|
수령(년) |
수고(m) |
둘레(m) |
수관직경(m) |
지정일 |
경기-화성-29 |
은행나무 |
노거목 |
석천리 도로 (가재골)800 |
520 |
21 |
4.7 |
22.6 |
1982.10.15 |
경기-화성-30 |
은행나무 |
정자목 |
운평1리 539 |
670 |
16 |
7.2 |
19.4 |
1982.10.15 |
경기-화성-31 |
회화나무 |
정자목 |
화산리 504-1 |
570 |
17.5 |
4.4 |
15.4 |
1982.10.15 |
경기-화성-32 |
음나무 |
정자목 |
화산리 44-1 |
470 |
13 |
4 |
9.6 |
1982.10.15 |
경기-화성-33 |
느티나무 |
정자목 |
화산리 15-8 |
420 |
17 |
4.4 |
17 |
1982.10.15 |
경기-화성-34 |
은행나무 |
정자목 |
운평리 700 |
420 |
17 |
3.6 |
22.2 |
1982.10.15 |
경기-화성-35 |
소나부 |
정자목 |
조암1리 116-1 |
250 |
6 |
1.6 |
8 |
1982.10.15 |
경기-화성-36 |
음나무 |
정자목 |
조암리 24-1 |
280 |
14 |
2.8 |
17.4 |
1982.10.15 |
내용 지정번호 |
수종 |
구분 |
소재지 |
형태 |
|
수령(년) |
수고(m) |
둘레(m) |
수관직경(m) |
지정일 |
경기-화성-23 |
향나무 |
정자목 |
독정리 545 |
920 |
6 |
2.0 |
8 |
1982.10.15 |
경기-화성-24 |
느티나무 |
정자목 |
금의리 255-2 |
520 |
12 |
5.75 |
15.8 |
1982.10.15 |
경기-화성-25 |
느티나무 |
정자목 |
노진1리 97-2 |
520 |
13 |
5.7 |
26 |
1982.10.15 |
경기-화성-26 |
향나무 |
정자목 |
수촌3리 893 |
320 |
16 |
2.8 |
18 |
1982.10.15 |
경기-화성-27 |
느티나무 |
정자목 |
독정리 1148 |
320 |
15 |
6.1 |
11.3 |
1982.10.15 |
경기-화성-28 |
음나무 |
정자목 |
장안리 114-1 |
220 |
12 |
2.2 |
12 |
1982.10.15 |
내용 지정번호 |
수종 |
구분 |
소재지 |
형태 |
|
수령(년) |
수고(m) |
둘레(m) |
수관직경(m) |
지정일 |
경기-화성-45 |
느티나무 |
정자목 |
내리 88 |
580 |
15 |
6.2 |
16 |
1982.10.15 |
경기-화성-46 |
은행나무 |
정자목 |
제기리 244-1 |
350 |
13 |
3.22 |
12.4 |
1982.10.15 |
경기-화성-47 |
향나무 |
정자목 |
제기리 |
320 |
6 |
1.25 |
4 |
1982.10.15 |
경기-화성-48 |
느티나무 |
정자목 |
백리 390-5 |
300 |
18 |
5.6 |
28 |
1982.10.15 |
경기-화성-49 |
은행나무 |
정자목 |
신리 211 |
300 |
15 |
2.8 |
13 |
1982.10.15 |
경기-화성-50 |
느티나무 |
정자목 |
문학리 101 |
300 |
22 |
3.7 |
28 |
1982.10.15 |
내용 지정번호 |
수종 |
구분 |
소재지 |
형태 |
|
수령(년) |
수고(m) |
둘레(m) |
수관직경(m) |
지정일 |
경기-화성-1 |
느티나무 |
정자목 |
노하리 99 |
700 |
12 |
6.5 |
11 |
1982.10.15 |
경기-화성-2 |
팽나무 |
정자목 |
매곡리 108-3 |
520 |
9 |
3.8 |
16 |
1982.10.15 |
경기-화성-4 |
느티나무 |
정자목 |
구장리 791 |
470 |
16 |
5.6 |
19.6 |
1982.10.15 |
경기-화성-5 |
물푸레나무 |
정자목 |
해창리 214 |
420 |
14 |
4.7 |
16 |
1982.10.15 |
경기-화성-6 |
소나무 |
당산목 |
구장리 산71-2 |
250 |
13 |
3.3 |
22 |
1982.10.15 |
경기-화성-7 |
음나무 |
정자목 |
창곡리 산42-3 |
500 |
14 |
3.4 |
12 |
1982.10.15 |
경기-화성-8 |
느티나무 |
노거목 |
덕우리 220-1 |
200 |
17 |
4.5 |
21 |
1982.10.15 |
내용 지정번호 |
수종 |
구분 |
소재지 |
형태 |
|
수령(년) |
수고(m) |
둘레(m) |
수관직경(m) |
지정일 |
경기-화성-37 |
느티나무 |
정자목 |
증거리 105 |
1320 |
17 |
7.3 |
22 |
1982.10.15 |
경기-화성-38 |
느티나무 |
정자목 |
상두리 403 |
570 |
15 |
6.7 |
28 |
1982.10.15 |
경기-화성-39 |
은행나무 |
정자목 |
화리현리 356 |
420 |
16 |
4.8 |
22.6 |
1982.10.15 |
경기-화성-40 |
느티나무 |
정자목 |
송곡리 147-2 |
340 |
19.5 |
3.7 |
22.8 |
1982.10.15 |
경기-화성-41 |
느티나무 |
정자목 |
상두리 198 |
420 |
14.5 |
5.3 |
2 |
1982.10.15 |
경기-화성-42 |
팽나무 |
당산목 |
장짐리 159-2 |
220 |
15 |
2.5 |
20 |
1982.10.15 |
경기-화성-43 |
느티나무 |
정자목 |
백토리 154 |
240 |
14 |
4.2 |
18 |
1982.10.15 |
경기-화성-44 |
팽나무 |
노거목 |
평리 123-2 |
220 |
10 |
29 |
15 |
1982.10.15 | |
향토유적 |
![](http://www.hscity.net/images/blank.gif) |
|
지정번호 |
문화재명 |
위 치 |
지정일자 |
제작년대 |
비 고 |
향토유적 제1호 |
안곡서원 |
서신면 상안리 585 |
1986.5.20 |
1666년 |
도원제공, 송춘공, 인제공의 위패봉안 |
향토유적 제2호 |
최루백효자비각 |
봉담읍 분천리 165 |
1986.5.20 |
조선시대 |
|
향토유적 제3호 |
이곤선생 효자문 |
봉담읍 상리 산 97 |
1986.5.20 |
조선시대 |
|
향토유적 제4호 |
홍담 효자각 |
서신면 흥법리 산 32 |
1986.5.20 |
1539년 |
|
향토유적 제5호 |
한명윤·밀양박씨 충렬각 |
양감면 정문리 198-3 |
1986.5.20 |
1593년 |
|
향토유적 제6호 |
박장철효자각 |
동탄면 장지리 493-2 |
1986.5.20 |
1780년 |
1945중건 |
향토유적 제7호 |
금산사 |
팔탄면 창곡리 산 14 |
1986.5.20 |
1912년 |
김유신, 설총, 최치원 위패봉안 |
향토유적 제9호 |
수촌교회 |
장안면 수촌리 674-1 |
1986.5.20 |
1905년 |
|
향토유적 제10호 |
홍한 묘역 |
서신면 홍법리 산 70-1 |
1986.5.20 |
조선시대 |
|
향토유적 제11호 |
최운식 기념비 |
정남면 괘랑리 산 143-1 |
1999.10.18 |
1940년 |
|
향토유적 제12호 |
남양홍씨 열녀 정려문 |
송림동 산 125 |
1999.10.18 |
조선 정조 |
|
향토유적 제13호 |
반남박씨 묘역 |
동탄면 석우리 산 1-1 |
2001.9.14 |
조선시대 |
|
향토유적 제14호 |
노작 홍사용 묘역 |
동탄면 석우리 산 77 |
2002.12.3 |
1947년 |
|
|
화성시에는 향토유적이라는 명칭 하에 보존책을 강구하고 있는 문화유산들이 상당수 있다. 금산사·남양홍씨 열녀정려문·박장철 효자각·수촌 교회·안곡 서원·이곤선생 효자문·최루백 효자비각·최윤식기념비·한명윤·밀양박씨 충렬각·홍담 효자각·홍한 묘역 등이 향토 유적으로 지정, 보존되어 있는데 이들 문화유적은 문화재자료로도 지정할 수준이 아니어서 자료로 지정하지 않고 다만 향토문화재로만 보존하고 있는 것이다. 향토유적으로 지정 보존하고 있으니 유적을 보존한다는 뜻에서는 별다른 문제가 없겠으나 무엇으로든지 지정되면 지정 종류에 따라 그 문화유산의 위상이 문제되고 또한 지정 종류에 따라서 보존상 국비지원·지방비 지원·자비부담 보존책이 따르기 때문에 이러한 지정 문제는 신중을 기해야 될 것이다. 향토유적에는 사찰문화재는 물론 유교 문화재·기독교 문화재 등 각 종교에 따른 문화유산들도 있는데 어떠한 종교에도 편중되지 않는 판단으로 유적 지정에 불평불만이 없도록 해야 한다. 옛 선학들의 말씀이 “지정하는 데 인색하지 말아야 한다. 지정되면 여하튼 보존 된다.”고 하였다. 평범한 말이지만 오늘날 문화유산을 접할 때 다시금 떠오른다.
한편 화성시에 전해지는 많은 유적·유물들 중 문화재로 지정되지 못한 것들을 시대별, 종류별 등으로 나누어 제6장에서 살펴볼 것이다. 그 중 용주사의 목어는 대단히 주목받는 목조 조각품이라 하겠다. 불가에서는 불구사물(四物)이라 하여 범종과 법고·운판·목어를 일컬어 대체적으로 종각이나 누마루전각에 이 사물(四物)들을 달아주어 행사 때마다 치고 있다. 범종은 사람을 제도하기 위한 종이어서 인경이라고도 말하고 법고는 네발 달린 짐승, 예컨대 소, 개, 돼지 등의 동물을 제도하기 위하여 치는 북을 일컬음이다. 하늘을 나는 새들을 제도하기 위해서는 운판을 쳐서 창공에 땡땡 맑은 소리가 울리도록 하며, 헤엄쳐 다니는 물속의 고깃떼들을 제도하기 위해서는 목어를 따다닥 쳐서 장단을 맞추는 것이다. 이 때 목어를 보면 길쭉한 나무를 깎아 고기모양으로 만들고 그 속을 모두 파내어 퉁퉁 소리가 나도록 한다. 그리고 표면에는 고기의 머리와 비늘, 지느러미까지 채색하여 물고기와 똑같은 형태를 만들어 공중에 매달아 치기 때문에 그 소리도 맑으면서 가라앉아 마치 물 속에서 들리는 소리인 듯 하다. 이 같은 면에서 용주사의 목어는 그 조성 양식이나 수법에 있어서 귀중하게 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불교적인 문화유산, 석조물 편을 별도로 ‘석탑과 부도"로 설정하여 관항리 3층 석탑, 문학리 부도, 문학리 5층 석탑, 선화대사 부도, 용주사 5층 석탑, 용주사 천보루 앞 5층 석탑을 다루고 있는데 이 가운데서 관항리 3층 석탑과 선화대사 부도 및 석비, 용주사의 5층 석탑과 천보루 앞 5층 석탑은 대단히 주목할만한 석조물들이라 하겠다.
우선 관항리 3층 석탑은 현 위치가 원위치인지는 알 수 없으나 기단부 구성이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 찾아볼 수 없는 특수한 고려시대의 양식을 보이고 있어 주목된다. 즉 하대석은 석등 하대석과 같이 8각 연화문 대석으로 이루어졌고 그 위의 중대석은 8각 면석으로 조성되었다. 그리고 그 위의 갑석은 하면이 8각으로 8판의 앙련(仰蓮)이 조각되었으나 측면에 이르러는 정사각형의 갑석이다. 그리고 상면에 널찍한 정사각형의 괴임대를 마련하여 답신부를 받치고 있다.
이렇듯 기단부가 정사각형의 평면이 아니고 8각 복련의 연화대 하대석과 8각 면석, 정사각형의 갑석 하면이 8각 앙련으로 구성된 석탑은 고려시대 건립으로는 오직 이곳의 관항리 3층 석탑 뿐이다. 탑신부에 있어서 부재가 결실된 부분이 있으므로 국가지정에는 못 미치더라도 지방유형문화재로는 지정할 가치가 충분하다고 생각되어진다.
선화대사의 부도와 석비도 선화대사의 역사적 위상, 조선시대의 불교사 연구상 그의 역할, 부도와 석비 자체의 양식과 수법 등으로 보아 지방문화재로 지정할 가치가 충분한 것으로 사료된다. 선화대사의 부도와 석비는 현재 옛 만의사 절터에 나란히 건립되어 있다. 부도는 조선시대 전형적인 양식인 1석 조성의 석종형 부도로 상단의 보주까지 완전하게 보존되어 있다. 석비는 바로 옆 동쪽에 건립되어 있는데 비신 상단에 이수가 마련되어 비신과 이수가 한 돌로 이루어져 있다. 비신의 전자와 해서 음각의 비문이 앞, 뒤에 잘 남아있을 뿐만 아니라 구름과 용으로 표현된 이수의 조각은 그 웅장함과 생동감이 돋보인다. 선화대사는 속성이 이씨이며 이름은 경림(敬淋)으로 1566년(명종 21)에 출생하여 16세에 출가해 서산대사와 사명대사로부터 수학하였다. 그리하여 서산대사와 사명대사의 법맥을 이어가며 높고 고결한 지행으로 법문을 듣는 이가 많았다는 고승대덕으로 유명한 역사적인 인물이라는 점에서도 그 유적은 주목해야 될 것이 아닌가 한다.
용주사의 5층 석탑과 천보루 앞 5층 석탑은 각각 탑신부에 있어 부재가 하나, 둘 결실 보강된 부분이 있으나 고려시대의 작품임을 잘 보여주는 석탑인 동시에 특히 기단부에 있어서 장식적인 지대석과 면석, 초층탑신석 등은 주목받는 석탑으로 평가받고 있다.
