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산 정경연교수 ///
|
1. 나경패철의 개요 (羅經佩鐵의 槪要)
나경(羅經)은『포라만상(包羅萬象) 경륜천지(經倫天地)』에서『나(羅)』자와 『경(經)』자를 따와 붙여진 이름이다. 포라만상은 우주의 삼라만상을 포함한다는 뜻이고, 경륜천지는 하늘과 땅의 이치를 다스린다는 뜻이다. 나경을 허리에 차고 다닌다하여『패철(佩鐵)』이라고도 하고, 나침반을 뜻하여 『쇠』라고도 불린다. 풍수지리에서는 유일하게 필요한 도구다. 용, 혈, 사, 수, 향의 정확한 위치를 측정하여 길한 방위와 흉한 방위의 판별을 하는데 사용한다. 나경의 역사는 매우 오래되었다. 기원전 2700년경 중국의 헌원황제(軒轅黃帝)는 동이(東夷)의 치우(蚩尤)와 싸우고 있었다. 치우는 우수한 병장기와 뛰어난 전략으로 매번 승리를 하였다. 특히 큰 안개를 일으켜 앞을 가로막았다. 방향을 분간할 수 없었던 황제 군대는 혼란에 빠져 괴멸되어 갔다. 이때 하늘에서 현녀(玄女)가 나타나 나침반을 주니, 비로소 방향을 잡아 치우 군대를 물리칠 수 있었다. 이때부터 나침반이 유래되었다고 한다. 또 다른 전설은 기원전 1100년경 주(周)나라 성왕(成王)때 만들어졌다고 한다. 남방 월국(越國)에서 조공을 받치러온 사신들은 귀환도중 길을 잃어 제대로 돌아갈 수가 없었다. 이를 안타깝게 여긴 주공(周公)이 항시 남쪽을 가리키는 지남차(指南車)라는 수레를 만들어 주었다고 한다. 주공은 은(殷)나라를 멸하고 주나라를 세운 문왕(文王)의 아들이며, 무왕(武王)의 동생이다. 무왕이 죽은 뒤 어린 성왕이 제위에 오르자 조카를 도와 섭정(攝政)을 하였다. 그는 중국 고대의 정치?사상?문화 등 다방면에 공헌하여 유학자에 의해 성인으로 숭앙 받는 인물이다. 이때 주공은 주역의 후천 팔괘를 응용하여 나침반으로 방위를 측정하도록 하였다고 한다. 그 후로 오랜 세월을 거치면서 나경은 많은 성인들이 조금씩 발전시켜 왔다. 한나라 고조 유방(劉邦)의 공신이었던 장량(張良/?~BC 168)은 선천도(先天圖)에 의해 지반정침(地盤正針)을 제정했다고 전한다. 또 당나라 때 양균송(楊筠松)은 지반정침을 중심으로 더욱 보완하여 천반봉침(天盤縫針)과 인반중침(人盤中針)을 만들었다고 한다. 그러나 나경은 정확히 누가 어떠한 논리로 만들었는지는 알려지지 않고 있다. 이 때문에 해석이 난해하고 학설은 분분하다. 오늘날 나경은 청나라 때의 지리학자인 매곡천(梅穀天)이 제작한 『강희윤도(康熙輪圖)』에 근거한 것이다. 이것을 역시 청나라 때 인물인 왕도형(王道亨)이 『나경투해(羅經透解)』라는 책을 저술하여 사용법을 설명하였다. 나경은 단순히 땅만 보는 기구가 아니다. 우주의 순환이치를 담고 있다. 이를 제대로만 해석할 수 있다면 우주의 모든 이치를 알 수 있을 것이다. 총36층으로 이루어졌으나 풍수지리에서는 보통 9층까지만 사용한다. |
2. 나경패철의 구조 (羅經佩鐵의 構造)
우주천체가 원이듯이 나경패철도 원형으로 되어 있다. 우주의 근원이 태극에 있으므로 나경의 원리도 태극을 바탕으로 한다. 태극은 음양으로 나누어지는데 나경패철의 한가운데 원으로 된 부분이 태극이다. 남북을 가르치는 자침은 음양을 뜻한다. 원을 기준으로 하여 밖으로 나가면서 글자가 배열되어 있다. 그 층을 순서대로 1층, 2층, 3층, 4층, 5층, 6층, 7층, 8층, 9층이라고 부른다.
태극은 후천팔괘를 표시하였다.
