天安 文化財 探訪

천안 문화재 탐방-16...목천 기미만세운동 기념비~목천현감 비석군~목천 남화리토성 터

吾心竹--오심죽-- 2012. 12. 28. 18:21

<<< 천안 문화재 탐방-16...목천 기미만세운동 기념비~목천현감 비석군~목천 남화리토성 터 >>>

 

* 목천현 관아 터...목천초등학교...//

 

 

*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사무소 // 

 

 

 

 

 

* 목천 기미독립만세운동 기념비(木川 己未獨立萬歲運動 紀念碑)

*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서리 113 (서리2길 32) 목천초등학교

 

*목천 기미독립만세운동 기념비문

1919년 3·1 독립선언에 따라 동년 3월14일 오후 4시 목천공립보통학교 전교생 171명은 비폭력과 평화적 원칙하에 총궐기하여 대한독립만세를 소리 높이 외치며 교문을 뛰쳐나가 목천읍내 일대를 누비며 강렬한 항일 독립만세 시위를 전개하였다. 이날의 독립만세운동은 순식간에 각지로 파급 확산되어 4월1일은 호서지방 최대의 항일투쟁 의거인 아우내 만세운동으로 이어졌으니 이곳 목천학생 의거는 바로 천안지방에서 최초로 일어난 3·1독립만세운동의 발상지로서 주동학생이 4명이 체포 구금된 중대한 사건이었다. 이 고귀한 애국 독립운동의 정신과 명예를 기리고 받들어 영구히 빛내고저 역사의 현장 이곳에 우리의 정성을 모아 3·1독립선언 70주년을 맞이하여 기념비를 세운다. 1989년 3월 14일 / 목천기미독립만세운동 기념비 건립위원회 / 건립위원장 김재홍 지음 / 무 림 김영기 씀 /

 

목천 기미독립만세운동 참가 유공자 명단

 

※ 목천공립보통학교 재교생 전원 (無順)...졸업생 명단 확인 결과 172명으로 최종 확인됨.

번호

성명 (172명)

1

우수복

이병눌

이규봉

김기문

김상근

김신응

한평남

2

이정식

조희철

김상복

이화종

이기

조한택

정해봉

3

함기현

박기환

유석봉

김인학

장현석

곽한복

조영철

4

유치영

정우진

홍재순

권순경

곽석이

박창래

김상현

5

박성철

이상규

이성범

한용산

박래수

남영우

황규창

6

이곡우

유진홍

정태식

유창열

곽부귀

이운재

강정균

7

박철호

최성업

이용운

소갑용

황대헌

김순제

최방울

8

최정열

황판용

이상익

유동의

박병희

윤종연

김수남

9

최원휴

최창권

윤기병

이갑제

이종칠

조철호

조준식

10

곽건영

조영식

정석봉

임무규

이주병

김원묵

황봉선

11

이석종

소진철

임홍갑

조춘식

윤지병

박현규

이수동

12

김관제

한상우

정태억

이우종

정규원

정정술

박승오

13

김두환

한이현

윤반두

김린수

강복동

윤수병

김성기

14

이규석

이달종

유정원

최수길

김재기

황성섭

차철흥

15

한일성

방경인

손천만

유주원

윤상신

유억만

문석승

16

임편야민

이계영

유기화

이명호

정윤모

정두용

김창섭

17

유인국

김선봉

유정열

강창쇠

황용군

박복술

김태순

18

김재철(북면)

최인득

김붕수

김효식

김진묵

유동열

임헌옥

19

유재학

강창희

이용업

유장성

현해준

권태형

이상목

20

김봉춘

현상순

김재철(성남)

박천득

신완식

윤종순

유동원

21

황규복

박승일

김정묵

권백용

방채남

윤주병

정찬모

22

박노찬

김정현

김소용

신이봉

이신득

홍근식

이호직

23

신을경

최을봉

김경열

이보국

한정봉

박동규

이계동

24

이규태

김상구

김상하

김태응

김상훈

김의호

김시응

25

김상원

김영국

김동한

※김백득

※누락자

 

* ‘목천 보통학교 만세운동’은 1919년 3월14일 당시 목천보통학교 학생(13세~23세) 172명이 운동장에 모여 태극기를 들고 목천읍내로 진출해 일본 헌병대 앞에서 만세를 부른 천안 최초의 만세운동이다. 이 사건을 계기로 입장, 풍세, 천안, 병천 지역의 만세운동의 기폭제가 됐다는 평가를 받고 있으며, 지난 1989년 3월 14일 목천초등학교 교정에 기념비를 세우고 매년 기념식을 거행해오고 있다.

 

 

 

 

 

 

 

 

 

 

 

 

 

 

 

 

 

 

 

 

 

 

 

 

 

 

 

 

 

 

 

 

 

 

 

 

 

 

 

 

 

 

 

 

 

 

 

 

 

 

 

 

 

 

 

 

 

* 목천현감 비석군(木川縣監 碑石群)

* 충남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서리 93-1

 

* 목천현 관아에 있던 역대 목천현감들의 선정비와 공덕비를 현재의 목천읍사무소 앞에 이전하여 세웠다.