사찰문화재로서는 사찰과 옛 절터의 항목을 설정하여 고찰하였고, ‘서원과 사우"의 항목에서는 명고서원, 매곡서원, 충장공 권율 부조묘 등을 들고 있는데 이러한 것들을 살펴보면 유교적인 면에서도 우리 고장을 생각해 볼 수 있게 한다. 고가옥과 주목되는 건축물에 있어서는 나씨 고가, 노창호 고가, 정용래 가옥, 남양 기로소 등을 거론하고 있는데 이들 고가들은 우리 고장의 전통적인 고가 연구에 귀중한 자료들이 되고 있다. 성과 성터는 길성리 토성을 비롯하여 12개소 등이 있는데 이것으로 보아 화성시 지역은 고대부터 역사적으로 성읍과 같은 작은 마을이 이곳저곳에 올망졸망 있었던 고장임을 알 수 있겠다. | |
각종 비·정려 현황 |
![](http://www.hscity.net/images/blank.gif) |
|
이 밖에도 옛 봉수지, 역참지 분묘와 석물, 무형문화재 등 광범위한 유형·무형의 문화유산들을 다음의 각 장, 절 등에서 자세히 풀어 우리 고장이 문화의 보고임을 느끼게 할 것이다. 한편 화성시에는 아직 자세한 조사가 이루어진 바는 없지만 보존해야 할 가치가 있는 많은 유물·유적들이 곳곳에 산재해 있다. 그 중 각종 비와 정려, 그리고 보호수의 현황을 간단하게 정리해 두고자 한다. 이에 대하여는 앞으로 학술적인 조사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
명칭 |
소재지 |
건립년도 |
정석규·달성서씨 정려문 (鄭錫揆·達成徐氏 旌閭門) |
신남동 26-4 |
1884년(고종 21) |
홍술연 효자문 (정석규·달성서씨 정려문 (鄭錫揆·達成徐氏 旌閭門)洪述淵 孝子門) |
서신면 전곡리 101 |
1887년(고종 24) |
정추 효자문 (鄭推 孝子門) |
매송면 어천리 |
1713년(숙종 39), 1740년(영조 16) 개립(改立) |
안동권씨 효부문 (安東權氏 孝婦門) |
봉담읍 상기리 |
1783년(정조 7) |
최일황·우흥 정려문 (崔一晃·遇鴻 旌閭門) |
장안면 수촌리 |
1832년(순조 32), 1872년(고종 9) |
김연호 효자문·광주이씨 열녀문 (金淵浩 孝子門·廣州李氏 烈女門) |
장안면 독정리 |
1827년(순조 27) |
기계유씨 열녀문 (杞溪兪氏 烈女門) |
장안면 독정리 산 149-1 |
1783년(정조 7) |
우상대 효자문 (禹相大 孝子門) |
정남면 망월리 |
1888년(고종 25) |
김광서 효자문 (金光瑞 孝子門) |
유몽룡 충렬문 (劉夢龍 忠烈門) |
차운혁 충렬비 (車云革 忠烈碑) |
지상규 효자정려 (池相奎 孝子旌閭) |
서백호 효자비 (徐伯虎 孝子碑) |
선정비군 (善政碑群) |
강덕휘·강기환·부안장씨 정려문 (姜德輝·姜璣煥·扶安張氏 旌閭門) |
남정유·남철 충효 정려문 (南挺?r·南撤 忠孝 旌閭門))·南撤 忠孝旌閭門 | |
양감면 사창2리 691 |
정남면 망월리 |
정남면 괘랑리 |
서신면 상안리 87 |
남양동 |
남양동 |
정남면 괘랑3리 1078-1 |
매송면 송라리 산 122 | |
1870년(고종 7) |
1885년(고종 22) |
1860년(철종 11) |
1860년(철종 11) |
1922년 |
|
1855년(고종 22) |
1609년(광해군 1), 1694년(숙종 20) | | |
![](http://www.hscity.net/hscity/images/oldimg/02/1_depth.gif) |
보호수현황 |
![](http://www.hscity.net/images/blank.gif) |
|
이 밖에도 옛 봉수지, 역참지 분묘와 석물, 무형문화재 등 광범위한 유형·무형의 문화유산들을 다음의 각 장, 절 등에서 자세히 풀어 우리 고장이 문화의 보고임을 느끼게 할 것이다. 한편 화성시에는 아직 자세한 조사가 이루어진 바는 없지만 보존해야 할 가치가 있는 많은 유물·유적들이 곳곳에 산재해 있다. 그 중 각종 비와 정려, 그리고 보호수의 현황을 간단하게 정리해 두고자 한다. 이에 대하여는 앞으로 학술적인 조사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
내용 지정번호 |
수종 |
구분 |
소재지 |
형태 |
|
수령(년) |
수고(m) |
둘레(m) |
수관직경(m) |
지정일 |
경기-화성-68 |
회화 나무 |
정자목 |
남양1163 (남양초교 교정내) |
370 |
11 |
3.6 |
11 |
1982.10.15 |
경기-화성-69 |
회화 나무 |
정자목 |
남양동 651-1 (남양초교 정문 앞) |
370 |
9 |
3.2 |
10 |
1982.10.15 |
경기-화성-70 |
느티 나무 |
정자목 |
무송동 340번지 |
370 |
21 |
6.4 |
27 |
1982.10.15 |
경기-화성-71 |
느티 나무 |
당산목 |
신외동 515 |
380 |
15 |
5.8 |
32 |
1996.10.25 |
경기-화성-72 |
은행 나무 |
기념목 |
남양동 392 (남양 향교내) |
150 |
20 |
3.7 |
24 |
1996.10.25 |
경기-화성-73 |
은행 나무 |
기념목 |
남양동 392 (남양 향교내) |
150 |
25 |
3.6 |
25.6 |
1996.10.25 |
경기-화성-74 |
은행 나무 |
기념목 |
남양동 392 (남양 향교내) |
150 |
17 |
3 |
12 |
1996.10.25 |
내용 지정번호 |
수종 |
구분 |
소재지 |
형태 |
|
수령(년) |
수고(m) |
둘레(m) |
수관직경(m) |
지정일 |
경기-화성-51 |
은행나무 |
정자목 |
금곡리 486-3 |
520 |
30 |
9.2 |
11 |
1982.10.15 |
경기-화성-52 |
느티나무 |
정자목 |
장지리 635-1 |
500 |
18 |
6.15 |
11 |
1982.10.15 |
경기-화성-53 |
느티나무 |
정자목 |
청계리 211 |
420 |
18 |
6.1 |
24 |
1982.10.15 |
경기-화성-54 |
느티나무 |
당산목 |
신리 360 |
220 |
24 |
4.47 |
18 |
1982.10.15 |
경기-화성-55 |
느티나무 |
기념목 |
산척리 133 |
220 |
좌16 우16 |
좌3 우4 |
좌3 우4 |
1982.10.15 |
내용 지정번호 |
수종 |
구분 |
소재지 |
형태 |
|
수령(년) |
수고(m) |
둘레(m) |
수관직경(m) |
지정일 |
경기-화성-62 |
은행나무 |
정자목 |
금당2리 438 |
380 |
15 |
6.1 |
17 |
1982.10.15 |
경기-화성-63 |
은행나무 |
정자목 |
두곡리 191- |
380 |
20 |
4.3 |
20 |
1982.10.15 |
내용 지정번호 |
수종 |
구분 |
소재지 |
형태 |
|
수령(년) |
수고(m) |
둘레(m) |
수관직경(m) |
지정일 |
경기-화성-16 |
은행나무 |
노거목 |
송라리 412 |
600 |
140 |
8.5 |
60.4 |
1982.10.15 |
경기-화성-17 |
회화나무 |
당산목 |
송라1리 624-5 |
650 |
좌18 우16 |
좌3.9 우2.9 |
좌20 우17 |
1982.10.15 |
경기-화성-18 |
향나무 |
노거목 |
어천리 49 |
420 |
9 |
4 |
12 |
1982.10.15 |
경기-화성-19 |
느티나무 |
정자목 |
어천리 394-2 |
420 |
18 |
4.15 |
12 |
1982.10.15 |
경기-화성-20 |
측백나무 |
정자목 |
숙곡리 365 |
320 |
15 |
2..3 |
12 |
1982.10.15 |
경기-화성-21 |
느티나무 |
정자목 |
송라리 453 |
320 |
13 |
3.2 |
21 |
1982.10.15 |
경기-화성-22 |
향나무 |
노거목 |
숙곡리 128-1 |
510 |
10 |
2.5 |
8 |
1982.10.15 |
내용 지정번호 |
수종 |
구분 |
소재지 |
형태 |
|
수령(년) |
수고(m) |
둘레(m) |
수관직경(m) |
지정일 |
경기-화성-9 |
은행나무 |
정자목 |
분천리 447 |
520 |
14.5 |
4.9 |
11.6 |
1982.10.15 |
경기-화성-10 |
느티나무 |
당산목 |
분천리 256 |
720 |
16.5 |
7.1 |
22 |
1982.10.15 |
경기-화성-11 |
느티나무 |
당산목 |
내리 505-4 |
520 |
20 |
3.9 |
18.6 |
1982.10.15 |
경기-화성-12 |
느티나무 |
정자목 |
상리 486-9 |
420 |
16 |
3.65 |
20.8 |
1982.10.15 |
경기-화성-13 |
느티나무 |
정자목 |
마하리 290-1 |
500 |
14 |
9.1 |
20.4 |
1982.10.15 |
경기-화성-14 |
은행나무 |
정자목 |
상기리 118-1 |
600 |
10 |
4.8 |
24 |
1982.10.15 |
경기-화성-15 |
느티나무 |
정자목 |
상기리 66 |
270 |
16.5 |
4.3 |
22.2 |
1982.10.15 |
내용 지정번호 |
수종 |
구분 |
소재지 |
형태 |
|
수령(년) |
수고(m) |
둘레(m) |
수관직경(m) |
지정일 |
경기-화성-56 |
회화나무 |
정자목 |
유포리 32-1 (재장골) |
450 |
17 |
5.5 |
14 |
1982.10.15 |
경기-화성-57 |
느티나무 |
정자목 |
남천1리 34 |
370 |
17 |
3.7 |
24 |
1982.10.15 |
경기-화성-58 |
느티나무 |
정자목 |
청요2리 |
370 |
17 |
3.7 |
24 |
1997.7.31 |
경기-화성-59 |
측백나무 |
묘지조경목 |
청요1리 128-1 |
337 |
7 |
1.4 |
26 |
1997.7.31 |
경기-화성-60 |
느티나무 |
정자목 |
청요리 97 |
390 |
9 |
4.9 |
7 |
1982.10.15 |
경기-화성-61 |
느티나무 |
정자목 |
구포리 514 |
270 |
23 |
4.3 |
28 |
1982.10.15 |
내용 지정번호 |
수종 |
구분 |
소재지 |
형태 |
|
수령(년) |
수고(m) |
둘레(m) |
수관직경(m) |
지정일 |
경기-화성-79 |
소나무 |
풍치목 |
용포리 123) |
300 |
13 |
3.6 |
20 |
1982.10.15 |
내용 지정번호 |
수종 |
구분 |
소재지 |
형태 |
|
수령(년) |
수고(m) |
둘레(m) |
수관직경(m) |
지정일 |
경기-화성-75 |
은행나무 |
정자목 |
상안리 568-1 |
450 |
26 |
9 |
50 |
1982.10.15 |
경기-화성-76 |
은행나무 |
|
궁평리 108 |
370 |
8.5 |
3.4 |
10.8 |
1982.10.15 |
경기-화성-77 |
물푸레나무 |
고목 |
전곡리 151 |
370 |
12.7 |
5.4 |
15 |
1982.10.15 |
경기-화성-78 |
느티나무 |
정자목 |
전곡리 225 |
370 |
13 |
4.2 |
15 |
1982.10.15 |
내용 지정번호 |
수종 |
구분 |
소재지 |
형태 |
|
수령(년) |
수고(m) |
둘레(m) |
수관직경(m) |
지정일 |
경기-화성-64 |
은행나무 |
정자목 |
요당리 160-1 |
380 |
25 |
5.8 |
11.8 |
1982.10.15 |
경기-화성-65 |
느티나무 |
정자목 |
정문리 346 |
380 |
14 |
6.9 |
20 |
1982.10.15 |
경기-화성-66 |
느티나무 |
정자목 |
사창2리 691 |
340 |
17 |
4.1 |
25 |
1982.10.15 |
경기-화성-67 |
느티나무 |
정자목 |
송산리 678-1 |
370 |
10 |
4.5 |
13.6 |
1982.10.15 |
내용 지정번호 |
수종 |
구분 |
소재지 |
형태 |
|
수령(년) |
수고(m) |
둘레(m) |
수관직경(m) |
지정일 |
경기-화성-29 |
은행나무 |
노거목 |
석천리 도로 (가재골)800 |
520 |
21 |
4.7 |
22.6 |
1982.10.15 |
경기-화성-30 |
은행나무 |
정자목 |
운평1리 539 |
670 |
16 |
7.2 |
19.4 |
1982.10.15 |
경기-화성-31 |
회화나무 |
정자목 |
화산리 504-1 |
570 |
17.5 |
4.4 |
15.4 |
1982.10.15 |
경기-화성-32 |
음나무 |
정자목 |
화산리 44-1 |
470 |
13 |
4 |
9.6 |
1982.10.15 |
경기-화성-33 |
느티나무 |
정자목 |
화산리 15-8 |
420 |
17 |
4.4 |
17 |
1982.10.15 |
경기-화성-34 |
은행나무 |
정자목 |
운평리 700 |
420 |
17 |
3.6 |
22.2 |
1982.10.15 |
경기-화성-35 |
소나부 |
정자목 |
조암1리 116-1 |
250 |
6 |
1.6 |
8 |
1982.10.15 |
경기-화성-36 |
음나무 |
정자목 |
조암리 24-1 |
280 |
14 |
2.8 |
17.4 |
1982.10.15 |
내용 지정번호 |
수종 |
구분 |
소재지 |
형태 |
|
수령(년) |
수고(m) |
둘레(m) |
수관직경(m) |
지정일 |
경기-화성-23 |
향나무 |
정자목 |
독정리 545 |
920 |
6 |
2.0 |
8 |
1982.10.15 |
경기-화성-24 |
느티나무 |
정자목 |
금의리 255-2 |
520 |
12 |
5.75 |
15.8 |
1982.10.15 |
경기-화성-25 |
느티나무 |
정자목 |
노진1리 97-2 |
520 |
13 |
5.7 |
26 |
1982.10.15 |
경기-화성-26 |
향나무 |
정자목 |
수촌3리 893 |
320 |
16 |
2.8 |
18 |
1982.10.15 |
경기-화성-27 |
느티나무 |
정자목 |
독정리 1148 |
320 |
15 |
6.1 |
11.3 |
1982.10.15 |
경기-화성-28 |
음나무 |
정자목 |
장안리 114-1 |
220 |
12 |
2.2 |
12 |
1982.10.15 |
내용 지정번호 |
수종 |
구분 |
소재지 |
형태 |
|
수령(년) |
수고(m) |
둘레(m) |
수관직경(m) |
지정일 |
경기-화성-45 |
느티나무 |
정자목 |
내리 88 |
580 |
15 |
6.2 |
16 |
1982.10.15 |
경기-화성-46 |
은행나무 |
정자목 |
제기리 244-1 |
350 |
13 |
3.22 |
12.4 |
1982.10.15 |
경기-화성-47 |
향나무 |
정자목 |
제기리 |
320 |
6 |
1.25 |
4 |
1982.10.15 |
경기-화성-48 |
느티나무 |
정자목 |
백리 390-5 |
300 |
18 |
5.6 |
28 |
1982.10.15 |
경기-화성-49 |
은행나무 |
정자목 |
신리 211 |
300 |
15 |
2.8 |
13 |
1982.10.15 |
경기-화성-50 |
느티나무 |
정자목 |
문학리 101 |
300 |
22 |
3.7 |
28 |
1982.10.15 |
내용 지정번호 |
수종 |
구분 |
소재지 |
형태 |
|
수령(년) |
수고(m) |
둘레(m) |
수관직경(m) |
지정일 |
경기-화성-1 |
느티나무 |
정자목 |
노하리 99 |
700 |
12 |
6.5 |
11 |
1982.10.15 |
경기-화성-2 |
팽나무 |
정자목 |
매곡리 108-3 |
520 |
9 |
3.8 |
16 |
1982.10.15 |
경기-화성-4 |
느티나무 |
정자목 |
구장리 791 |
470 |
16 |
5.6 |
19.6 |
1982.10.15 |
경기-화성-5 |
물푸레나무 |
정자목 |
해창리 214 |
420 |
14 |
4.7 |
16 |
1982.10.15 |
경기-화성-6 |
소나무 |
당산목 |
구장리 산71-2 |
250 |
13 |
3.3 |
22 |
1982.10.15 |
경기-화성-7 |
음나무 |
정자목 |
창곡리 산42-3 |
500 |
14 |
3.4 |
12 |
1982.10.15 |
경기-화성-8 |
느티나무 |
노거목 |
덕우리 220-1 |
200 |
17 |
4.5 |
21 |
1982.10.15 |
내용 지정번호 |
수종 |
구분 |
소재지 |
형태 |
|
수령(년) |
수고(m) |
둘레(m) |
수관직경(m) |
지정일 |
경기-화성-37 |