제1층은 팔요황천살(八曜黃泉殺)을 표시해두었다. 모두 8개 방위의 황천살을 나타낸다. 제2층은 팔로사로황천살(八路四路黃泉殺)로, 황천 방위를 나타내는 층이다. 제3층은 오행(五行)으로, 목국(木局), 화국(火局), 금국(金局), 수국(水局)으로 구분되는 4국(四局) 의 삼합오행(三合五行)을 표시해 두었다. 제4층은 지반정침(地盤正針)으로 기준선이 되는데, 24방위가 표시되어 있다. 동사택-적색, 서사택-청색표시. -.구성 숫자표시,구성동궁 빨,주,노,초,파,남,보,회색. 흑점-정음,백점-정양 제5층은 천산72룡(穿山七十二龍)으로, 60갑자와 12개의 공란으로 되어 있다. -.丙子旬,庚子旬- 왕상맥(旺相脈)으로 색상을 넣어 표시함 제6층은 인반중침(人盤中針)으로, 24방위가 표시되어 있다. -.28수의 성수오행을 색상으로 표시. 좌와 사격의 생극관계를 본다. 제7층은 투지60룡(透地六十龍)으로, 60갑자가 표시되어 있다. -.旺氣脈-丙子旬과, 相氣脈-庚子旬만 사용하며 색상으로 표시함 제8층은 천반봉침(天盤縫針)으로, 24방위가 표시되어 있다. -.사국을 색상으로 표현(목국:녹,화국:적,금국:회색,수국:흑).점은 陽의 기포점 제9층은 분금(分金)으로 120칸으로 나누어져 있고, 48개의 갑자가 표시되어 있다. 72개는 공란이다. -.납음오행을 색상으로 표시(木:녹,火:적,土:황,金:백,水:흑),망자와 생극관계봄
현공:적색은 하괘, 노란색은 체괘, 보라색은 공망을 나타냄 64괘를 표시하였고 숫자는 九星數를 나타낸다. 현공풍수 적용 384효, 흑점이 길효를 나타낸다.
3. 나경패철로 방위를 측정하는 방법
(1) 정반정침 (正盤正針)
묘지나 택지 또는 건물의 측정하고자 하는 곳에 먼저 나경패철을 수평으로 놓는다. 그 다음에 원가운데 있는 자침이 자오선(子午線)과 일치하도록 조절한다. 보통 나경패철의 자침은 북쪽을 가리키는 곳에 구멍을 뚫어 놓았거나, 빨강 색으로 칠해 놓았다. 또 자오선에 선을 그려 놓아 자침을 일치시키는데 편리하도록 하였다. 자침의 구멍 뚫린 부분이 4층 자(子, 정북)의 중앙에, 반대쪽은 4층 오(午, 정남)의 중앙에 일치시키는 것을 나경패철의 정반정침(正盤正針)이라고 한다.
|
(2) 측정방법 (測定方法) 1) 음택지의 측정
묘지에서의 측정은 다음과 같이 두 가지 경우로 나뉜다. 기존의 묘가 있는 곳에서는 묘 앞이나 상석 중앙에 나경패철을 정반정침 한다. 새로운 자리는 묘지의 혈심처 중앙에 정반정침한다. 이법(理法)에 따라 4층 지반정침 또는 8층 천반봉침으로 묘의 좌향(坐向)을 측정한다. 6층 인반중침으로는 주변에 있는 산[사격]의 방위를 측정한다. 8층 천반봉침으로는 득수처(得水處)와 수구(水口), 저수지, 호수 등 물의 방위를 측정한다. 용맥의 측정은 먼저 묘 뒤 입수도두 중앙에 나경패철을 정반정침한다. 그 다음 4층 지반정침으로 용이 내려오는 쪽을 보고, 용이 변화한 지점의 방위를 측정한다. 이것이 입수1절룡이며 보통 입수룡(入首龍)이라고 한다. 입수2절룡은 1절룡의 변화지점으로 옮겨, 다시 나경패철을 정반정침한다. 그리고 내려오는 용이 변화하는 지점의 방위를 측정한다. 입수3절룡, 입수4절룡 등도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면 된다. 단 현무봉에서 소조산 또는 중조산, 태조산 까지는 입수룡처럼 용맥의 한 절 한 절 변화한 지점을 측정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 따라서 산봉우리 정상에서 다음 봉우리 정상까지 방위를 측정하여 어떤 방위로 산맥이 이어져 왔는지를 판단한다. 이법론에서 제일 많이 응용되는 부분은 입수1절룡이다. 그러므로 입수1절룡의 정확한 측정이 제일 중요하다고 하겠다. |
2) 양택의 측정
양택의 측정은 대지 중심점 혹은 건물의 중앙에 나경패철을 정반정침한다. 다음 대지와 건물의 형평을 참작하여 기두(起頭)를 설정한다. 기두는 단독 주택의 경우 건물의 무게 중심처다. 아파트나 사무실 등은 현관문이나 출입문이 된다. 나경패철을 정반정침한 곳에서 기두의 방위를 4층 지반정침으로 측정한다. 그리고 대문, 방, 거실, 부엌, 수도, 하수구, 화장실 등의 방위를 측정한다. 그 다음 가상법칙(家相法則)에 의해서 각 방위의 길흉화복을 판단한다. 양택에서 방위 측정은 4층 지반정침만을 사용한다. 이때 24방위를 3방위씩 나눈 팔괘방위가 기본 단위가 된다. 즉 감(坎)은 임자계(壬子癸) 3방위가 되고, 간(艮)은 축간인(丑艮寅), 진(震)은 갑묘을(甲卯乙), 손(巽)은 진손사(辰巽巳), 이(離)는 병오정(丙午丁), 곤(坤)은 미곤신(未坤申), 태(兌)는 경유신(庚酉辛), 건(乾)은 술건해(戌乾亥)가 된다. |