목천현 관아 터는 현재의 목천초등학교 교정에 있었다. 목천현 관아는 내륙과 바닷길을 잇던 교통의 요충지에 있다.

특히 순암 안정복선생의 동사강목을 집필 탈고한 용회당과, 청원정, 객사, 동헌 등이 있었으며 일제시대 사진자료를 보면 수많은 축대의 기단석과 주춧돌이 많았으나 최근 일부 학교의 신축건물을 지으면서 조경업자 등에게 넘어가 아쉬움을 더한다.

지금도 오형제 나무라 불리는 느티나무 5섯 그루가 목천현 관아 터를 묵묵히 지키고 있다.

삼국시대 이후 고려시대 조선시대 만일령, 납은치, 부소령으로 통하며 목천은 산악지형이 많아 사통팔달 교충의 요로에 위치하여 진천, 청주, 공주의 길목이다. 목천현감을 역임한 고을 수령들의 선정비와 공덕비, 영세불망비 등이 23개가 있다.

 

 

 

 

 

 

 

 

 

 

 

 

 

 

 

 

 

 

 

 

 

 

 

 

 

 

 

 

 

 

 

 

 

 

 

 

 

 

 

 

 

 

 

 

 

 

 

 

 

 

 

 

 

 

 

 

 

* 목천중학교, 목천고등학교 정문 //

 

 

 

 

 

 

 

 

 

 

 

* 목천토성(남화토성)...木川土城(南化土城)

* 충남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남화리 산1-1, 18, 35-3, 35-5, 36-1번지

 

* 목천토성(木川土城...백두대간 금북정맥 흑성산지맥...낮은 구릉)

산성

위치

시대

축조방식

둘레

대표 수습유물

木川土城

(南化土城)

목천읍 남화리

(목천고등학교)

백제

6C후기 추정

판축식

토성

450m

토기, 와편, 대형 옹기편

 

이 유적은 독립기념관 건립 시 그 부지내에서 발견되어 발굴조사된 토성지로 흑성산 (해발519m) 남동 기슭에서 갈라져 남쪽으로 뻗어 내린 구릉의 말단 언저리 부분에 위치하고 있다. 발굴조사 결과 이 유적은 판축기법(版築技法)에 의하여 축조된 성벽임이 판명되었다. 성벽의 너비는 5-9m이고 높이는 현재 제일 잘 남아 있는 곳에서 2-7m 정도였다. 그리고 성벽의 내외면은 수직에 가까운 벽면을 이루고 있었다. 한편 성안에 대한 탐색조사에서는 주목할 만한 유구의 확인은 없었고 단지 토기, 와편을 포함한 토층이 확인되었을 뿐이다. 유물로는 토기편과 와편이 주로 출토되었는데 토기편들 중에는 목부분에 특징 있는 단선의 물결무늬가 새겨진 대형의 항아리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어 유적의 연대를 추측하는 데 큰 도움을 주고 있다. 이 토성지는 판축의 기법을 통해 볼 때 삼국시대의 판축기법이 적용되고 있는 사실로 미루어 보아 일단 삼국시대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유적이 위치한 목천(木川)에 대목악군(大木岳郡)이 설치되었던 사실과 이 대목악군 이 삼국후기 백제와 신라의 점령지대였던 점으로 미루어 삼국시대 중에서도 6세기 후엽 경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 된다.

한편, 이 목천토성은 우리나라 고유의 성곽형식인 산성과 비교할 때, 그 입지조건에서 특이한 일면을 엿보게 한다. 이 목천토성은 백제시대에 있어서 읍성(邑城)의 기원 형식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중요한 유적이라 하겠다.

이 목천토성에 대한 발굴 조사에서는 토성의 성체가 순수한 판축기법에 의하여 축조된 사실이 밝혀졌을 뿐만 아니라, 판축시공에 있어서의 기술적 과정이 부분적으로나마 해명됨으로써 우리나라 고대 축성제도를 밝히는데 기여할 수 있게 되었다.

 

목천토성은 고대 축성법에 도입된 판축공법으로 구릉 위에 축조하였는데, 당시 잔존 부분은 북·서변에 걸쳐 길이가 약 190m에 달하였으며 복원한 전장(全長)은 약 450m에 달한다. 이 토성은 성체의 축조과정이 약 3.8m의 길이로 구분되었으며 그것을 공사단위로 정하여 순차로 시공하고 있다. [출처] 한국의 산성(71) - 백제 목천토성(天安 木川土城) |

 

* 목천의 지명변화

대목악>대목압,갑(押)>대목각>목각(木角)으로 변화됩니다.

목각(木角)-남불,남ㄱ+발,남블>남들>남벌(南伐)>남화(南化)

남, 남ㄱ...목(木)→남녘 남(南),

벌, 블, 불, 벌...각(角)→될 화(化)로 변화됨.

*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남화리...독립기념관 겨레의 탑 동네 이름...남화(南化) 지명유래.

 

 

 

 

 

 

 

 

 

 

 

 

 

 

 

 

 

 

 

 

 

 

<<< 오심죽...천안 문화재 탐방-16...목천 기미만세운동 기념비~목천현감 비석군~목천 남화리토성 터...2012.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