느티나무 |
정자목 |
증거리 105 |
1320 |
17 |
7.3 |
22 |
1982.10.15 |
경기-화성-38 |
느티나무 |
정자목 |
상두리 403 |
570 |
15 |
6.7 |
28 |
1982.10.15 |
경기-화성-39 |
은행나무 |
정자목 |
화리현리 356 |
420 |
16 |
4.8 |
22.6 |
1982.10.15 |
경기-화성-40 |
느티나무 |
정자목 |
송곡리 147-2 |
340 |
19.5 |
3.7 |
22.8 |
1982.10.15 |
경기-화성-41 |
느티나무 |
정자목 |
상두리 198 |
420 |
14.5 |
5.3 |
2 |
1982.10.15 |
경기-화성-42 |
팽나무 |
당산목 |
장짐리 159-2 |
220 |
15 |
2.5 |
20 |
1982.10.15 |
경기-화성-43 |
느티나무 |
정자목 |
백토리 154 |
240 |
14 |
4.2 |
18 |
1982.10.15 |
경기-화성-44 |
팽나무 |
노거목 |
평리 123-2 |
220 |
10 |
29 |
15 |
1982.10.15 | |
보호수현황 |
![](http://www.hscity.net/images/blank.gif) |
|
이 밖에도 옛 봉수지, 역참지 분묘와 석물, 무형문화재 등 광범위한 유형·무형의 문화유산들을 다음의 각 장, 절 등에서 자세히 풀어 우리 고장이 문화의 보고임을 느끼게 할 것이다. 한편 화성시에는 아직 자세한 조사가 이루어진 바는 없지만 보존해야 할 가치가 있는 많은 유물·유적들이 곳곳에 산재해 있다. 그 중 각종 비와 정려, 그리고 보호수의 현황을 간단하게 정리해 두고자 한다. 이에 대하여는 앞으로 학술적인 조사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
내용 지정번호 |
수종 |
구분 |
소재지 |
형태 |
|
수령(년) |
수고(m) |
둘레(m) |
수관직경(m) |
지정일 |
경기-화성-68 |
회화 나무 |
정자목 |
남양1163 (남양초교 교정내) |
370 |
11 |
3.6 |
11 |
1982.10.15 |
경기-화성-69 |
회화 나무 |
정자목 |
남양동 651-1 (남양초교 정문 앞) |
370 |
9 |
3.2 |
10 |
1982.10.15 |
경기-화성-70 |
느티 나무 |
정자목 |
무송동 340번지 |
370 |
21 |
6.4 |
27 |
1982.10.15 |
경기-화성-71 |
느티 나무 |
당산목 |
신외동 515 |
380 |
15 |
5.8 |
32 |
1996.10.25 |
경기-화성-72 |
은행 나무 |
기념목 |
남양동 392 (남양 향교내) |
150 |
20 |
3.7 |
24 |
1996.10.25 |
경기-화성-73 |
은행 나무 |
기념목 |
남양동 392 (남양 향교내) |
150 |
25 |
3.6 |
25.6 |
1996.10.25 |
경기-화성-74 |
은행 나무 |
기념목 |
남양동 392 (남양 향교내) |
150 |
17 |
3 |
12 |
1996.10.25 |
내용 지정번호 |
수종 |
구분 |
소재지 |
형태 |
|
수령(년) |
수고(m) |
둘레(m) |
수관직경(m) |
지정일 |
경기-화성-51 |
은행나무 |
정자목 |
금곡리 486-3 |
520 |
30 |
9.2 |
11 |
1982.10.15 |
경기-화성-52 |
느티나무 |
정자목 |
장지리 635-1 |
500 |
18 |
6.15 |
11 |
1982.10.15 |
경기-화성-53 |
느티나무 |
정자목 |
청계리 211 |
420 |
18 |
6.1 |
24 |
1982.10.15 |
경기-화성-54 |
느티나무 |
당산목 |
신리 360 |
220 |
24 |
4.47 |
18 |
1982.10.15 |
경기-화성-55 |
느티나무 |
기념목 |
산척리 133 |
220 |
좌16 우16 |
좌3 우4 |
좌3 우4 |
1982.10.15 |
내용 지정번호 |
수종 |
구분 |
소재지 |
형태 |
|
수령(년) |
수고(m) |
둘레(m) |
수관직경(m) |
지정일 |
경기-화성-62 |
은행나무 |
정자목 |
금당2리 438 |
380 |
15 |
6.1 |
17 |
1982.10.15 |
경기-화성-63 |
은행나무 |
정자목 |
두곡리 191- |
380 |
20 |
4.3 |
20 |
1982.10.15 |
내용 지정번호 |
수종 |
구분 |
소재지 |
형태 |
|
수령(년) |
수고(m) |
둘레(m) |
수관직경(m) |
지정일 |
경기-화성-16 |
은행나무 |
노거목 |
송라리 412 |
600 |
140 |
8.5 |
60.4 |
1982.10.15 |
경기-화성-17 |
회화나무 |
당산목 |
송라1리 624-5 |
650 |
좌18 우16 |
좌3.9 우2.9 |
좌20 우17 |
1982.10.15 |
경기-화성-18 |
향나무 |
노거목 |
어천리 49 |
420 |
9 |
4 |
12 |
1982.10.15 |
경기-화성-19 |
느티나무 |
정자목 |
어천리 394-2 |
420 |
18 |
4.15 |
12 |
1982.10.15 |
경기-화성-20 |
측백나무 |
정자목 |
숙곡리 365 |
320 |
15 |
2..3 |
12 |
1982.10.15 |
경기-화성-21 |
느티나무 |
정자목 |
송라리 453 |
320 |
13 |
3.2 |
21 |
1982.10.15 |
경기-화성-22 |
향나무 |
노거목 |
숙곡리 128-1 |
510 |
10 |
2.5 |
8 |
1982.10.15 |
내용 지정번호 |
수종 |
구분 |
소재지 |
형태 |
|
수령(년) |
수고(m) |
둘레(m) |
수관직경(m) |
지정일 |
경기-화성-9 |
은행나무 |
정자목 |
분천리 447 |
520 |
14.5 |
4.9 |
11.6 |
1982.10.15 |
경기-화성-10 |
느티나무 |
당산목 |
분천리 256 |
720 |
16.5 |
7.1 |
22 |
1982.10.15 |
경기-화성-11 |
느티나무 |
당산목 |
내리 505-4 |
520 |
20 |
3.9 |
18.6 |
1982.10.15 |
경기-화성-12 |
느티나무 |
정자목 |
상리 486-9 |
420 |
16 |
3.65 |
20.8 |
1982.10.15 |
경기-화성-13 |
느티나무 |
정자목 |
마하리 290-1 |
500 |
14 |
9.1 |
20.4 |
1982.10.15 |
경기-화성-14 |
은행나무 |
정자목 |
상기리 118-1 |
600 |
10 |
4.8 |
24 |
1982.10.15 |
경기-화성-15 |
느티나무 |
정자목 |
상기리 66 |
270 |
16.5 |
4.3 |
22.2 |
1982.10.15 |
내용 지정번호 |
수종 |
구분 |
소재지 |
형태 |
|
수령(년) |
수고(m) |
둘레(m) |
수관직경(m) |
지정일 |
경기-화성-56 |
회화나무 |
정자목 |
유포리 32-1 (재장골) |
450 |
17 |
5.5 |
14 |
1982.10.15 |
경기-화성-57 |
느티나무 |
정자목 |
남천1리 34 |
370 |
17 |
3.7 |
24 |
1982.10.15 |
경기-화성-58 |
느티나무 |
정자목 |
청요2리 |
370 |
17 |
3.7 |
24 |
1997.7.31 |
경기-화성-59 |
측백나무 |
묘지조경목 |
청요1리 128-1 |
337 |
7 |
1.4 |
26 |
1997.7.31 |
경기-화성-60 |
느티나무 |
정자목 |
청요리 97 |
390 |
9 |
4.9 |
7 |
1982.10.15 |
경기-화성-61 |
느티나무 |
정자목 |
구포리 514 |
270 |
23 |
4.3 |
28 |
1982.10.15 |
내용 지정번호 |
수종 |
구분 |
소재지 |
형태 |
|
수령(년) |
수고(m) |
둘레(m) |
수관직경(m) |
지정일 |
경기-화성-79 |
소나무 |
풍치목 |
용포리 123) |
300 |
13 |
3.6 |
20 |
1982.10.15 |
내용 지정번호 |
수종 |
구분 |
소재지 |
형태 |
|
수령(년) |
수고(m) |
둘레(m) |
수관직경(m) |
지정일 |
경기-화성-75 |
은행나무 |
정자목 |
상안리 568-1 |
450 |
26 |
9 |
50 |
1982.10.15 |
경기-화성-76 |
은행나무 |
|
궁평리 108 |
370 |
8.5 |
3.4 |
10.8 |
1982.10.15 |
경기-화성-77 |
물푸레나무 |
고목 |
전곡리 151 |
370 |
12.7 |
5.4 |
15 |
1982.10.15 |
경기-화성-78 |
느티나무 |
정자목 |
전곡리 225 |
370 |
13 |
4.2 |
15 |
1982.10.15 |
내용 지정번호 |
수종 |
구분 |
소재지 |
형태 |
|
수령(년) |
수고(m) |
둘레(m) |
수관직경(m) |
지정일 |
경기-화성-64 |
은행나무 |
정자목 |
요당리 160-1 |
380 |
25 |
5.8 |
11.8 |
1982.10.15 |
경기-화성-65 |
느티나무 |
정자목 |
정문리 346 |
380 |
14 |
6.9 |
20 |
1982.10.15 |
경기-화성-66 |
느티나무 |
정자목 |
사창2리 691 |
340 |
17 |
4.1 |
25 |
1982.10.15 |
경기-화성-67 |
느티나무 |
정자목 |
송산리 678-1 |
370 |
10 |
4.5 |
13.6 |
1982.10.15 |
내용 지정번호 |
수종 |
구분 |
소재지 |
형태 |
|
수령(년) |
수고(m) |
둘레(m) |
수관직경(m) |
지정일 |
경기-화성-29 |
은행나무 |
노거목 |
석천리 도로 (가재골)800 |
520 |
21 |
4.7 |
22.6 |
1982.10.15 |
경기-화성-30 |
은행나무 |
정자목 |
운평1리 539 |
670 |
16 |
7.2 |
19.4 |
1982.10.15 |
경기-화성-31 |
회화나무 |
정자목 |
화산리 504-1 |
570 |
17.5 |
4.4 |
15.4 |
1982.10.15 |
경기-화성-32 |
음나무 |
정자목 |
화산리 44-1 |
470 |
13 |
4 |
9.6 |
1982.10.15 |
경기-화성-33 |
느티나무 |
정자목 |
화산리 15-8 |
420 |
17 |
4.4 |
17 |
1982.10.15 |
경기-화성-34 |
은행나무 |
정자목 |
운평리 700 |
420 |
17 |
3.6 |
22.2 |
1982.10.15 |
경기-화성-35 |
소나부 |
정자목 |
조암1리 116-1 |
250 |
6 |
1.6 |
8 |
1982.10.15 |
경기-화성-36 |
음나무 |
정자목 |
조암리 24-1 |
280 |
14 |
2.8 |
17.4 |
1982.10.15 |
내용 지정번호 |
수종 |
구분 |
소재지 |
형태 |
|
수령(년) |
수고(m) |
둘레(m) |
수관직경(m) |
지정일 |
경기-화성-23 |
향나무 |
정자목 |
독정리 545 |
920 |
6 |
2.0 |
8 |
1982.10.15 |
경기-화성-24 |
느티나무 |
정자목 |
금의리 255-2 |
520 |
12 |
5.75 |
15.8 |
1982.10.15 |
경기-화성-25 |
느티나무 |
정자목 |
노진1리 97-2 |
520 |
13 |
5.7 |
26 |
1982.10.15 |
경기-화성-26 |
향나무 |
정자목 |
수촌3리 893 |
320 |
16 |
2.8 |
18 |
1982.10.15 |
경기-화성-27 |
느티나무 |
정자목 |
독정리 1148 |
320 |
15 |
6.1 |
11.3 |
1982.10.15 |
경기-화성-28 |
음나무 |
정자목 |
장안리 114-1 |
220 |
12 |
2.2 |
12 |
1982.10.15 |
내용 지정번호 |
수종 |
구분 |
소재지 |
형태 |
|
수령(년) |
수고(m) |
둘레(m) |
수관직경(m) |
지정일 |
경기-화성-45 |
느티나무 |
정자목 |
내리 88 |
580 |
15 |
6.2 |
16 |
1982.10.15 |
경기-화성-46 |
은행나무 |
정자목 |
제기리 244-1 |
350 |
13 |
3.22 |
12.4 |
1982.10.15 |
경기-화성-47 |
향나무 |
정자목 |
제기리 |
320 |
6 |
1.25 |
4 |
1982.10.15 |
경기-화성-48 |
느티나무 |
정자목 |
백리 390-5 |
300 |
18 |
5.6 |
28 |
1982.10.15 |
경기-화성-49 |
은행나무 |
정자목 |
신리 211 |
300 |
15 |
2.8 |
13 |
1982.10.15 |
경기-화성-50 |
느티나무 |
정자목 |
문학리 101 |
300 |
22 |
3.7 |
28 |
1982.10.15 |
내용 지정번호 |
수종 |
구분 |
소재지 |
형태 |
|
수령(년) |
수고(m) |
둘레(m) |
수관직경(m) |
지정일 |
경기-화성-1 |
느티나무 |
정자목 |
노하리 99 |
700 |
12 |
6.5 |
11 |
1982.10.15 |
경기-화성-2 |
팽나무 |
정자목 |
매곡리 108-3 |
520 |
9 |
3.8 |
16 |
1982.10.15 |
경기-화성-4 |
느티나무 |
정자목 |
구장리 791 |
470 |
16 |
5.6 |
19.6 |
1982.10.15 |
경기-화성-5 |
물푸레나무 |
정자목 |
해창리 214 |
420 |
14 |
4.7 |
16 |
1982.10.15 |
경기-화성-6 |
소나무 |
당산목 |
구장리 산71-2 |
250 |
13 |
3.3 |
22 |
1982.10.15 |
경기-화성-7 |
음나무 |
정자목 |
창곡리 산42-3 |
500 |
14 |
3.4 |
12 |
1982.10.15 |
경기-화성-8 |
느티나무 |
노거목 |
덕우리 220-1 |
200 |
17 |
4.5 |
21 |
1982.10.15 |
내용 지정번호 |
수종 |
구분 |
소재지 |
형태 |
|
수령(년) |
수고(m) |
둘레(m) |
수관직경(m) |
지정일 |
경기-화성-37 |
느티나무 |
정자목 |
증거리 105 |
1320 |
17 |
7.3 |
22 |
1982.10.15 |
경기-화성-38 |
느티나무 |
정자목 |
상두리 403 |
570 |
15 |
6.7 |
28 |
1982.10.15 |
경기-화성-39 |
은행나무 |
정자목 |
화리현리 356 |
420 |
16 |
4.8 |
22.6 |
1982.10.15 |
경기-화성-40 |
느티나무 |
정자목 |
송곡리 147-2 |
340 |
19.5 |
3.7 |
22.8 |
1982.10.15 |
경기-화성-41 |
느티나무 |
정자목 |
상두리 198 |
420 |
14.5 |
5.3 |
2 |
1982.10.15 |
경기-화성-42 |
팽나무 |
당산목 |
장짐리 159-2 |
220 |
15 |
2.5 |
20 |
1982.10.15 |
경기-화성-43 |
느티나무 |
정자목 |
백토리 154 |
240 |
14 |
4.2 |
18 |
1982.10.15 |
경기-화성-44 |
팽나무 |
노거목 |
평리 123-2 |
220 |
10 |
29 |
15 |
1982.10.15 | |
화성 민속의 특징 |
![](http://www.hscity.net/hscity/images/oldimg/blank.gif) |
|
![매송면 숙곡리 전통혼례(1989)](http://www.hscity.net/hscity/images/oldimg/02/hscity01_04_01_img1.gif) |
화성민속은 한강 이남 서남부의 경기도적 색채를 가지면서 주변의 영향을 받되 한강 이북에 비해 서부 충남과의 교섭이 더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남양반도 방면은 중국으로의 배가 닿을 수 있는 선착지로서의 입지조건, 서해안으로부터 들어오던 풍부한 물자, 말총, 건달산에서 나오는 주옥(珠玉)과 남양석, 소금생산과 어물 등으로 재력이 있던 곳인지라 독자적인 민요를 창출할 만큼 경제적, 사회적으로 세(勢)를 가졌었다. |
|
생산민속에 있어서 화성지역은 논에 벼와 보리를 이모작하는 곳이 없기 때문에 이모작하는 남쪽지역보다 모내기가 약간 빠른 편이라 대개 소만 무렵이면 모내기를 시작한다.