4. 각층의 사용법 (各層의 使用法)
(1) 제1층 팔요황천살 (八曜黃泉殺)
나경패철의 1층에는 진(辰), 인(寅), 신(申), 유(酉), 해(亥), 묘(卯), 사(巳), 오(午) 8칸으로 나누어 표시되어 있다. 이 8방향은 4층 지반정침의 방위에 대한 황천살(黃泉殺)을 뜻하는 것으로, 1층으로 방위를 측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4층에 있는 임자계(壬子癸) 3방위의 1층에는 진(辰)이 표시되어 있다. 임자계(壬子癸) 3방위는 진(辰) 방향으로부터 팔요황천살을 받는다는 표시다. 팔요황천살은 악살 중에서도 가장 흉한 살이다. 죽음과 파멸을 뜻하므로 장사 지낼 때 반드시 피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사람이 다치고 재산이 망하는 인상손재(人傷損財)를 당할 수 있다. 옛 글에서도 ‘살요위제악지수(煞曜爲諸惡之首) 조장최기(造葬最忌)’라 하여 팔요황천살은 모든 악살 중에서도 으뜸이므로 조장 때 제일 먼저 피해야 한다고 하였다. 팔요황천살은 입수룡의 오행을 향의 오행이 극하면 용상팔살(龍上八煞)이다. 입수룡의 오행을 물의 방위오행이 극하면 황천수(黃泉水)가 된다. 입수룡의 오행을 바람의 방위오행이 극하면 황천풍(黃泉風)이 된다. 험한 골짜기가 있거나 주변 산이 요함(凹陷)하여 그곳으로 바람이 불어오면 황천 방위가 된다. 장사를 지내는데 날짜 일진(日辰)의 오행이 묘좌(墓坐) 오행을 극하면 황천일(黃泉日)이 된다. 황천살이 되는 이유는 4층에 표시된 3방위의 팔괘(八卦)오행을 1층에서 지시한 지지(地支)오행이 동음양(同陰陽)으로 극(剋)하기 때문이다. 육친법(六親法)으로는 편관(偏官) 또는 관살(官煞)이라고 한다. 이를 좀더 설명하면, 4층 임자계(壬子癸) 3방위는 팔괘로 감괘(坎卦)고 오행은 양수(陽水)가 된다. 그런데 진(辰)의 정오행(正五行)은 양토(陽土)로 토극수(土剋水)하므로 관살이 되는 것이다. 축간인(丑艮寅) 3방위는 간괘(艮卦)이며 오행은 양토(陽土)다. 음양이 같으면서 이를 극하는 지지(地支)는 오행이 양목(陽木)인 인(寅)이다. 따라서 축간인(丑艮寅) 3방위는 인(寅) 방향의 팔요황천살을 받으므로 나경패철 1층에 이를 표시해 놓았다. 같은 방법으로 24방위 모두 황천살 방위가 1층에 기재되어 있다. 이를 암기하기 쉽게 고전(古典)에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감룡(坎龍), 간호(艮虎), 진산후(震山?), 손계(巽鷄), 이저(離猪), 곤토(坤兎), 태사두(兌蛇頭), 건마(乾馬)』
이를 해석하면 감(坎)은 용(龍)인 진(辰)의 황천살을 받는다. 간(艮)은 호랑이인 인(寅)의 황천살을 받는다. 진(震)은 원숭이인 신(申)의 황천살을 받는다. 손(巽)은 닭인 유(酉)의 황천살을 받는다. 이(離)는 돼지인 해(亥)의 황천살을 받는다. 곤(坤)은 토끼인 묘(卯)의 황천살을 받는다. 태(兌)는 뱀인 사(巳)의 황천살을 받는다. 건(乾)은 말인 오(午)의 황천살을 받는다는 뜻이다. 이를 도표로 만들면 다음과 같다.
[팔요황천살 조견표]
입수룡 入首龍 |
팔괘(八卦) |
감(坎) |
간(艮) |
진(震) |
손(巽) |
이(離) |
곤(坤) |
태(兌) |
건(乾) |
궁위(宮位) (4층) |
임자계 壬子癸 |
축간인 丑艮寅 |
갑묘을 甲卯乙 |
진손사 辰巽巳 |
병오정 丙午丁 |
미곤신 未坤申 |
경유신 庚酉辛 |
술건해 戌乾亥 |
오행(五行) |
水(+) |
土(+) |
木(+) |
木(-) |
火(-) |
土(-) |
金(-) |
金(+) |
황천살 黃泉殺 |
방위(方位) (1층) |
辰, 戌 |
寅 |
申 |
酉 |
亥 |
卯 |
巳 |
午 |
오행(五行) |
土(+) |
木(+) |
金(+) |
金(-) |
水(-) |
木(-) |
火(-) |
火(+) |
오행의 상극(相剋) |
토극수(土剋水), 목극토(木剋土), 금극목(金剋木), 수극화(水剋火), 화극금(火剋金) |
[예제]
◎ 용상팔살 (龍上八殺) 혈의 향(向) 오행이 입수룡(入首龍=입수1절룡)의 오행을 극(剋)하는 것.
