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와 어법이 제일 비슷한나라는 라후어(고구려인들의 후예로 추정) re: 만주어를 보면 말갈족=여진은 우리민족과는 생판틀린 민족. cdk198q 2006.08.20 03:42 감사합니다. 그 사실을 아십니까?? 우리나라 언어가 알타이어족이라는 사실도 사실은 아직 정확한 학설이 아니라는거... 사실 현재 우리나라와 어법이 제일 비슷한나라는 라후어(고구려인들의 후예로 추정) 그다음에가.. 慰禮城 地名由來 2009.10.29
십제(十濟) 수수께끼 [백제본기] 수수께끼 5) 십제(十濟) 수수께끼 전주문화원 2009.08.15 [백제본기] 수수께끼 5) 십제(十濟) 수수께끼.doc [백제본기] 수수께끼 5) 십제(十濟) 수수께끼.hwp [백제본기] 수수께끼 5) 십제(十濟) 수수께끼 ▶[삼국사기. 백제본기]의 <건국 설화>는 온조(溫祚)가 세운 나라 이름을 <십제(十濟)>.. 慰禮城 地名由來 2009.10.29
백제의 慰禮城도 몽고어 - ulus(나라)의 발달형인 울레(>위례 <기고> 百濟의 첫 都邑地는 稷山慰禮城(직산위례성) 『고려사』(1454 간)-직산현은 본시 위례성 “고대사의 비교 언어학적 연구” 저서에서 강길운 교수(전 수원대학교) 백제의 첫 번째 도읍지는 稷山慰禮城으로 비정(批正) 했다. 옛 지명의 대부분은 당시의 지배층이 사용하던 어휘를 한자를 빌어 .. 慰禮城 地名由來 2009.10.09
'위례'는 '크고 많음' 또는 '우리'의 뜻으로 추정 백제 도읍 이름 위례가 살아났다 - '위례'는 '크고 많음' 또는 '우리'의 뜻으로 추정 - 한국땅이름학회 명예회장 배우리 www.travelevent.net 서울 송파구 거여동, 장지동 일대와 경기도 하남시 학암동, 성남시 수정구 창곡동, 복정동 일대, 즉 남한산성이 있는 청량산 서쪽 너른 평야는 우리에게는 그다지 잘 .. 慰禮城 地名由來 2009.08.28
죽산 고을에 남은 아픔의 흔적들 죽산 고을에 남은 아픔의 흔적들 - 고려 때부터 중요시 해온 경기 남부의 방어 진지 ■ 글·사진 :: 배우리<한국땅이름학회 회장> 돌보는 이 없어 아예 슬픔에 젖었음인가? 성은 외로이 산비탈을 지키다가 그대로 주저앉았다. 죽주성(竹州城). 누가 이를 지금에 와서 역사적 의미를 지닌 성이라 하.. 慰禮城 地名由來 2009.08.28
밝히기 힘든 ‘아리랑’의 어원 날 좀 보소오 날 좀 보소오 날 좀 보오소 동지섣달 꽃 본듯이 날 좀 보소 아리아리랑 쓰리쓰리랑 아라리가 났네 아리라앙 고개를 넘어간다 -밀양아리랑의 노랫말 밝히기 힘든 ‘아리랑’의 어원 우리 귀에 너무도 익숙한 아리랑이지만, 아리랑의 성립 시기나 그 어원에 관해서는 아직도 확실한 정설이.. 慰禮城 地名由來 2009.08.28
대령(大嶺)·대관(大關)·진고개는 모두 ‘큰 고개’의 뜻 [백두대간 대장정 제20구간 / 노인봉] 지명 대령(大嶺)·대관(大關)·진고개는 모두 ‘큰 고개’의 뜻 고개도 크기에 따라 치(재), 현, 령, 관 등으로 구분 배우리 한국땅이름학회 명예회장 한송정 솔빛은 푸른 연기에 어리었는데 경포대 물빛은 먼 하늘을 밝히도다 총석과 금란과 또 국도여 하나 하나 .. 慰禮城 地名由來 2009.08.28
연기군은 본래 백제 ‘두잉지(豆仍只)’현이었는데 장남벌의 미꾸지내가 새 도읍지를 마련했네… - 새 행정수도가 들어설 연기군 남면 일대 ■ 글·사진 :: 배우리<한국땅이름학회 회장> 온 국민의 눈과 귀가 쏠린 가운데 새 행정 수도의 후보지가 최종 결정됐다. 분명히 충청권 어디라는 것은 확실한데, 그 동안 어디가 될지는 그 누구도 잘 알지도 .. 慰禮城 地名由來 2009.08.28
화령 옛이름은 '물가의 큰 산'의 뜻인 '답달 화령 옛이름은 '물가의 큰 산'의 뜻인 '답달 '답'은 '닿음(접함)', '달'은 '산'의 옛말 한국땅이름학회 명예회장 배우리 050700 산 기고 28매 땅기 월간산 백두대간 땅이름 `백두대간7 추풍령~화령재(8-9) '영남(嶺南)'이니 '영동(嶺東)'이니 하는 지금의 지역 이름들은 백두대간이 낳은 이름이라 할 수 있다. 또.. 慰禮城 地名由來 2009.08.28
′피아골′은 ′비앗골′에서 왔을 수도 ′피아골′은 ′비앗골′에서 왔을 수도 한국땅이름학회 명예회장 배우리 ☞ 다른 지역 땅이름 보기 '가을에 붉은 단풍 봄꽃보다 고와라. 천공(天公)이 나를 위해 뫼꽃을 꾸몄으니 산도 붉고 물도 붉고 사람마저 붉어라.' 조선 중종 때 학자 남명 조식(曺植. 1501∼1572)은 지리산의 삼홍소(三紅沼)를 보.. 慰禮城 地名由來 2009.0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