예전에는 겨울철이면 농한기였지만 비닐하우스 재배방법이 나오면서부터 농한기가 농번기로 바뀌어 버렸다. 화성지역은 땅심이 좋고 깨끗한 지하수를 농업용수로 쓰며 일기조건이 적당하여 ‘햇살드리"라 하여 특화할 정도의 특상미를 생산한다. 특용작물로는 알타리 무와 참외, 느타리버섯 등이 있으며 특히 느타리버섯은 도시근교의 고소득 작물로 각광을 받고 있다.
또한 포도를 많이 재배하는데, 다른 곳보다 포도 껍질이 두껍기 때문에 그만큼 오래 저장할 수 있음이 특징이다. 화성지역의 근래 어업은 연근해 어업이 주를 이루는데 그리 활발한 편은 아니다. 주요 수산물은 꽃게, 능쟁이, 망둥이, 까나리, 멸치, 전복, 굴, 홍합 등의 어패류와 미역, 소금 등이다.
관혼상제에 대하여는 정남면 괘랑 4리와 정남면 발산 1리의 관혼상제를 중심으로 다른 지역의 사례와 『사례편람』을 참고하여 출생에서 성년까지와 혼례, 상례, 제례로 나누어 기술하였다. 성년의례인 관례는 사라졌다. 삼색 과일과 종이 한 장을 가지고 수리산, 문수산 등 영험 한 산을 찾아가 정성을 드린다거나 아들을 많이 낳은 집 부녀자의 속옷을 훔쳐 입는다는 등의 기자(祈子) 의례가 있으며, 오리고기를 먹으면 아이의 발가락이 붙는다 하여 오리고기를 먹지 않는 등 임신부를 위한 금기는 어느 정도 지켜지고 있다. 예전엔 출산 때 출입제한을 위한 금줄을 쳤으나 요즈음은 치지 않는다.
혼례에 있어서는 가까운 친인척의 중매로 맞선을 보기 전에 부모가 궁합을 보아 미리 결정하였으며, 혼인 당사자의 결정권은 거의 없었다. 혼례일의 신랑 일행은 함과 신랑, 후항(신랑의 삼촌 등)으로 구성되며, 초례시간에 맞추어 신부집으로 향하면 신부 마을의 젊은이들이 재를 뿌리는 ‘동화"풍속이 있었다. 신부집 앞에 도착하여 왕겨가마니 위에 서면 하인이 재를 털어 주고 신랑은 대문 앞의 바가지를 밟아 깨고 들어갔다. 합근례가 끝나고 신부가 신랑집에 도착하여 소댕(솥뚜껑)을 밟고 마당으로 들어서면 빈 양푼을 준비해 두고 숟가락을 던지게 하였다.
가장 기초적인 사회조직인 가족제도에 대하여는 동탄면 석우리와 신리, 마도면 금당 2리 아랫말, 봉담읍 세곡리 가는골, 서신면 용두 2리, 송산면 고포 4리 어섬과 쌍정 1리, 안석동, 양감면 신왕 3리, 우정면 멱우 1리 방축말, 우정면 석천 3리 가래마을, 우정면 운평 1리 평밭마을, 우정면 원안 2리 원안이, 정남면 오일리, 장안면 석포 5리, 향남면 행정리 웃말, 향남면 방축리의 경우를 조사하였으며, 가족제도와 관련된 민속현상을 가족의 주기(週期), 가족의 일상생활과 가족사 및 가정신앙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가족의 주기로는 기자(祈子)민속(양감면 신왕 3리, 우정면 원안 2리), 출산에 관련된 민속과 속설(장안면 석포 5리,우정면 원안 2리), 성장과 놀이(송산면 고포 4리 어섬,우정면 원안 2리 원안이, 마도면 금당 2리 아랫말, 봉담읍 세곡리 가는골, 정남면 오일리의 8월 보름 거북놀이), 혼인과 분가(안석동, 송산면 쌍정1리, 우정면 원안 2리 원안이), 죽음과 장례(양감면 요당 1리 요당)를 기술하였다. 집안에서 모시는 신령의 신체로는 제석주머니와 성주대, 대감항아리가 있으며, 음력10월과 음력정월의 집안고사가 있다. |
|
![송산면 어도 배연신 굿 재현](http://www.hscity.net/hscity/images/oldimg/02/hscity01_04_01_img2.gif) |
씨종(집안 대대로 내려오는 하인)이 한국전쟁 이후엔 떠났고, 그 이후론 머슴을 두어 농사짓기 위해 일년간 계약하였음도 언급하였다. 전통사회에서 공동체생활의 기초를 이룬 곳인 촌락의 구조에 관하여 마을은 자연발생적인 지리적 사회적 공간으로서의 자연촌을 가리킴과 조선후기에 이르러 보(洑), 언전(堰田) 등 농업시설의 개발·이앙법의 보급으로 생산력이 발전함으로 인해 두레, 촌계 및 동제 등 각종 경제 사회조직과 민속적 관행이 출현하였음을 언급하였다. |
|
또한 18세기에 와서 시도된 이정법(里定法) 실시도 이러한 조선후기의 생산력 변화를 반영한 것임을 지적하였다.
정월 보름엔 곳곳에서 줄다리기를 했으며, 요즈음도 마을에서 자체적으로 줄을 다리는 곳들을 볼 수 있는 것은 화성지역의 세시풍속적 특색이다. 동탄면이나 마도면, 정남면 등 거북놀이를 했었다는 곳도 있으나 그것에 관련된 노래는 수집되지 않았다.
민간신앙과 관련하여 뱃고사, 산제사, 도당굿(당제사)을 마을사람들이 자체적으로 치룰 때는 유교식으로 지낸다. 매년 음력 10월 초나 9월 말께에 많이 지내지만 음정월(신외 2리)이나 음력 11월(버들무지 마을), 음력 2월초(송산면 고정리 우음도)에 지내는 곳도 있다. 7월엔 우물제(井祭)를 지내곤 했다.
무속에서는 화랭이집단에 소속되는 여자를 ‘미지"라 불렀고, 화랭이와 미지는 부부관계에 있었으며, 단골판이 조직되어 있었다. 마을민들은 봄·가을 햇곡식을 거두면 화랭이패에게 줄 곡식을 따로 정해주고 있다가 무당에게 내 주곤 하였다. 197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이러한 관습은 면면이 이어져 왔다. 화랭이패의 혈연적 후손은 아니지만 수원의 오수복과 함께 화랭이패 집단에서 무학습을 받아 오늘에 이르고 있는 조광현(1941년 매송면 원평 1리 출생)에 대하여 조광현이 무업을 하게 된 이력을 기술하였고, 현대적 차고사(車告祀) 및 화성무속의 은어를 조사하였다.
설화에는 신화, 전설, 민담 등이 있는데, 전설은 지역적 특성을 띠고 전승되는 설화인고로 화성지역의 특징을 알 수 있게 하기 위해 전설을 위주로 정리하였다. 기존 자료 이외에 동탄면 장지리와 방교 1리 노인정, 태안읍 안녕 1리 노인정, 서신면 제부리와 송교리, 비봉면 양노리, 마도면 석교리, 정남면 정남노인정과 고지리를 새로이 조사하였다. 1980년대에 비해 설화 전승이 많이 중단된 것으로 생각되는 바 TV나 화투 등의 보급으로 설화를 주고받는 현장이 줄어든 탓으로 보인다. 그리하여 이야기판에서는 대개 당제, 도깨비불과 같이 현실생활과 관련 있었던 이야기들이나 짧은 지명유래 등만이 채록되는 현실이다.
삼천병마굴 전설, 정조대왕 관련 전설이 많으며, 마고할미 관련 설화(송산면 독지리 형도 섬의 탑, 쌍봉산 전설) 등이 전한다. 무가는 주인공이 있고 사건을 진행하는 줄거리가 있는 서사무가와 그 밖의 일반무가로 나누었다. 화성지역에서 무업을 했던 이종만·심복순·김수희·김홍금·조순웅의 구송자료들이 공개되어 있는 바 서사무가로는 시루말·제석·손굿·바리공주가, 일반무가로는 부정굿·군웅청배·조상·안땅·선왕·계면·마당굿·재수굿·집가심·씨앗고사·산바래기·시루청배·대감굿·창부·서낭굿·지신·용궁·외양깐·걸립·텃굿 등이 수집되어 있다.
화랭이 중심의 무속인 화성지역 무가의 특성으로는
① 화성을 중심으로 한강 이남의 경기도지역에 주로 전승하는 성주무가의 존재를 들 수 있다. 화성지역 자료에서는 등장인물로 황우양과 그의 부인 및 ‘소진랑"이라는 세 인물이 등장한다.
② 바리공주에서는 ‘선행을 강조"하는 점이 특징적이다. 바리공주의 부모가 연이어 딸 여섯을 낳는 장면도 치밀한 설명이 이어지며, 표현이 고정되어 있는 관용구를 주로 사용하는 점도 특징으로 꼽을 수 있다.
③ 당금애기 무가에서는 남자 주인공인 스님에 대해서도 그 일대기가 펼쳐지며, 잉태를 암시하는 내용이 있고 잉태가 밝혀진 당금애기가 추방당하고 스님을 찾아간다는 단락이 타 지역의 것과 다른 화성 무가의 특징이다.
④ 화성지역의 손님굿 무가는 손님네가 강남국에서 조선국으로 나와 강을 건너올 때 사공과 다투는 장면이 있고, 각지를 다니며 정성덕을 베푼다는 스토리일 뿐 복잡하게 전개되는 노구할미나 장자네 아들 얘기가 없다는 점에서 가장 엄숙하고 사제적 무당의 특성을 강하게 보여주는 구성이며, 화성이 강신무권의 중심지역임을 잘 반영한다.
⑤ 창세무가인 시루청배가 전승한다는 것은 화성지역의 무가가 그 연원이 오래됨을 시사한다.
⑥ 일반무가와 서사무가가 다양하게 전승함도 특징으로 꼽을 수 있다. |
|
![경기도민속경연대회 구장터 면생이 공연](http://www.hscity.net/hscity/images/oldimg/02/hscity01_04_01_img3.gif) |
민요는 화성지역을 골고루 가장 많이 조사한 결과물이고, 또한 농요는 그 존재의 상한선이 기원전에까지 소급하는 전통문화인 만큼 민요, 특히 농요를 통해 알 수 있는 화성민속의 문화권적 특징이 주목된다. 화성지역의 전래민요는 논맴소리와 상부(喪夫)소리가 대종을 차지한다
배치기 등의 어로요와 염전 물퍼기소리가 발견된다. 동요와 길쌈노래 등은 적은 편이나 부르기 힘들어 사라진 긴방아와 문셍이(면셍이)가 건재한 채로 녹취되었음은 화성민요의 전체적 위상을 드높이는 일로 평가된다. |
|
모찌는 소리와 벼타작 소리가 따로 없으며, 봉분 가래질 소리나 헛상여 소리의 예가 없고 집터 다질 때 지경류를 소리함은 경기도의 일반적 추세이다.
모심는 소리는 하나류이되 연백소리라고 일컬어지는 허나기로구나 형은 유입되지 않았다. 중부 경기도가 문화중심(cultural center)인 열소리형과 남부 경기도의 ‘여기도 하나"형, 화성시의 남양반도가 그 문화중심에 있는 나열형 및 이들의 혼합형이 수집된다. 열소리형은 매송면, 비봉면 등 북부 화성에 전파되어 있다.
‘여기도 하나"형은 팔탄면, 장안면 등 보다 남쪽의 화성지역에서 수집되는 경향이다. 논맴소리로는 두울레, 문셍이, 방아류(긴방아·느린방아·중거리방아·짜른방아·에키나 방아), 방게류, 상사류, 곤장네, 대허리 류, 얼카덩어리 류, 몬돌소리 및 위야호호 등이 불리운다. 논훔칠 때의 소리인 곤장네는 남양반도가 문화 중심에 있으며, 그 전파범위는 좁다. 화성시는 둘레소리와 몬돌의 문화 중심 지대에 위치한다.
남양반도에서 개고리타령이라고 이름하는 행상소리가 존재한다거나 두마디행상류의 달고소리가 있음은 그 지역적 특색으로 꼽힌다. 얼카덩어리 류가 널리 불리움과 문셍이의 존재 및 널액막음소리(복,톱질,중방)는 충남지방과의 교섭을 나타낸다. 열소리의 북부 화성지역으로의 전파, 방아타령 류의 파편적 존재와 우야소리의 흔적 등은 중부경기도 방면에서의 파장이 미약하나마 이 곳까지 미치고 있음을 표시한다.
대허리류는 충주시 방면으로부터 방게류나 에키나 방아 등은 평택 쪽으로부터 물결이 와 닿은 것이다. 정남면 계향리의 차류는 본디 경상도의 터다짐소리이던 것이 충남을 거쳐 유입된 것으로 보인다. 달구질은 하되 달굿대 없이 다지며, 군방네를 1회만 찾는 점, 달구질 때 여러 가지 논맴소리들을 원용하는 경향이 원칙적으로 없는 점 등은 한강 이북과 구별되는 문화지대임을 확실히 해 준다.
방언에 관하여는 1982년 팔탄면에서 채집한 자료에 근거하여 지리적으로 근접한 충남방언의 영향을 제외하면 경기도 전역에 걸친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화성시를 포함한 경기도 일원은 우리말의 표준권이므로 음운체계와 말본체계의 규범에서 벗어난 것이 없다고 보았다.
속담·수수께끼에 관하여는, 현대 사람들은 생활이 복잡해짐에 따라 속담이나 수수께끼를 일상생활 속에서 별로 사용하지 않는 경향이며, 화성지역에서 수집되는 것도 대부분이 많이 알려진 내용들임을 언급하였다. 주거에 관하여 화성시에 있는 민가는 안채가 ‘ㄱ"자형 평면으로 된 것이 주류를 이룸과 이러한 평면형식은 경기도를 중심으로 나타나는 한국 중부지방 민간형식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음을 서술하였다. 화성시 민가의 ‘ㄱ"자형 안채는 ‘ㄱ"자로 꺾이는 회첨골 아래에 안방이 위치한다.
‘ㄱ"자형 안채의 가옥은 주로 ‘ㄴ"자형 문간채와 마주보며 전체적으로는 튼‘ㅁ"자형 배치를 하는데, 이러한 배치는 경기도 전역에 걸쳐 많이 보이는 형식이다. 가옥의 구조는 평사량이 두드러지게 많다. 20세기에 들어서서 본격적으로 이루어지는 민가의 공간 확대와 연관하여 화성시를 포함한 경기도 민간에 많이 보이는 평사량 구조는 툇간이 민가 공간 구성에 적극적으로 도입되는 것과 무관하지 않다.