【예1】입수1절룡을 나경패철 4층 지반정침으로 측정하니 임자계(壬子癸) 3방위 중 하나로 감룡(坎龍)이었다. 이때는 묘의 좌향을 술좌진향(戌坐辰向)이나 진좌술향(辰坐戌向)을 못 놓는다. 감(坎) 입수룡은 진(辰)향이나 술(戌)향의 황천살을 받기 때문이다. |
【예2】입수1절룡을 나경패철 4층으로 측정하니 미곤신(未坤申) 3방위 중 하나의 용맥으로 입수되었다. 이때는 곤룡(坤龍)이며 유좌묘향(酉坐卯向)을 못 놓는다. 왜냐하면 곤(坤)의 오행은 토(土)이고 묘(卯)향의 오행은 목(木)이다. 오행의 상극 관계에서 목이 토를 극하여 관살(황천살)이 되기 때문이다. |
【예3】입수1절룡을 패철의 4층으로 측정하니 손룡(巽龍) 즉 진손사(辰巽巳) 3방위 중 하나였다. 이때는 묘좌 유향(卯坐酉向)을 못 놓는다. |
【예4】입수1절룡이 나경패철 4층으로 측정하니 술건해(戌乾亥) 3방위중 하나로 입수했는데 자좌오향(子坐午向)을 놓으면 용상팔살에 걸려 인상재패(人傷財敗)한다. |
◎ 황천수 (黃泉水) 물이 있는 방위의 오행이 입수룡의 오행을 극하는 것을 말한다. 물은 8층 천반봉침으로 측정한다. 황천수는 혈을 향하여 들어오는 내수(來水) 즉 득수(得水)와 혈에서 보이는 호수나 저수지 물을 본다. 물이 나가는 파구(破口)의 방위는 상관하지 않는다.
【예1】입수1절룡을 나경패철 4층 지반정침으로 측정하니 축간인(丑艮寅) 3방향 중 하나로 간룡(艮龍)이다. 물이 들어오는 득수처나 물이 보이는 저수지의 방위를 나경패철의 8층 천반봉침으로 측정하니 인(寅) 방위였다면 황천수로 사람이 상하고 재산이 망할 염려가 있다. |
【예2】 입수1절룡을 4층으로 측정하니 진룡(震龍)으로 갑묘을(甲卯乙) 3방위 중 하나였다. 득수처의 위치를 8층으로 측정하니 신(申) 방위라면 황천수로 매우 흉하다. |
【예3】 입수1절룡을 나경패철 4층으로 측정하니 이룡(離龍)으로 병오정(丙午丁) 3방위 중 하나였다. 8층 천반봉침으로 저수지의 위치를 측정하니 해(亥) 방위에 있다면 저수지 물은 황천수가 되어 매우 흉한 물이 된다. |
◎ 황천풍 (黃泉風) 혈 주위가 움푹 꺼지거나 골이 있으면 직사곡풍(直射谷風)이 불어 매우 흉하다. 더욱이 그 방위가 황천방에 있으면 필시 사람이 상하거나 재산이 망할 흉사를 당한다. 사격은 6층 인반중침으로 측정한다.
【예1】 입수1절룡을 4층 지반정침으로 측정하니 경유신(庚酉辛) 3방향 중 하나였고, 6층 인반 정침으로 움푹 파인 곳이나 혈을 향하여 있는 골짜기를 측정하니 사(巳) 방위에 있다면 움푹 파인 곳이나 골짜기에서 불어오는 바람은 황천풍이 되어 매우 흉하다. |
【예2】 입수1절룡을 4층 지반정침으로 측정하니 임자계(壬子癸) 감룡(坎龍)이다. 험한 골짜기의 방위를 6층 인반중침으로 측정하니 진(辰) 또는 술(戌) 방위였다면 황천풍을 받아 매우 흉한 일을 당한다. |
◎ 황천일(黃泉日) 이장을 비롯해서 장사 일을 하는데 날짜인 일진(日辰)의 오행이 묘의 좌(坐)의 오행을 극하면 황천일이 된다.
【예1】묘의 좌향을 4층 지반정침으로 측정하니 임좌병향(壬坐丙向), 자좌오향(子坐午向), 계좌정향(癸坐丁向) 중 하나라면, 진일(辰日 : 甲辰, 丙辰, 戊辰, 庚辰, 壬辰)이나 술일(戌日 : 戊戌, 庚戌, 壬戌, 甲戌, 丙戌)에 장사 지내면 황천일이 되어 흉하다. |
【예2】혈의 좌향이 4층 지반정침으로 측정하니 갑좌경향(甲坐庚向), 묘좌유향(卯坐酉向), 을좌신향(乙坐辛向) 중 하나라면, 신일(申日 : 丙申, 戊申, 庚申, 壬申, 甲申)에 장사지내면 황천일이 된다. | | (2) 제2층 팔로사로황천살 (八路四路黃泉殺)
나경패철의 1층은 입수룡에 대한 황천살의 방위 표시였다면, 2층은 향(向)에 대한 황천살의 방위를 표시한 것이다. 나경패철 2층은 모두 24칸으로 나누어져 있으나 황천살을 가르치는 글자가 쓰여있는 곳은 12곳이다. 4층 지반정침을 기준으로 지지자(地支字 : 子, 丑, 寅, 卯, 辰, 巳, 午, 未, 申, 酉, 戌, 亥) 위에는 공란으로 되어 있다. 8개의 천간자(天干字 : 甲, 乙, 丙, 丁, 庚, 辛, 壬, 癸) 위에는 한 개의 방위가 표시되어 있다. 4개의 사유(四維 : 乾, 艮, 巽, 坤) 위에는 2개의 방위가 표시되어 있다.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천간자 위에는 1개의 사유(四維) 방위가 표시되어 있다. 반면 사유자 위에는 2개의 천간자 방위가 표시되어 있다. 팔로사로(八路四路)라 함은 8천간(天干)과 4유(維)를 뜻한다. 향의 좌측이나 우측으로 지지자를 한 칸 건넌 방위를 나타내고 있다.
[팔로사로황천살 도표]
1층 |
辰 |
寅 |
申 |
酉 |
亥 |
卯 |
巳 |
午 |
2층 |
乾 |
|
艮 |
|
癸甲 |
|
艮 |
|
巽 |
|
丙乙 |
|
巽 |
|
坤 |
|
庚丁 |
|
坤 |
|
乾 |
|
壬辛 |
|
3층 |
|
水 |
|
金 |
|
火 |
|
木 |
|
水 |
|
金 |
|
火 |
|
木 |
|
水 |
|
金 |
|
火 |
|
木 |
4층 |
壬 |
子 |
癸 |
丑 |
艮 |
寅 |
甲 |
卯 |
乙 |
辰 |
巽 |
巳 |
丙 |
午 |
丁 |
未 |
坤 |
申 |
庚 |
酉 |
辛 |
戌 |
乾 |
亥 |
팔로사로 황천살은 향을 기준으로 한다. 즉 4층 지반정침으로 좌향(坐向)을 결정했으면 4층 향 위에 있는 2층의 표시된 방위가 팔로사로황천살이다. 예를 들어 4층 지반정침으로 측정한 임좌병향(壬坐丙向)의 혈이 있다고 할 때, 4층 병(丙) 위의 2층에는 손(巽)이 표시되어 있다. 이 말은 8층 천반봉침으로 측정한 결과 손(巽) 방향에 물이 들어오거나, 나가거나 또는 저수지나 연못이 있으면 팔로사로황천살을 받는다는 뜻이다. 그런데 24방위 중 12지지자(地支字)에는 2층이 빈칸으로 되어 있다. 때문에 팔로사로황천살이 없는 것 같아도 천간(天干)과 지지(地支)가 합쳐 쌍산배합(雙山配合)이 되므로, 지지자도 같은 방향의 팔로사로황천살을 받는다. 예를 들어 임(壬)과 자(子)는 쌍산배합이다. 2층에는 임(壬)자 위에만 팔로사로황천살 방위인 건(乾)이 표시되어 있다. 그렇다하더라도 자(子)도 건(乾)방향의 팔로사로황천살을 받는다. 한편 나경패철 2층 팔로사로황천살에 대한 해설과 운영에는 학설이 다양하다. 내수(來水)와 거수(去水) 모두가 팔로사로황천살이라고 주장하는가 하면, 내수만 팔로사로황천살이고 거수는 나쁜 것을 치고 나가므로 오히려 좋다는 주장도 있다. 옛글에『팔로사로황천(八路四路黃泉) 주패망고과기행래수(主敗亡孤寡忌向來水) 개문방수역기(開門放水亦忌)』 즉 팔로사로황천은 주로 패망과 고아와 과부를 나게 하므로 향으로 들어오는 물을 금한다. 수구로 나가는 물도 또한 금해야 한다고 하였다. 반면에 『팔간향기사유수래(八干向忌四維水來) 사유향기팔간수(四維向忌八干水) 거칙길(去則吉) 내칙흉(來則凶)』 즉 팔간 향에는 사유 방향에서 들어오는 물은 피한다. 사유 향에는 팔간 방향에서 들어오는 물을 피한다. 나가는 물은 길하고 들어오는 물은 흉하다고 하였다. 또 천기대요(天機大要) 황천살결(黃泉殺訣)에서는 『기거불기래(忌去不忌來) 팔살황천수운악살(八殺黃泉雖云惡殺) 약재생방예난동단(若在生方例難同斷)』 즉 물이 나가는 것은 꺼리고, 들어오는 것은 꺼리지 않는다. 팔살황천이 비록 악살이라고는 하나, 만약 생방에 있으면 같은 것으로 보기 힘들다. 한편 당나라 때 음양학의 대가인 구빈(救貧) 양균송(楊筠松)선생은 『의수입향무차살(依水立向無此煞)』이라 하였다. 이는 의수입향법(依水立向法)인 팔십팔향법(八十八向法)에 맞추어 향을 정하면 모든 살이 없어지고, 오히려 살(煞)이 관(官)으로 변하여 길하다고 하였다. 이를 팔십팔향법과 비교해보면 다음과 같다.