화성시에는 경기도 여러 지방 중에서 전통 민가가 많이 남아 있는 편이다. 문화재로 지정된 가옥으로는 남양면 송림 1리의 정원채 가옥, 서신면 궁평 2리의 정용채 가옥과 정용래 가옥, 정남면 문학리의 홍승인 가옥 등이 있다. |
|
![남양 송림 늠말마을 정원채 가옥 안채 전경](http://www.hscity.net/hscity/images/oldimg/02/hscity01_04_01_img4.gif) |
화성시의 의생활은 서울을 포함한 주변 경기지역과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는데 농업을 주업으로 하면서 광목 위주의 옷이 대부분이었다. 본서를 위한 새로운 조사는 마도면 청원리(양금희), 비봉면 삼화리(박복실), 서신면 매화리(김순이)와 전곡 2리(홍정후), 송산면 쌍정 2리(홍사억, 조영희), 양감면 신왕 3리(심재숙), 우정면 운평 2리(이분순), 장안면 서곡 1리(최재분, 이춘심), 정남면 계향리(이종순), 태안읍 안녕리(이정묵), 팔탄면 화당리(전봉순), 향남면 하길 4리(김병석)와 상신리(한영애)에서 실시되었다. |
|
음식에 관련하여 농촌지역으로는 팔탄면, 장안면, 태안읍, 우정면에서 모두 다섯 가정, 어촌지역으로는 서신면의 3개 가정, 도시화 지역으로는 봉담읍 소재 아파트 5개 가정의 식생활 문화를 조사한 결과 농민들 대부분은 3대 이상 4대가 같이 사는 곳이 많았고,30 ~ 40년 이상씩 오랜 기간을?현 장소에서 거주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어민들은 핵가족이기는 하지만 근처에 부모나 친척이 같이 살고 있었으며 거주 기간도 30년 이상 한 지역에 오래 머무르고 있었다. 반면 도시화 지역 주민은 3 ~ 6년 전에 안양, 수원 등지로부터 이주한 자들로서 자녀들은 공부하러 수원 등지에 나가고 식구는 부부만인 경우가 많았다. 농민들은 벼농사를 주로 하고 있으며 밭엔 파, 마늘, 아욱 등 일용할 채소들을 심어 반찬에 이용한다. 어민들은 근해에서 얻을 수 있는 해산물, 특히 조개, 꽃게, 김 등을 식생활에 많이 이용하고 있었다.
도시화된 지역은 특별한 산물이 없었으며 일부 주민이 텃밭을 이용해 채소를 재배하여 먹고 있는 정도였다. 일부 바빠서 식사를 제 때 못하는 경우도 있었지만 대부분의 주민들은 식사를 규칙적으로 세끼 모두 먹는 편이다. 아무리 바빠도 아침은 꼭 먹는데 밥 외에 빵이나 다른 음식을 먹는 경우는 없었다. 상차림은 식탁을 이용하여 함께 먹는 두렛상 형태이다. 주식류는 쌀밥, 잡곡밥, 비빔밥, 생굴밥(어민) 등이다.
봉담읍 동화 3리 역말농악을 통하여 화성농악을 살펴볼 때 다른 지역에서 발견되는 복잡한 가락구성을 하지 않고 오히려 자연스러운 안성일대의 농악과 접목되는 측면을 가지고 있다. 경기도 북부 농악은 복색에 있어서 모두 고깔을 쓰고 판제가 없이 농사풀이를 하는 특징이 있다면, 경기도 남부농악은 복색을 다양하게 갖추고 있으며 농사풀이 대신에 판제를 갖추고 있다. 그러나 칠채가락과 같은 공통된 가락이 존재한다. 역말농악은 북부농악과 남부농악을 비교하는 데 있어서 요긴한 의의를 가진다.
광대문화에 있어서는 경기도지역의 광대문화와 관련하여 조선 전기까지만 하더라도 매년 있었던 궁궐의 나례희를 비롯한 중앙의 산대희, 과거급제 관련행사 등의 행사에 경기도지역의 광대들이 동원되었으며, 임·병란 이후 상대적으로 피해가 적었던 전라도 지역의 광대들이 주도하였지만 조선 후기인 충청, 경기, 전라 등 삼남의 광대들까지 동원되던 때에 이들 삼남의 광대들이 서울로 갈 때, 길목에 있었던 화성의 재인청이 주요한 역할을 했음을 주창하였다.
근세악사들 항에서는, 경기도 남부의 도당굿 잽이들은 단순히 반주자로서가 아니라 선학습자로서 여무와 함께 굿을 분담하여 나가는 역할을 하였음을 밝히고, 주로 화성군 출신으로서 19세기 말엽부터 20세기에 이르기까지 지금은 작고한 근세 예인들에 대해 쓰고, 이덕만·오필순·이동안·이봉운·정팔봉·임선문·문상근·지수상·이용우·장만영의 가계와 활약상을 기록하였다.
화성지역의 민속놀이는 기존자료인 『화성군의 역사와 민속』 등을 참고하여 볼 때 풍물관련의 종목이 많다. 집단놀이에는 두레, 석전, 용줄다리기, 마당놀이, 새끼공치기(얼음장치기) 등이 나타나며 놀이 구성원은 최소한 20명 이상이 된다. 개인놀이에는 연띄우기, 윷놀이, 배치기, 배만들기, 활쏘기, 팽이치기, 널뛰기, 비사치기, 쥐불놀이, 풀각시놀이, 달맞이, 그네, 씨름, 춘향아씨놀이, 무구덩이 무서리, 새알 차장 구워먹기 등이 조사되었는데 내륙 쪽보다 서해안 쪽에 풍어와 관련된 생생력 관념이 남아 있으며, 도당굿, 화성재인청과 안성 남사당패의 뜬패 활동이 이 곳에까지 강력하게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의 줄다리기는 음정월 보름날에 세시풍속적으로 행하며, 풍년기원의 목적과 주민단합의 기능을 가지고 있고, 암줄이 이겨야 풍년이 든다고 생각함이 일반형인데, 화성지역의 경우도 이 범주에 든다. 화성을 포함한 경기도의 줄다리기에는 별다른 줄멤소리가 없다. 태안읍 기안리 줄이나 매송면 원리 줄 같이 줄 운반시에 총각과 각시(여장 남자)를 각각 수줄과 암줄 위에 태우고 행진함은 화성줄을 포함한 경기지역 줄다리기의 특색이다. 이는 웃다리농악지대인 경기도에서 무동세우기가 발달한 것과 연관된다. |
| |
![](http://www.hscity.net/hscity/images/oldimg/02/1_depth.gif) |
화성민속의 보존과 전수 |
![](http://www.hscity.net/images/blank.gif) |
|
![청소년 민속예술경연대회 보통리 용줄다리기 공연(1998)](http://www.hscity.net/hscity/images/oldimg/02/hscity01_04_01_img5.gif) |
민간의 풍속은 시대에 따라 변하기 마련이다. 그러나 화성민속의 고유성은 어떠한 방법으로든 보존되고, 현대적 의의를 지니는 것은 전수하여 길이 전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현대에 있어서 민속은 관광자원이 될 수 있다. 국가나 지방정부의 지정·비지정 문화재를 불문하고 무형의 문화유산들, 특히 오늘날에 이르도록 마을주민들이 스스로 보존·전승하고 있는 화성의 줄다리기는 벼농사지대 농민의 절실한 염원이 나타난 것으로 이로 인하여 |
|
공동체의 의식과 단합, 이웃 두레의 초청으로 인한 이웃과의 화합을 다져왔던 기능은 오늘날의 변화된 산업·정보사회에서도 유용한 만큼 서울에서 그다지 멀지 않은 입지적 조건을 생각하면 훌륭한 관광자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팔탄면 구장리의 ‘팔탄농요"는 부르기 힘든 긴방아와 문셍이(면셍이)를 가지고 있는 매우 소중한 것인 만큼 가창자들이 생존해 있는 동안에 보호되도록 힘써야 할 것이고 그 사이에라도 민요·민속마을로서 보호하여 이미 지정받은 ‘상여·회다지소리"와 그 밖에 구장리 줄다리기, 산신제, 우물제 등 마을의 민속이 이어져 갈 수 있도록 조처하여야 할 것이다.
이번 화성시사에 게재하지 못한 자료들과 조사가 미진한 부분들은 보완하여 기록물로 보존할 것이 요구된다.
경기도당굿이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고 남이장군 사당제가 서울의 무형문화재로, 구리갈매동도당굿이 경기도의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으며 지정문화재들을 홍보하는 영상물들을 쉽게 접할 수 있는 오늘날 우리나라 무가 연구에 있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화성지역의 무가를 조속히 조사하여 자료로 남기고 보존하는 일은 매우 의의가 있으며 시급을 요하는 사안이다.
민요 분야도 적지 않은 수집 자료들이 공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니만큼 CD를 첨부하여 독립된 책으로 발간한다면 화성의 개성을 알리는 하나의 관광자원으로도 활용이 될 것이다.
시대에 따라 변하는 화성의 민속을 시각적으로 한 눈에 볼 수 있고 이해를 도우며 화성을 알리는 시(市) 단위의 민속박물관 건립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농기구 등 민속자료들이 수집되어야 할 것이고, 아직도 행해지고 있는 산신제나 마을의 전통적 행사들을 모두 영상물로 기록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고증할 수 있는 사람들이 생존해 있는 동안 그들의 지도를 받아 사라져간 민속을 재현하여 영상물로 남겨둬야 할 것이다.
이소라 | 민족음악연구소 대표 | |
연 대 |
연 혁 |
1895. 05. 26 |
칙령 제89호(1895. 5. 26 공포)로 인천부 수원군이 됨 |
1936. 10. 01 |
일형, 의왕면을 일왕면으로 병합(1邑 19面) |
1949. 08. 15 |
대통령령 제161호(1949.8.13 공포)로 수원읍이 市로 승격 됨에 따라 수원군을 화성군으로 개칭 |
1960. 01. 01 |
법률 제539호(1960. 1. 1.공포)로 오산면이 읍으로 승격 |
1963. 01. 01 |
법률 제1175호(1962 .11 .21공포)로 일왕면이 시흥군 및 수원시로 분할편입되고 태장면의 3개리와 안용면의 5개리를 수원시로 편입,태장면의 8개리,안용면의 6개리를 병합, 태안면을 신설 (1邑16面) |
1970. 06. 10 |
오산읍 원리 232의2로 군청사 이전 |
1983. 02. 15 |
대통령령 제11027호(1983 . 1. 10공포)로 반월면 월암리, 초평리가 시흥군 의왕면에 편입되고, 비봉면 상기리를 봉담면에 편입 |
1985. 10. 01 |
대통령령 제11772호(1985. 9. 26공포)로 태안면을 태안읍 으로 승격 |
1986. 01. 01 |
법률 제3798호(1985.12.28 공포)로 반월면 일리, 이리, 사리, 본오리, 팔곡이리와 둔대리중 山98의1, 山101의1, 山101의2, 山101의3을 안산시로 편입 |
1987. 01. 01 |
대통령령 제12007호(1986.12.23 공포)로 서신면 칠곡리가 송산면에 편입되고, 팔탄면 지월리의 2개리를 향남면에 편입하여 장짐리로, 동탄면 금곡리의 1개리를 오산읍에 편입하여 은계리로 각각 신설되고, 매송면 금곡리, 호매실리를 수원시에,양감면 고염리를 평택군에 각각 편입 |
1989. 01. 01 |
대통령령 제44050호(1988.12.31 공포)로 오산읍을 오산시로 승격 분리(1邑 15面) |
1993. 09. 14 |
군조례 제1488호(1993.9.14 공포)로 향남면사무소 소재지를 향남면 평리 124번지에서 향남면 행정리 山62의 1번지로 변경 |
1994. 12. 26 |
대통령령 제14434호(1994.12.12 공포)로 태안읍 영통리일원, 신리·망포리 일부, 반월면 당수·입북리를 수원시로 반월면 건건·사사·팔곡일리를 안산시로, 반월면 둔대·속달· 도마교·대야미리를 군포시로 각각 분할편입(1邑14面) |
1995. 04. 20 |
대통령령 제14629호(1995.4.20 公布)로 태안읍 신·망포리를 수원시로 편입(1邑 14面) |
1996. 11. 15 |
군조례 제1630호(1996. 11. 15 공포)로 송산면사무소 소재지를 송산면 사강리 687-8에서 송산면 삼존리 203-5로 변경 |
1997. 07. 01 |
군조례 제1664호(1997. 7. 1 공포)로 서신면사무소 소재지를 서신면 매화리 368-1에서 서신면 매화리 277로 변경 |
1998. 01. 17 |
군조례 제1692호(1997. 1. 17 공포)로 마도면사무소 소재지를 마도면 석교리 211에서 마도면 석교리 243-31로 변경 |
1998. 04. 01 |
군조례 제1698호(1998. 3. 25 공포)로 봉담면을 봉담읍으로 승격(2邑13面) |
2000. 11. 01 |
군조례 제1848호(2000. 11. 1 공포)로 화성군청 소재지를 오산시 오산동 868에서 남양면 남양리 2000으로 변경 |
2000. 12. 09 |
군조례 제1854호(2000. 12. 9 공포)로 화성군 장안면 석포리의 일부를 우정면 주곡리에 편입하고, 우정면 주곡리의 일부를 장안면 석포리에 편입 |
2001. 03. 21 |
법률 제6280호(2000. 12. 20 공포)로 화성군을 화성시로 승격 |
2001. 03. 21 |
시조례 제35호(2001. 3. 21 공포)로 화성군 남양면을 폐지하고 화성시 남양동으로 전환 설치(2邑 12面 1洞) |
2001. 03. 21 |
시조례 제31호(2001. 3. 21 공포)로 화성시 동부출장소 설치 |
2002. 02. 26 |
시조례 제184호(2002. 2. 26 公布)로 화성시 매송면 야목리 일부를 비봉면 구포리에 편입하고, 비봉면 구포리 일부를 매송면 야목리에 편입 |
2003. 01. 23 |
시조례 제219호(2003. 1. 23 공포)로 매송면사무소 소재지를 매송면 어천리 424-2에서 매송면 어천리 380로, 장안면사무소 소재지를 장안면 어은리 386-1에서 장안면 사랑리 138-14 로 변경 |
2003.02. 26 |
시조례 제223호(2003. 2. 26 공포)로 화성시 팔탄면 매 곡리 일부를 향남면 상신리에 편입하고, 향남면 상신리 일부 를 팔탄면 매곡리에 편입 |
2003. 06. 14 |
시조례 제235호(2003. 6. 4 공포)로 우정면을 우정읍으로 승격(3邑 11面 1洞) |
2003. 07. 24 |
시조례 제245호(2003. 7. 24 공포)로 태안읍 기산리 일부를 병점리에 편입 |
2004. 03. 04 |
시조례 제265호(2004. 3. 4 공포)로 우정읍사무소 소재지를 우정읍 조암리 265-1에서 우정읍 조암리 411-1로 변경 |
2004. 07. 16 |
시조례 제279호(2004. 7. 16 공포)로 향남면 제암리 3필지 710㎡를 향남면 발안리에 편입 |
2005. 06. 21 |
시조례 제316호(2005. 6. 21 공포)로 향남면 구문천리 28필지 67,093㎡, 향남면 상신리 9필지 4,877㎡를 향남면 하길리에 편입, 향남면 상신리 85필지 56,536㎡를 향남면 구문천리에 편입 |
2006. 01.02 |
시조례 제353호(2005.12.02 공포)로 화성시 태안읍을 폐지하고 화성시 진안동, 병점1동, 병점2동, 반월동, 기배동 ,화산동 으로 전환 설치(2邑 11面 7洞) |
2006.11. 30 |
시조례 제416호(2006.11.30 공포)로 장안면 석포리 15필지 50,906㎡, 수촌리 12필지 7,428㎡를 장안면 금의리에 편입, 동탄면 오산리 20필지 18,970㎡, 금곡리 101필지 312,635㎡를 동탄면 반송리에 편입, 동탄면 청계리 27필지 37,122㎡, 영천리 9필지 23,438㎡를 동탄면 석우리에 편입 |
2007. 01. 29 |
시조례 제430호(2006.12.29 공포)로 향남면을 향남읍으로 승격하고, 동탄면의 반송리와 석우리를 반송동과 석우동으로 승격. 반송동과 석우동,동탄택지개발지구내 반월동,능동을 관 할하는 동탄동 신설(3邑10面 8洞) |
|
|
![](http://www.hscity.net/hscity/images/mid_munhwa07.gif) |
|
![](http://www.hscity.net/hscity/images/mid_munhwa05.gif) |
![화성의 절경 | 국화도](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sights_title09.gif)
|
|
|
![국화도](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img02_01.gif)
![국화도 설명](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txt02_01.gif) |
국화도는 조선시대에 유배지였다. 이 섬의 원래 이름은 국화도가 아니라 만화도였으나 일제 때 경기도 수원군 우정면 만화리에서 화성군 국화리로 바뀌었다고 한다. | |
최근 십여 년 사이 섬에는 많은 변화와 발전이 있었으며, 현재 22가구에 60여 명의 주민이 살고 있다. |
장고항이나 왜목마을에서 바라보면 국화도와 형제처럼 나란히 토끼섬이 보인다. 500m쯤 되는 국화도와 토끼섬 사이에는 썰물 때에 갯바위와 모래밭이 드러나 걸어서 건너갈 수가 있다. 이 바닷길 주변에는 고동을 비롯한 각종 조개가 풍부하다.