●4층 임병갑경(壬丙甲庚) 향(向)의 2층에 표시된 방위는 향상(向上)으로 임관궁(臨官宮)과 녹궁(祿宮)에 해당된다. 따라서 2층에 지시된 방향으로 물이 파구(破口) 되면 관궁과 녹궁을 동시에 치고 나가므로 살인대황천(殺人大黃泉)에 해당된다. 나가는 물은 반드시 피해야 한다.
●4층 을신정계(乙辛丁癸) 향의 2층에 표시된 방위는 사국(四局)에 있어서 각국(各局)의 절궁(絶宮)에 해당된다. 따라서 좌수도우(左水倒右)하는 물이 2층에 표시된 방위로 나가면 부귀왕정(富貴旺丁)하는 정묘향(正墓向)이 된다. 나가는 물이 오히려 귀하다.
●4층 건곤간손(乾坤艮巽) 향의 2층에 표시된 2개의 방위는 각각 사국의 고장궁(庫藏宮)과 향상(向上) 목욕궁(沐浴宮)에 해당된다. 따라서 우수도좌하는 물이 2층에 표시된 을신정계(乙辛丁癸) 방위로 나가면 부귀왕정(富貴旺丁)하는 자생향(自生向)이 된다. 반면에 좌수도우하는 물이 임병갑경(壬丙甲庚)로 방위로 나가면 역시 길향인 문고소수향(文庫消水向)이 된다. 역시 나가는 물이 귀하다.
이와 같은 이설(異說) 때문에 팔로사로황천살은 풍수지리 연구가 사이에서 논쟁이 많이 있어왔다. 앞으로도 더 연구해야 할 과제라 하겠다.
풍수란 항상 바람[風]과 물[水]을 동시에 살펴보아야 한다. 팔로사로황천도 단순히 물뿐만 아니라 혈판의 파손된 부위나 사격(砂格)의 요결(凹缺)처나 허(虛)함도 함께 살펴보아야 한다. 사격의 방위 측정은 6층 인반중침으로 한다. 물의 방위 측정은 8층 천반봉침으로 한다.
【예1】어느 묘의 좌향을 4층 지반정침으로 측정하니 경좌갑향(庚坐甲向)이었다. 이때 물이 들어오는 득수처 혹은 물이 나가는 파구처를 8층 천반봉침으로 측정하니 간(艮) 방위였다면 황천수의 침범을 받아 매우 흉한 일을 당한다. 또 6층 인반중침으로 사격을 측정하니 간(艮) 방위가 허하고 골이 나있다면 묘는 황천풍을 받아 해롭다.
【예2】어느 혈지의 좌향을 4층 지반정침으로 측정하니 곤좌간향(坤坐艮向)이었다. 또 물의 득수처와 파구처를 8층으로 측정하니 계(癸) 방위나 갑(甲) 방위에 있다면 황천수가 된다. 또 6층으로 측정한 산의 요결처가 같은 방위라면 역시 황천풍으로 흉하다. |
(3) 제3층 오행 (五行)
3층은 모두 24칸으로 나누어졌으나 목(木), 화(火), 금(金), 수(水) 오행은 4층의 12지지자(地支字) 위에만 표시되었다. 오행이라 함은 우주만상의 기본적 작용 이법이다. 목화토금수(木火土金水) 5가지이나 토는 중앙을 나타내므로 빠져있다. 나경패철의 3층은 삼합오행(三合五行)으로 배치되어 있다. 삼합이란 목국(木局), 화국(火局), 금국(金局), 수국(水局)의 생궁(生宮), 왕궁(旺宮), 묘궁(墓宮)을 말한다. 천지만물(天地萬物)은 생노병사(生老病死)의 순환과정을 거치는데 이를 12단계로 나눈 것이 12포태법(十二胞胎法)이다. 이를 인생에 비유하여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포(胞 : 남녀 결합), 태(胎 : 임신), 양(養 : 태아가 자람), 장생(長生 : 태어남), 목욕(沐浴 : 목욕을 시킨다), 관대(冠帶 : 옷을 입힌다), 임관(臨官 : 한창 성장해 나간다), 제왕(帝旺 : 삶의 절정기), 쇠(衰 : 쇠퇴기에 접어들었지만 모든 것이 안정된 시기), 병(病: 늙어 병들었다), 사(死: 죽음), 묘(墓: 땅에 묻힘)
이를 약칭하여 포(胞), 태(胎), 양(養), 생(生), 욕(浴), 대(帶), 관(官), 왕(旺), 쇠(衰), 병(病), 사(死), 묘(墓)로 부른다. 12포태법은 사주 명리학을 비롯한 동양철학에서 길흉화복을 논하는데 매우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풍수지리에서도 많이 응용하여 사용하는데 12포태법을 목화금수(木火金水) 4국(四局)으로 나누어 적용하면 다음과 같다.
[사국과 12포태]
12포태 |
포(胞) |
태(胎) |
양(養) |
생(生) |
욕(浴) |
대(帶) |
관(官) |
왕(旺) |
쇠(衰) |
병(病) |
사(死) |
묘(墓) |
목국(木局) |
신(申) |
유(酉) |
술(戌) |
해(亥) |
자(子) |
축(丑) |
인(寅) |
묘(卯) |
진(辰) |
사(巳) |
오(午) |
미(未) |
화국(火局) |
해(亥) |
자(子) |
축(丑) |
인(寅) |
묘(卯) |
진(辰) |
사(巳) |
오(午) |
미(未) |
신(申) |
유(酉) |
술(戌) |
금국(金局) |
인(寅) |
묘(卯) |
진(辰) |
사(巳) |
오(午) |
미(未) |
신(申) |
유(酉) |
술(戌) |
해(亥) |
자(子) |
축(丑) |
수국(水局) |
사(巳) |
오(午) |
미(未) |
신(申) |
유(酉) |
술(戌) |
해(亥) |
자(子) |
축(丑) |
인(寅) |
묘(卯) |
진(辰) |
이중에서 각국의 생, 왕, 묘의 합을 삼합이라고 한다. 목국의 삼합은 해묘미(亥卯未)이고, 화국은 인오술(寅午戌), 금국은 사유축(巳酉丑), 수국은 신자진(申子辰)이다. 나경패철 3층 오행은 이를 기록해 놓은 것이다. 그런데 4층의 24방위중 지지(地支)에만 오행이 기록되어있다. 그렇다하더라도 8천간(天干) 4유(維)도 쌍산배합으로 같은 오행이 된다. 예를 들어 4층 임(壬)과 자(子)에는 자(子)에만 오행인 수(水)가 기재되어 있지만, 쌍산인 임(壬)도 오행은 수(水)가 된다. 계(癸)와 축(丑)에도 지지 축(丑)에만 오행인 금(金)이 표시되어 있다하더라도 쌍산인 계(癸)의 오행은 금(金)이 된다. 이를 쌍산오행(雙山五行) 또는 삼합오행(三合五行)이라고 한다. 이를 정리하면 목(木)은 건해(乾亥), 갑묘(甲卯), 정미(丁未)이고, 화(火)는 간인(艮寅), 병오(丙午), 신술(辛戌)이며, 금(金)은 손사(巽巳), 경유(庚酉), 계축(癸丑)이고, 수(水)는 곤신(坤申), 임자(壬子), 을진(乙辰)이 된다.
[오행도]
3층 |
|
水 |
|
金 |
|
火 |
|
木 |
|
水 |
|
金 |
|
火 |
|
木 |
|
水 |
|
金 |
|
火 |
|
木 |
|
木 |
4층 |
壬 |
子 |
癸 |
丑 |
艮 |
寅 |
甲 |
卯 |
乙 |
辰 |
巽 |
巳 |
丙 |
午 |
丁 |
未 |
坤 |
申 |
庚 |
酉 |
辛 |
戌 |
乾 |
亥 |
오행의 응용은 좌를 기준으로 하여 혈의 발복방법, 발복대상, 발복연대 등을 추정하는데 사용한다. 예를 들어보자.
【예1】해묘미(亥卯未) 좌의 기본오행의 특성은 목(木)이다. 목 오행에 관련된 직업이나 사업으로 흥하거나 망할 수 있다. 3년이나 8년 혹은 3대나 8대 후에 발복한다. 특히 해묘미(亥卯未)생 자손에게 해묘미(亥卯未) 년에 발복이 나타난다.
【예2】인오술(寅午戌) 좌의 용과 혈의 기본 성질은 화(火)다. 화 오행에 관련된 직업이나 사업으로 흥하고 망할 수 있다. 2년이나 7년 혹은 2대나 7대 후에 발복한다. 특히 인오술(寅午戌)생 자손에게 인오술(寅午戌)년에 발복이 나타난다.