국화도 선착장 마을에서 야트막한 언덕을 넘어서면 전혀 다른 풍경이 나타난다. 바위투성이인 동쪽 해안과는 달리 조개껍질과 모래가 적당히 어우러진 천혜의 해수욕장이 활처럼 동그랗 |
|
![국화도](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pic01.gif) |
게펼쳐져 길게 이어진다. 해수욕장은 경사가 심하지 않아서 안전하게 물놀이를 즐길 수 있으며, 모래와 자잘한 자갈이 섞여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다른 서해안지역과 달리 물이 매우 맑으나 해변에 그늘이 없는 점이 아쉽다. 이 해수욕장의 서쪽에는 매박섬이 있는데, 이 섬도 토끼섬과 마찬가지로 썰물 때에는 바닷길을 통해 건너갈 수 있다. 국화도 해수욕장의 동쪽 끝은 바위지대이고, 부근의 산자락엔 소나무가 자라고 있어서 운치를 더해 준다. 북쪽에 있는 해수욕장 앞에서는 바다 건너편에 무인도인 입화도와 풍도 사람들의 바지락 채취지인 도리도가 빤히 건너다 보인다. 이와 같이 해수욕뿐만 아니라 어선도 탈 수 있고, 갯벌체험도 즐길 수 있다. | | |
![](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rbox_top.gif) |
![교통안내](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tour0102_01txt01.gif) |
![자가용이용](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tour0102_01txt02.gif) |
서해안고속도로 - 송악 IC(38번국도) - 고대국가공단 - 석문방조제 - 장고항 |
![대중교통](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tour0102_01txt03.gif)
|
충남 당진군 당진읍 : 장고항행 버스(1시간 간격, 40분소요) - 충남 당진군 석문면 장고항(어선 이용) | |
![국화도 안내도](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map09.gif) | | | | |
|
|
![](http://www.hscity.net/hscity/images/mid_munhwa07.gif) |
|
![](http://www.hscity.net/hscity/images/mid_munhwa05.gif) |
![화성의 절경 | 국화도](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sights_title09.gif)
|
|
|
![국화도](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img02_01.gif)
![국화도 설명](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txt02_01.gif) |
국화도는 조선시대에 유배지였다. 이 섬의 원래 이름은 국화도가 아니라 만화도였으나 일제 때 경기도 수원군 우정면 만화리에서 화성군 국화리로 바뀌었다고 한다. | |
최근 십여 년 사이 섬에는 많은 변화와 발전이 있었으며, 현재 22가구에 60여 명의 주민이 살고 있다. |
장고항이나 왜목마을에서 바라보면 국화도와 형제처럼 나란히 토끼섬이 보인다. 500m쯤 되는 국화도와 토끼섬 사이에는 썰물 때에 갯바위와 모래밭이 드러나 걸어서 건너갈 수가 있다. 이 바닷길 주변에는 고동을 비롯한 각종 조개가 풍부하다.
국화도 선착장 마을에서 야트막한 언덕을 넘어서면 전혀 다른 풍경이 나타난다. 바위투성이인 동쪽 해안과는 달리 조개껍질과 모래가 적당히 어우러진 천혜의 해수욕장이 활처럼 동그랗 |
|
![국화도](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pic01.gif) |
게펼쳐져 길게 이어진다. 해수욕장은 경사가 심하지 않아서 안전하게 물놀이를 즐길 수 있으며, 모래와 자잘한 자갈이 섞여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다른 서해안지역과 달리 물이 매우 맑으나 해변에 그늘이 없는 점이 아쉽다. 이 해수욕장의 서쪽에는 매박섬이 있는데, 이 섬도 토끼섬과 마찬가지로 썰물 때에는 바닷길을 통해 건너갈 수 있다. 국화도 해수욕장의 동쪽 끝은 바위지대이고, 부근의 산자락엔 소나무가 자라고 있어서 운치를 더해 준다. 북쪽에 있는 해수욕장 앞에서는 바다 건너편에 무인도인 입화도와 풍도 사람들의 바지락 채취지인 도리도가 빤히 건너다 보인다. 이와 같이 해수욕뿐만 아니라 어선도 탈 수 있고, 갯벌체험도 즐길 수 있다. | | |
![](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rbox_top.gif) |
![교통안내](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tour0102_01txt01.gif) |
![자가용이용](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tour0102_01txt02.gif) |
서해안고속도로 - 송악 IC(38번국도) - 고대국가공단 - 석문방조제 - 장고항 |
![대중교통](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tour0102_01txt03.gif)
|
충남 당진군 당진읍 : 장고항행 버스(1시간 간격, 40분소요) - 충남 당진군 석문면 장고항(어선 이용) | |
![국화도 안내도](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map09.gif) | |
![](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rbox_bottom.gif) | | | |
![화성의 절경 | 궁평리 낙조와 해송](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sights_title10.gif)
|
|
|
![궁평리낙조와 해송](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img02_02.gif)
![궁평리낙조와 해송 설명](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txt02_02.gif) |
남양, 사강, 서신을 지나 궁평리 관광어촌 휴양지 노변에는 천일염전들이 곳곳에 산재하여 있으므로 전형적인 농·어촌의 전원풍경을 감상할 수 있어 어린이 교육에도 좋을 뿐만 아니라 가족 단위 | |
의 1일 휴양코스나 드라이브코스로도 손색이 없다. |
궁평리 해안유원지는 길이 2㎞, 폭 50m의 백사장과 수령이 100년이나 된 해송 5천여 그루가 한데 어우러져 한 폭의 동양화를 연상케 하며 서해안 지역에서는 보기 드문 경치를 자랑하고 있는 곳이다. 만조시에는 하루 2시간 이상 해수욕을 즐길 수 있고, 간조시에는 약 2km의 뻘이 형성되어 서해 특유의 갯벌 체험을 할 수 있다. 20㏊의 조개 채취장에 서는 직접 조개잡이와 바다낚시를 겸할 수 있어 일거양득의 관광을 즐길 수 있다. |
|
![궁평리낙조와 해송](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pic02.gif) |
또한 인근 어민들이 잡아온 고기들은 싱싱한 횟감으로 각광을 받고 있으며 특히 궁평 해안유원지에서 바라보는 낙조는 화성 8경 중 4경에 꼽히는 절경으로 바다와 해송이 함께 어우러진 장관은 보는 이의 경탄을 자아내게 한다. | |
![궁평리해송숲/ 궁평리에서 열린 갯벌축제](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pic03.gif) |
궁평리 해수욕장은 낚시터, 해송숲, 넓은 운동장, 방갈로, 벤치, 식수대, 화장실 등 제반 편의시설이 잘 갖추어져 있을 뿐 아니라 완만한 경사의 모래사장이 있으므로 부담 없는 해수욕을 즐길 수 있고, 해수욕장을 따라 늘어서 있는 50년 이상 된 해송숲에서 휴식을 취할 수 있어 즐거움을 더해 준다.
또한 낚시터 위에 있는 출렁다리를 건너면 놀이동산을 만날 수 있다. 이 놀이동산에서 시간을 즐기며, 밀물시간이 되면 선착장에서 농어, 우럭, 굴, 꽃게 등을 구하여 시원한 해물잡탕을 맛볼 수 있다. | | |
![](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rbox_top.gif) |
![교통안내](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tour0102_01txt01.gif) |
![자가용이용](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tour0102_01txt02.gif) |
반월 > 비봉 > 사강 > 서산 > 궁평리 |
![대중교통](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tour0102_01txt03.gif)
|
수원역 버스 345,350,999번 이용 > 서신 매화리 하차 후 매화~ 궁평간 마을버스 이용(9,11,14,16,18시 5회 운행) | |
![궁평리낙조와 해송 안내도](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map10.gif) | |
![](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rbox_bottom.gif) | | | |
![화성의 절경 | 입파도 홍암](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sights_title11.gif)
|
|
|
![입파도 홍암](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img02_03.gif)
![입파도 설명](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txt02_03.gif) |
중심부를 중심으로 동서의 완만한 능선과 해안의 모래 및 조약돌밭을 제외하면 섬 전체가 30% 이상의 급사면을 이루고 있으며, 남북해안은 절벽을 이루고 있다. | |
광활한 서해바다에 우뚝 솟아 있는 붉은 기암괴석과 파도와 갈매기가 어우러진 풍경은 한 폭의 산수화로 보는 이로 하여금 감탄을 자아내게 한다. 인근에 있는 국화도와 함께 낚시객과 피서객들이 즐겨 찾는 곳이다.
- 화성시 우정읍 국화리
|
|
![입파도 홍암](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pic04.gif) | | |
![](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rbox_top.gif) |
![교통안내](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tour0102_01txt01.gif) |
![자가용이용](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tour0102_01txt02.gif) |
서해안고속도로 발안나들목(82번국도) -조암 - 매향리(선박 이용) - 입파도 |
![대중교통](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tour0102_01txt03.gif)
|
수원역→서신 매화리 하차(999,350,345번:15분간격) → 매화 ~ 궁평간 마을버스(오전 9,11 오후2,4,6시 5회)→궁평항에서 입파도간 어선이용 (오전9 오후1,4시 3회 약 40분소요)
기상악화 및 물때에 따라서 운항시간은 변경될 수 있으니 사무실 031-356-9387로 연락하시고 미리 출항시간을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 |
![입파도 홍암 안내도](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map09.gif) | |
![](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rbox_bottom.gif) | | | |
![화성의 절경 | 제부도 바닷길](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sights_title12.gif)
|
|
|
![제부도 바닷길](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img02_04.gif)
![제부도 바닷길 설명](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txt02_04.gif) |
제부도는 면적이 1.0㎢, 해안선의 길이가 12km인 한가롭고 작은 섬이다. 섬 중앙에 있는 최고봉은 62.5m에 지나지 않으며 섬 전체에 약간의 구릉지가 있을 뿐 대부분의 지역이 평지이다. 서쪽과 북쪽에 농경지가 발달해 있고 육지와 연결되는 동 | |
쪽 해안에 취락이 형성되어 있다. 주민들은 대부분 농업과 어업을 겸하고 있으며 굴 양식이 활발하다. 서해안은 수심이 얕고 사빈이 발달하여 해수욕장으로 개발되었고 썰물 때에는 간석지를 통하여 동쪽 해안이 육지와 연결된다. |
남양반도의 서쪽 끝에 있는 제부도는 수도권에서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하므로 교통이 편리하여 가족 단위의 1일 휴양코스의 여행지로 적당한 곳이다. 특히 제부도는 6시간마다 간조와 만조가 엇갈리면서 바다길이 열리는 이른바 ‘모세의 기적"이라 불리는 현상이 하루에 두 차례씩 나타나 색다른 즐거움을 맛볼 수 있다. 썰물 때 4~5m깊이의 바닷물이 빠져 나가 바닷물이 갈라지면 육지와 섬을 연결하는 2.3km에 달하는 시멘트 포장길이 나타난다. |
![제부도 낙조](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pic05.gif) | |
길 좌우에 펼쳐진 갯벌 사이의 시멘트 포장길을 건너는 묘미는 제부도 나들이의 즐거움을 더해준다. 이 길 양쪽으로 폭이 500m가 넘는 갯벌이 펼쳐지는데 왼쪽은 진흙밭이고 오른쪽은 모래와 자갈이 섞여 있다. |
![제부도 매바위](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pic06.gif) |
섬으로 들어서면 바로 갈래길이 나오는데 왼쪽 길로 들어서면 그림과 같은 해안선과 기암괴석, 넓게 펼쳐지는 아름다운 풀밭을 만나게 되고 오른쪽 길로 들어서면 광어, 우럭, 꽃게 등의 싱싱한 해산물을 파는 포구를 만날 수 있다. 섬을 싸고 도는 왼쪽 길과 오른쪽 길이 마주치는 곳에서 1.4km 좁은 길을 달리면 모랫벌 남서쪽 끝에서 매바위를 만나게 된다. 이 매바위는 제부도의 명물로 오랜 기간의 해식작용에 의해 기이한 모양을 한 기암괴석으로 환상적인 분위기를 더해 준다. | |
매바위 주변은 갯벌로 이루어져 있어 바지락이나 조개를 잡는 즐거움을 맛볼 수 있다. |
섬의 서쪽에 1.6km에 달하는 곧게 펼쳐진 제부리 해수욕장은 백사장의 폭이 좁고 백사장 곳곳에 조개껍질이 깔려 있어서 맨발로 들어가는 것이 어렵다. 그러나 수심이 얕고 고른 편이므로 밀물시간에 3시간 정도 바닷가에서 간이 해수욕을 즐길 수 있는 묘미가 있다. 원래 이 제부리 해수욕장은 모래가 고운 것이 특징이었으나 안타깝게도 제부도 북쪽에 시화호가 건설되면서 서해 바다의 길이 바뀌어 제부리 해수욕장의 모래가 쓸려나가 지금과 같이 되었다고 한다. 시화호 건설로 인해 제부도는 서쪽 해안의 |
![제부도 해수욕장](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pic07.gif) | |
갈대밭이 없어지는 등 많은 환경 변화가 있었다고 하는데 매우 안타까운 일이다. |
![제부도 갯벌](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pic08.gif) |
제부도 나들이의 즐거움 가운데 또 다른 하나로 물이 빠진 바위틈에서 석화를 캐먹는 즐거움을 빼 놓을 수 없다. 또한 제부도의 갯벌에서는 제철이면 바지락과 굴을 쉽게 볼 수 있는데, 11월 말까지가 바지락철이고 그 후는 굴이 제철이다. 많은 주민들이 굴양식을 하고 있으며, 관광객을 위한 산지 굴 판매도 하고 있다. 제부도는 조개류가 많을 뿐 아니라 맛 또한 매우 좋다.
그러므로 대부분의 식당에서 조개구이를 팔고 있고 이 바지락을 이용한 칼국수가 잘 알려져 있다. 제부도에서 조개를 잡으려면 | |
호미와 맛소금을 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맛소금은 조개의 미끼로 사용되는데, 갯벌의 조개 구멍에 맛소금을 조금 뿌리면 조개는 바닷물이 들어 온 것으로 알고 구멍에서 갯벌로 나온다고 한다. 제부도 해안에는 무분별한 조개 채취 때문에 출입이 금지된 곳이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제부도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것 가운데 하나는 제부도의 낙조이다. 제부도에서 바라보는 서해의 낙조는 서해 지역에서 낙조가 가장 아름다운 대표적인 곳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 |
![](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rbox_top.gif) |
![교통안내](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tour0102_01txt01.gif) |
![자가용이용](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tour0102_01txt02.gif) |
① 서해안고속도로 - 비봉톨게이트 - 남양 - 사강 - 서신 - 제부도 |
② 과천 ~ 의왕 간 고속도로 - 천천IC - 비봉 - 남양 - 사강 - 서신 - 제부도 |
③ 수원역 - 사강 - 서신 - 제부도(남양반도로 가는 길 : 경부 고속도로나 경수 산업도로 이용- 수원역 - 306호 지방도 이용(사강방면) | |
![제부도 안내도](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map12.gif) |
![대중교통](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tour0102_01txt03.gif)
|
① 수원역 : 999번, 400-1번 버스(평일 밤 12시까지)
② 안양, 금정역 : 33번, 330번 버스(평일 밤 9시30분, 주말 밤 12시까지)
| | |
![](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rbox_bottom.gif) | | | |
![화성의 절경 | 국화도](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sights_title09.gif)
|
|
|
![국화도](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img02_01.gif)
![국화도 설명](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txt02_01.gif) |
국화도는 조선시대에 유배지였다. 이 섬의 원래 이름은 국화도가 아니라 만화도였으나 일제 때 경기도 수원군 우정면 만화리에서 화성군 국화리로 바뀌었다고 한다. | |
최근 십여 년 사이 섬에는 많은 변화와 발전이 있었으며, 현재 22가구에 60여 명의 주민이 살고 있다. |
장고항이나 왜목마을에서 바라보면 국화도와 형제처럼 나란히 토끼섬이 보인다. 500m쯤 되는 국화도와 토끼섬 사이에는 썰물 때에 갯바위와 모래밭이 드러나 걸어서 건너갈 수가 있다. 이 바닷길 주변에는 고동을 비롯한 각종 조개가 풍부하다.
국화도 선착장 마을에서 야트막한 언덕을 넘어서면 전혀 다른 풍경이 나타난다. 바위투성이인 동쪽 해안과는 달리 조개껍질과 모래가 적당히 어우러진 천혜의 해수욕장이 활처럼 동그랗 |
|
![국화도](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pic01.gif) |
게펼쳐져 길게 이어진다. 해수욕장은 경사가 심하지 않아서 안전하게 물놀이를 즐길 수 있으며, 모래와 자잘한 자갈이 섞여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다른 서해안지역과 달리 물이 매우 맑으나 해변에 그늘이 없는 점이 아쉽다. 이 해수욕장의 서쪽에는 매박섬이 있는데, 이 섬도 토끼섬과 마찬가지로 썰물 때에는 바닷길을 통해 건너갈 수 있다. 국화도 해수욕장의 동쪽 끝은 바위지대이고, 부근의 산자락엔 소나무가 자라고 있어서 운치를 더해 준다. 북쪽에 있는 해수욕장 앞에서는 바다 건너편에 무인도인 입화도와 풍도 사람들의 바지락 채취지인 도리도가 빤히 건너다 보인다. 이와 같이 해수욕뿐만 아니라 어선도 탈 수 있고, 갯벌체험도 즐길 수 있다. | | |
![](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rbox_top.gif) |
![교통안내](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tour0102_01txt01.gif) |
![자가용이용](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tour0102_01txt02.gif) |
서해안고속도로 - 송악 IC(38번국도) - 고대국가공단 - 석문방조제 - 장고항 |
![대중교통](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tour0102_01txt03.gif)
|
충남 당진군 당진읍 : 장고항행 버스(1시간 간격, 40분소요) - 충남 당진군 석문면 장고항(어선 이용) | |
![국화도 안내도](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map09.gif) | |
![](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rbox_bottom.gif) | | | |
![화성의 절경 | 궁평리 낙조와 해송](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sights_title10.gif)
|
|
|
![궁평리낙조와 해송](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img02_02.gif)
![궁평리낙조와 해송 설명](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txt02_02.gif) |
남양, 사강, 서신을 지나 궁평리 관광어촌 휴양지 노변에는 천일염전들이 곳곳에 산재하여 있으므로 전형적인 농·어촌의 전원풍경을 감상할 수 있어 어린이 교육에도 좋을 뿐만 아니라 가족 단위 | |
의 1일 휴양코스나 드라이브코스로도 손색이 없다. |
궁평리 해안유원지는 길이 2㎞, 폭 50m의 백사장과 수령이 100년이나 된 해송 5천여 그루가 한데 어우러져 한 폭의 동양화를 연상케 하며 서해안 지역에서는 보기 드문 경치를 자랑하고 있는 곳이다. 만조시에는 하루 2시간 이상 해수욕을 즐길 수 있고, 간조시에는 약 2km의 뻘이 형성되어 서해 특유의 갯벌 체험을 할 수 있다. 20㏊의 조개 채취장에 서는 직접 조개잡이와 바다낚시를 겸할 수 있어 일거양득의 관광을 즐길 수 있다. |
|
![궁평리낙조와 해송](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pic02.gif) |
또한 인근 어민들이 잡아온 고기들은 싱싱한 횟감으로 각광을 받고 있으며 특히 궁평 해안유원지에서 바라보는 낙조는 화성 8경 중 4경에 꼽히는 절경으로 바다와 해송이 함께 어우러진 장관은 보는 이의 경탄을 자아내게 한다. | |
![궁평리해송숲/ 궁평리에서 열린 갯벌축제](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pic03.gif) |
궁평리 해수욕장은 낚시터, 해송숲, 넓은 운동장, 방갈로, 벤치, 식수대, 화장실 등 제반 편의시설이 잘 갖추어져 있을 뿐 아니라 완만한 경사의 모래사장이 있으므로 부담 없는 해수욕을 즐길 수 있고, 해수욕장을 따라 늘어서 있는 50년 이상 된 해송숲에서 휴식을 취할 수 있어 즐거움을 더해 준다.
또한 낚시터 위에 있는 출렁다리를 건너면 놀이동산을 만날 수 있다. 이 놀이동산에서 시간을 즐기며, 밀물시간이 되면 선착장에서 농어, 우럭, 굴, 꽃게 등을 구하여 시원한 해물잡탕을 맛볼 수 있다. | | |
![](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rbox_top.gif) |
![교통안내](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tour0102_01txt01.gif) |
![자가용이용](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tour0102_01txt02.gif) |
반월 > 비봉 > 사강 > 서산 > 궁평리 |
![대중교통](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tour0102_01txt03.gif)
|
수원역 버스 345,350,999번 이용 > 서신 매화리 하차 후 매화~ 궁평간 마을버스 이용(9,11,14,16,18시 5회 운행) | |
![궁평리낙조와 해송 안내도](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map10.gif) | |
![](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rbox_bottom.gif) | | | |
![화성의 절경 | 입파도 홍암](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sights_title11.gif)
|
|
|
![입파도 홍암](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img02_03.gif)
![입파도 설명](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txt02_03.gif) |
중심부를 중심으로 동서의 완만한 능선과 해안의 모래 및 조약돌밭을 제외하면 섬 전체가 30% 이상의 급사면을 이루고 있으며, 남북해안은 절벽을 이루고 있다. | |
광활한 서해바다에 우뚝 솟아 있는 붉은 기암괴석과 파도와 갈매기가 어우러진 풍경은 한 폭의 산수화로 보는 이로 하여금 감탄을 자아내게 한다. 인근에 있는 국화도와 함께 낚시객과 피서객들이 즐겨 찾는 곳이다.
- 화성시 우정읍 국화리
|
|
![입파도 홍암](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pic04.gif) | | |
![](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rbox_top.gif) |
![교통안내](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tour0102_01txt01.gif) |
![자가용이용](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tour0102_01txt02.gif) |
서해안고속도로 발안나들목(82번국도) -조암 - 매향리(선박 이용) - 입파도 |
![대중교통](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tour0102_01txt03.gif)
|
수원역→서신 매화리 하차(999,350,345번:15분간격) → 매화 ~ 궁평간 마을버스(오전 9,11 오후2,4,6시 5회)→궁평항에서 입파도간 어선이용 (오전9 오후1,4시 3회 약 40분소요)
기상악화 및 물때에 따라서 운항시간은 변경될 수 있으니 사무실 031-356-9387로 연락하시고 미리 출항시간을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 |
![입파도 홍암 안내도](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map09.gif) | |
![](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rbox_bottom.gif) | | | |
![화성의 절경 | 제부도 바닷길](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sights_title12.gif)
|
|
|
![제부도 바닷길](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img02_04.gif)
![제부도 바닷길 설명](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txt02_04.gif) |
제부도는 면적이 1.0㎢, 해안선의 길이가 12km인 한가롭고 작은 섬이다. 섬 중앙에 있는 최고봉은 62.5m에 지나지 않으며 섬 전체에 약간의 구릉지가 있을 뿐 대부분의 지역이 평지이다. 서쪽과 북쪽에 농경지가 발달해 있고 육지와 연결되는 동 | |
쪽 해안에 취락이 형성되어 있다. 주민들은 대부분 농업과 어업을 겸하고 있으며 굴 양식이 활발하다. 서해안은 수심이 얕고 사빈이 발달하여 해수욕장으로 개발되었고 썰물 때에는 간석지를 통하여 동쪽 해안이 육지와 연결된다. |
남양반도의 서쪽 끝에 있는 제부도는 수도권에서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하므로 교통이 편리하여 가족 단위의 1일 휴양코스의 여행지로 적당한 곳이다. 특히 제부도는 6시간마다 간조와 만조가 엇갈리면서 바다길이 열리는 이른바 ‘모세의 기적"이라 불리는 현상이 하루에 두 차례씩 나타나 색다른 즐거움을 맛볼 수 있다. 썰물 때 4~5m깊이의 바닷물이 빠져 나가 바닷물이 갈라지면 육지와 섬을 연결하는 2.3km에 달하는 시멘트 포장길이 나타난다. |
![제부도 낙조](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pic05.gif) | |
길 좌우에 펼쳐진 갯벌 사이의 시멘트 포장길을 건너는 묘미는 제부도 나들이의 즐거움을 더해준다. 이 길 양쪽으로 폭이 500m가 넘는 갯벌이 펼쳐지는데 왼쪽은 진흙밭이고 오른쪽은 모래와 자갈이 섞여 있다. |
![제부도 매바위](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pic06.gif) |
섬으로 들어서면 바로 갈래길이 나오는데 왼쪽 길로 들어서면 그림과 같은 해안선과 기암괴석, 넓게 펼쳐지는 아름다운 풀밭을 만나게 되고 오른쪽 길로 들어서면 광어, 우럭, 꽃게 등의 싱싱한 해산물을 파는 포구를 만날 수 있다. 섬을 싸고 도는 왼쪽 길과 오른쪽 길이 마주치는 곳에서 1.4km 좁은 길을 달리면 모랫벌 남서쪽 끝에서 매바위를 만나게 된다. 이 매바위는 제부도의 명물로 오랜 기간의 해식작용에 의해 기이한 모양을 한 기암괴석으로 환상적인 분위기를 더해 준다. | |
매바위 주변은 갯벌로 이루어져 있어 바지락이나 조개를 잡는 즐거움을 맛볼 수 있다. |
섬의 서쪽에 1.6km에 달하는 곧게 펼쳐진 제부리 해수욕장은 백사장의 폭이 좁고 백사장 곳곳에 조개껍질이 깔려 있어서 맨발로 들어가는 것이 어렵다. 그러나 수심이 얕고 고른 편이므로 밀물시간에 3시간 정도 바닷가에서 간이 해수욕을 즐길 수 있는 묘미가 있다. 원래 이 제부리 해수욕장은 모래가 고운 것이 특징이었으나 안타깝게도 제부도 북쪽에 시화호가 건설되면서 서해 바다의 길이 바뀌어 제부리 해수욕장의 모래가 쓸려나가 지금과 같이 되었다고 한다. 시화호 건설로 인해 제부도는 서쪽 해안의 |
![제부도 해수욕장](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pic07.gif) | |
갈대밭이 없어지는 등 많은 환경 변화가 있었다고 하는데 매우 안타까운 일이다. |
![제부도 갯벌](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pic08.gif) |
제부도 나들이의 즐거움 가운데 또 다른 하나로 물이 빠진 바위틈에서 석화를 캐먹는 즐거움을 빼 놓을 수 없다. 또한 제부도의 갯벌에서는 제철이면 바지락과 굴을 쉽게 볼 수 있는데, 11월 말까지가 바지락철이고 그 후는 굴이 제철이다. 많은 주민들이 굴양식을 하고 있으며, 관광객을 위한 산지 굴 판매도 하고 있다. 제부도는 조개류가 많을 뿐 아니라 맛 또한 매우 좋다.
그러므로 대부분의 식당에서 조개구이를 팔고 있고 이 바지락을 이용한 칼국수가 잘 알려져 있다. 제부도에서 조개를 잡으려면 | |
호미와 맛소금을 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맛소금은 조개의 미끼로 사용되는데, 갯벌의 조개 구멍에 맛소금을 조금 뿌리면 조개는 바닷물이 들어 온 것으로 알고 구멍에서 갯벌로 나온다고 한다. 제부도 해안에는 무분별한 조개 채취 때문에 출입이 금지된 곳이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제부도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것 가운데 하나는 제부도의 낙조이다. 제부도에서 바라보는 서해의 낙조는 서해 지역에서 낙조가 가장 아름다운 대표적인 곳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 |
![](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rbox_top.gif) |
![교통안내](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tour0102_01txt01.gif) |
![자가용이용](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tour0102_01txt02.gif) |
① 서해안고속도로 - 비봉톨게이트 - 남양 - 사강 - 서신 - 제부도 |
② 과천 ~ 의왕 간 고속도로 - 천천IC - 비봉 - 남양 - 사강 - 서신 - 제부도 |
③ 수원역 - 사강 - 서신 - 제부도(남양반도로 가는 길 : 경부 고속도로나 경수 산업도로 이용- 수원역 - 306호 지방도 이용(사강방면) | |
![제부도 안내도](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map12.gif) |
![대중교통](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tour0102_01txt03.gif)
|
① 수원역 : 999번, 400-1번 버스(평일 밤 12시까지)
② 안양, 금정역 : 33번, 330번 버스(평일 밤 9시30분, 주말 밤 12시까지)
| | |
![](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rbox_bottom.gif) | | | |
|
|
![](http://www.hscity.net/hscity/images/mid_munhwa07.gif) |
|
![](http://www.hscity.net/hscity/images/mid_munhwa05.gif) |
![화성의 절경 | 국화도](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sights_title09.gif)
|
|
|
![국화도](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img02_01.gif)
![국화도 설명](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txt02_01.gif) |
국화도는 조선시대에 유배지였다. 이 섬의 원래 이름은 국화도가 아니라 만화도였으나 일제 때 경기도 수원군 우정면 만화리에서 화성군 국화리로 바뀌었다고 한다. | |
최근 십여 년 사이 섬에는 많은 변화와 발전이 있었으며, 현재 22가구에 60여 명의 주민이 살고 있다. |
장고항이나 왜목마을에서 바라보면 국화도와 형제처럼 나란히 토끼섬이 보인다. 500m쯤 되는 국화도와 토끼섬 사이에는 썰물 때에 갯바위와 모래밭이 드러나 걸어서 건너갈 수가 있다. 이 바닷길 주변에는 고동을 비롯한 각종 조개가 풍부하다.
국화도 선착장 마을에서 야트막한 언덕을 넘어서면 전혀 다른 풍경이 나타난다. 바위투성이인 동쪽 해안과는 달리 조개껍질과 모래가 적당히 어우러진 천혜의 해수욕장이 활처럼 동그랗 |
|
![국화도](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pic01.gif) |
게펼쳐져 길게 이어진다. 해수욕장은 경사가 심하지 않아서 안전하게 물놀이를 즐길 수 있으며, 모래와 자잘한 자갈이 섞여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다른 서해안지역과 달리 물이 매우 맑으나 해변에 그늘이 없는 점이 아쉽다. 이 해수욕장의 서쪽에는 매박섬이 있는데, 이 섬도 토끼섬과 마찬가지로 썰물 때에는 바닷길을 통해 건너갈 수 있다. 국화도 해수욕장의 동쪽 끝은 바위지대이고, 부근의 산자락엔 소나무가 자라고 있어서 운치를 더해 준다. 북쪽에 있는 해수욕장 앞에서는 바다 건너편에 무인도인 입화도와 풍도 사람들의 바지락 채취지인 도리도가 빤히 건너다 보인다. 이와 같이 해수욕뿐만 아니라 어선도 탈 수 있고, 갯벌체험도 즐길 수 있다. | | |
![](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rbox_top.gif) |
![교통안내](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tour0102_01txt01.gif) |
![자가용이용](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tour0102_01txt02.gif) |
서해안고속도로 - 송악 IC(38번국도) - 고대국가공단 - 석문방조제 - 장고항 |
![대중교통](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tour0102_01txt03.gif)
|
충남 당진군 당진읍 : 장고항행 버스(1시간 간격, 40분소요) - 충남 당진군 석문면 장고항(어선 이용) | |
![국화도 안내도](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map09.gif) | |
![](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rbox_bottom.gif) | | | |
![화성의 절경 | 궁평리 낙조와 해송](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sights_title10.gif)
|
|
|
![궁평리낙조와 해송](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img02_02.gif)
![궁평리낙조와 해송 설명](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txt02_02.gif) |
남양, 사강, 서신을 지나 궁평리 관광어촌 휴양지 노변에는 천일염전들이 곳곳에 산재하여 있으므로 전형적인 농·어촌의 전원풍경을 감상할 수 있어 어린이 교육에도 좋을 뿐만 아니라 가족 단위 | |
의 1일 휴양코스나 드라이브코스로도 손색이 없다. |
궁평리 해안유원지는 길이 2㎞, 폭 50m의 백사장과 수령이 100년이나 된 해송 5천여 그루가 한데 어우러져 한 폭의 동양화를 연상케 하며 서해안 지역에서는 보기 드문 경치를 자랑하고 있는 곳이다. 만조시에는 하루 2시간 이상 해수욕을 즐길 수 있고, 간조시에는 약 2km의 뻘이 형성되어 서해 특유의 갯벌 체험을 할 수 있다. 20㏊의 조개 채취장에 서는 직접 조개잡이와 바다낚시를 겸할 수 있어 일거양득의 관광을 즐길 수 있다. |
|
![궁평리낙조와 해송](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pic02.gif) |
또한 인근 어민들이 잡아온 고기들은 싱싱한 횟감으로 각광을 받고 있으며 특히 궁평 해안유원지에서 바라보는 낙조는 화성 8경 중 4경에 꼽히는 절경으로 바다와 해송이 함께 어우러진 장관은 보는 이의 경탄을 자아내게 한다. | |
![궁평리해송숲/ 궁평리에서 열린 갯벌축제](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pic03.gif) |
궁평리 해수욕장은 낚시터, 해송숲, 넓은 운동장, 방갈로, 벤치, 식수대, 화장실 등 제반 편의시설이 잘 갖추어져 있을 뿐 아니라 완만한 경사의 모래사장이 있으므로 부담 없는 해수욕을 즐길 수 있고, 해수욕장을 따라 늘어서 있는 50년 이상 된 해송숲에서 휴식을 취할 수 있어 즐거움을 더해 준다.
또한 낚시터 위에 있는 출렁다리를 건너면 놀이동산을 만날 수 있다. 이 놀이동산에서 시간을 즐기며, 밀물시간이 되면 선착장에서 농어, 우럭, 굴, 꽃게 등을 구하여 시원한 해물잡탕을 맛볼 수 있다. | | |
![](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rbox_top.gif) |
![교통안내](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tour0102_01txt01.gif) |
![자가용이용](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tour0102_01txt02.gif) |
반월 > 비봉 > 사강 > 서산 > 궁평리 |
![대중교통](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tour0102_01txt03.gif)
|
수원역 버스 345,350,999번 이용 > 서신 매화리 하차 후 매화~ 궁평간 마을버스 이용(9,11,14,16,18시 5회 운행) | |
![궁평리낙조와 해송 안내도](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map10.gif) | |
![](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rbox_bottom.gif) | | | |
![화성의 절경 | 입파도 홍암](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sights_title11.gif)
|
|
|
![입파도 홍암](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img02_03.gif)
![입파도 설명](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txt02_03.gif) |
중심부를 중심으로 동서의 완만한 능선과 해안의 모래 및 조약돌밭을 제외하면 섬 전체가 30% 이상의 급사면을 이루고 있으며, 남북해안은 절벽을 이루고 있다. | |
광활한 서해바다에 우뚝 솟아 있는 붉은 기암괴석과 파도와 갈매기가 어우러진 풍경은 한 폭의 산수화로 보는 이로 하여금 감탄을 자아내게 한다. 인근에 있는 국화도와 함께 낚시객과 피서객들이 즐겨 찾는 곳이다.
- 화성시 우정읍 국화리
|
|
![입파도 홍암](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pic04.gif) | | |
![](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rbox_top.gif) |
![교통안내](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tour0102_01txt01.gif) |
![자가용이용](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tour0102_01txt02.gif) |
서해안고속도로 발안나들목(82번국도) -조암 - 매향리(선박 이용) - 입파도 |
![대중교통](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tour0102_01txt03.gif)
|
수원역→서신 매화리 하차(999,350,345번:15분간격) → 매화 ~ 궁평간 마을버스(오전 9,11 오후2,4,6시 5회)→궁평항에서 입파도간 어선이용 (오전9 오후1,4시 3회 약 40분소요)
기상악화 및 물때에 따라서 운항시간은 변경될 수 있으니 사무실 031-356-9387로 연락하시고 미리 출항시간을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 |
![입파도 홍암 안내도](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map09.gif) | |
![](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rbox_bottom.gif) | | | |
![화성의 절경 | 제부도 바닷길](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sights_title12.gif)
|
|
|
![제부도 바닷길](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img02_04.gif)
![제부도 바닷길 설명](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txt02_04.gif) |
제부도는 면적이 1.0㎢, 해안선의 길이가 12km인 한가롭고 작은 섬이다. 섬 중앙에 있는 최고봉은 62.5m에 지나지 않으며 섬 전체에 약간의 구릉지가 있을 뿐 대부분의 지역이 평지이다. 서쪽과 북쪽에 농경지가 발달해 있고 육지와 연결되는 동 | |
쪽 해안에 취락이 형성되어 있다. 주민들은 대부분 농업과 어업을 겸하고 있으며 굴 양식이 활발하다. 서해안은 수심이 얕고 사빈이 발달하여 해수욕장으로 개발되었고 썰물 때에는 간석지를 통하여 동쪽 해안이 육지와 연결된다. |
남양반도의 서쪽 끝에 있는 제부도는 수도권에서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하므로 교통이 편리하여 가족 단위의 1일 휴양코스의 여행지로 적당한 곳이다. 특히 제부도는 6시간마다 간조와 만조가 엇갈리면서 바다길이 열리는 이른바 ‘모세의 기적"이라 불리는 현상이 하루에 두 차례씩 나타나 색다른 즐거움을 맛볼 수 있다. 썰물 때 4~5m깊이의 바닷물이 빠져 나가 바닷물이 갈라지면 육지와 섬을 연결하는 2.3km에 달하는 시멘트 포장길이 나타난다. |
![제부도 낙조](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pic05.gif) | |
길 좌우에 펼쳐진 갯벌 사이의 시멘트 포장길을 건너는 묘미는 제부도 나들이의 즐거움을 더해준다. 이 길 양쪽으로 폭이 500m가 넘는 갯벌이 펼쳐지는데 왼쪽은 진흙밭이고 오른쪽은 모래와 자갈이 섞여 있다. |
![제부도 매바위](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pic06.gif) |
섬으로 들어서면 바로 갈래길이 나오는데 왼쪽 길로 들어서면 그림과 같은 해안선과 기암괴석, 넓게 펼쳐지는 아름다운 풀밭을 만나게 되고 오른쪽 길로 들어서면 광어, 우럭, 꽃게 등의 싱싱한 해산물을 파는 포구를 만날 수 있다. 섬을 싸고 도는 왼쪽 길과 오른쪽 길이 마주치는 곳에서 1.4km 좁은 길을 달리면 모랫벌 남서쪽 끝에서 매바위를 만나게 된다. 이 매바위는 제부도의 명물로 오랜 기간의 해식작용에 의해 기이한 모양을 한 기암괴석으로 환상적인 분위기를 더해 준다. | |
매바위 주변은 갯벌로 이루어져 있어 바지락이나 조개를 잡는 즐거움을 맛볼 수 있다. |
섬의 서쪽에 1.6km에 달하는 곧게 펼쳐진 제부리 해수욕장은 백사장의 폭이 좁고 백사장 곳곳에 조개껍질이 깔려 있어서 맨발로 들어가는 것이 어렵다. 그러나 수심이 얕고 고른 편이므로 밀물시간에 3시간 정도 바닷가에서 간이 해수욕을 즐길 수 있는 묘미가 있다. 원래 이 제부리 해수욕장은 모래가 고운 것이 특징이었으나 안타깝게도 제부도 북쪽에 시화호가 건설되면서 서해 바다의 길이 바뀌어 제부리 해수욕장의 모래가 쓸려나가 지금과 같이 되었다고 한다. 시화호 건설로 인해 제부도는 서쪽 해안의 |
![제부도 해수욕장](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pic07.gif) | |
갈대밭이 없어지는 등 많은 환경 변화가 있었다고 하는데 매우 안타까운 일이다. |
![제부도 갯벌](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pic08.gif) |
제부도 나들이의 즐거움 가운데 또 다른 하나로 물이 빠진 바위틈에서 석화를 캐먹는 즐거움을 빼 놓을 수 없다. 또한 제부도의 갯벌에서는 제철이면 바지락과 굴을 쉽게 볼 수 있는데, 11월 말까지가 바지락철이고 그 후는 굴이 제철이다. 많은 주민들이 굴양식을 하고 있으며, 관광객을 위한 산지 굴 판매도 하고 있다. 제부도는 조개류가 많을 뿐 아니라 맛 또한 매우 좋다.
그러므로 대부분의 식당에서 조개구이를 팔고 있고 이 바지락을 이용한 칼국수가 잘 알려져 있다. 제부도에서 조개를 잡으려면 | |
호미와 맛소금을 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맛소금은 조개의 미끼로 사용되는데, 갯벌의 조개 구멍에 맛소금을 조금 뿌리면 조개는 바닷물이 들어 온 것으로 알고 구멍에서 갯벌로 나온다고 한다. 제부도 해안에는 무분별한 조개 채취 때문에 출입이 금지된 곳이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제부도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것 가운데 하나는 제부도의 낙조이다. 제부도에서 바라보는 서해의 낙조는 서해 지역에서 낙조가 가장 아름다운 대표적인 곳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 |
![](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rbox_top.gif) |
![교통안내](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tour0102_01txt01.gif) |
![자가용이용](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tour0102_01txt02.gif) |
① 서해안고속도로 - 비봉톨게이트 - 남양 - 사강 - 서신 - 제부도 |
② 과천 ~ 의왕 간 고속도로 - 천천IC - 비봉 - 남양 - 사강 - 서신 - 제부도 |
③ 수원역 - 사강 - 서신 - 제부도(남양반도로 가는 길 : 경부 고속도로나 경수 산업도로 이용- 수원역 - 306호 지방도 이용(사강방면) | |
![제부도 안내도](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map12.gif) |
![대중교통](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tour0102_01txt03.gif)
|
① 수원역 : 999번, 400-1번 버스(평일 밤 12시까지)
② 안양, 금정역 : 33번, 330번 버스(평일 밤 9시30분, 주말 밤 12시까지)
| | |
![](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rbox_bottom.gif) | | | |
삼국시대의 산성으로 1971년 사적 제217호로 지정되었다. 소재지인 남양(南陽)은 처음에는 백제의 영역이었다가 한때 고구려가 점령하여 당성군(唐城郡)이라 하였으며, 신라에 편입된 이후로 당항성(黨項城)이라고 불렀다. 신라 경덕왕 때는 당은군이 되어 성을 축조하고 황해를 통하여 중국과 교류하는 출입구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신라 후기에는 당성진이 설치되어 청해진과 함께 신라 해군의 근거지로 중요시되어 왔다. 실제 성내에서는 각종 삼국시대 토기편과 자기편, 와편 등이 채집되어 왔으며 성내의 가장 낮은 평지에서는 1개의 추정저수지와 조선시대 건물지로 우물지 등이 조사되었다. |
|
![당성을 내려다 본 전경](http://www.hscity.net/tour/02_heritage/img/cpic49.gif) | |
![당성 성벽](http://www.hscity.net/tour/02_heritage/img/cpic50.gif) |
|
당성은 남북으로 길다란 장방형에 가까우며 작은 계곡을 두른 포곡식의 본성(本城)과 서남쪽에 낮은 능선 대지를 두른 부곽(副郭)이 이중으로 외성을 이룬다. 정상부 아래의 기슭에 남문터와 북문터가 있고 계곡쪽으로 동문터와 수구터가 있으며 수구터의 주변에 건물터가 있다. 외성은 성의 서남쪽 제일 높은 곳에서 한층 낮아진 평탄 대지를 주머니 모양으로 둘러서 본성의 남문을 보호하는 옹성처럼 축조한 흔적을 찾을 수 있다. 한편 이 외성에서 다시 능선을 따라 낮아지는 곳에도 보다 작은 제2의 외성이 축조되어 있어서 남문으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최소한 2개의 벽을 통과해야하는 특수한 형태를 이루고 있다. | |
당성은 오랜 세월을 지나면서 많이 훼손되어 지금은 과거의 모습을 고스란히 보기는 어려우나 현재 산성의 일부가 복원되었고 연차적으로 복원사업이 진행될 예정이므로 앞으로 예전의 모습을 되찾는다면 좋은 역사교육의 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또 정상부까지 오르는 길은 온통 숲으로 둘러싸여 있고 정상부에 오르면 서해의 여러 섬들을 포함한 이 근처 일대를 그림처럼 조망할 수 있어서 가벼운 산책로로 정비해도 좋을 것 이다. |
|
![당성 사적비](http://www.hscity.net/tour/02_heritage/img/cpic51.gif) | |
![](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rbox_top.gif) |
![자가용이용](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tour0102_01txt02.gif) |
① 경부고속도로 - 수원 IC - 수원역(오산방향, 300m) - 지하도 - 우측(30km 직진) - 매송 - 비봉 - 남양 - 송산(2km) - 서신 구봉산 |
![대중교통](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tour0102_01txt03.gif)
|
② 서해안고속도로 비봉 IC - 306번 지방도로 - 남양리 - 사강리 - 제부도 방면 309번 지방도로 - 상안리 | | |
![](http://www.hscity.net/tour/01_sights/img/rbox_bottom.gif)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