【예3】사유축(巳酉丑) 좌의 용혈의 기본 정신은 금(金)이다. 금 오행에 관련된 직업이나 사업으로 흥하거나 망할 수 있다. 4년이나 9년 혹은 4대나 9대 후에 발복한다. 특히 사유축(巳酉丑)생 자손에게 사유축(巳酉丑)년에 발복이 나타난다.
【예4】신자진(申子辰) 좌의 용과 혈의 기본 정신은 수(水)다. 수 오행에 관련된 직업이나 사업으로 흥하거나 망할 수 있다. 1년이나 6년 혹은 1대나 6대 후에 발복한다. 특히 신자진(申子辰)생 자손에게 신자진(申子辰)년에 발복이 나타난다. |
(4) 제4층 지반정침 (地盤正針)
4층 지반정침은 천지의 방위를 나타내는 기본 층이다. 글자가 제일 크고 굵으며 24방위가 표시되어 있다. 4층 지반정침은 첫째 24방위의 정확한 위치를 측정하는데 사용한다. 둘째 입수룡을 비롯하여 용의 방위를 측정하는데 사용한다. 셋째 혈의 좌향(坐向)을 측정한다. 넷째 양택 가상(家相)의 방위 측정을 하는데 사용한다. 나경패철의 모든 층은 4층 지반정침을 기준으로 하여 용도에 따라 분획(分劃)한 것들이다. 지반정침의 24방위는 12지지(十二地支 : 子, 丑, 寅, 卯, 辰, 巳, 午, 未, 申, 酉, 戌, 亥)와 10천간중 중앙 토인 무(戊)와 기(己)를 제외한 8천간(甲, 乙, 丙, 丁, 庚, 辛, 壬, 癸)과 4유(四維 : 乾, 坤, 艮, 巽)을 합하여 이루어졌다. 12지지는 음이고 8천간과 4유는 양이다. 지지자를 기준으로 하여 양을 음 앞에 하나씩 배정하여 음양이 서로 배합하도록 하였다. 임자(壬子), 계축(癸丑), 간인(艮寅), 갑묘(甲卯), 을진(乙辰), 손사(巽巳), 병오(丙午), 정미(丁未), 곤신(坤申), 경유(庚酉), 신술(辛戌), 건해(乾亥)다. 이와 같은 배합을 쌍산(雙山) 이라고 한다. 오행은 지지(地支)의 오행을 따른다. 음양이라도 서로 다른 궁위 끼리의 배합은 불배합 쌍산이라 하여 사용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계자(癸子), 간축(艮丑), 갑인(甲寅) ......등은 불배합 쌍산으로 사용치 않는다. 이것은 마치 같은 부부끼리는 음양배합이 가능하지만 다른 남녀간에는 배합할 수 없는 인간의 이치와 같다. 24방위는 모두 360도로 원을 이루고 있다. 1방위는 15도를 이룬다. 방위는 자(子)는 정북에, 오(午)는 정남에, 묘(卯)는 정동에, 유(酉)는 정서에 배치하여 동서남북 4정방위로 기둥을 세웠다. 간(艮)은 동북에, 손(巽)은 동남에, 곤(坤)은 남서에, 건(乾)은 서북에 배치하여 4간방(間方)이 된다. 4정방위와 4간방을 합하면 팔괘방위(八卦方位)를 이룬다. 팔괘는 감(坎=子), 간(艮), 진(震=卯), 손(巽), 이(離=午), 곤(坤), 태(兌=酉), 건(乾)이다. 팔괘가 자, 묘, 오, 유(子, 卯, 午, 酉)지지자이면 좌우에 천간자를 배치하였고, 간, 손, 곤, 건(艮, 巽, 坤, 乾) 사유(四維)자이면 지지자를 좌우에 배치하였다. 팔괘 하나에 3방위씩 배열해서 음양의 조화를 이루었다. 좌향을 측정할 때 좌와 향은 항상 대칭 관계가 된다. 예를 들어 갑좌경향(甲坐庚向)이면 나경 패철의 갑(甲)과 경(庚)은 대칭으로 이루어졌다. 이것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壬-丙, 子-午, 癸-丁, 丑-未, 艮-坤, 寅-申, 甲-庚, 卯-酉, 乙-辛, 辰-戌, 巽-乾, 巳-亥)
[지반정침과 오행]
팔괘 |
감(坎) |
간(艮) |
진(震) |
손(巽) |
이(離) |
곤(坤) |
태(兌) |
건(乾) |
4층 |
壬 |
子 |
癸 |
丑 |
艮 |
寅 |
甲 |
卯 |
乙 |
辰 |
巽 |
巳 |
丙 |
午 |
丁 |
未 |
坤 |
申 |
庚 |
酉 |
辛 |
戌 |
乾 |
亥 |
쌍산오행 |
水 |
金 |
火 |
木 |
水 |
金 |
火 |
木 |
水 |
金 |
火 |
木 |
12지지가 1년 12개월과 관계가 있다면 24방위는 절기(節氣)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지구가 태양 주위를 한바퀴 도는 공전주기는 1년 365일이며 24절기로 나누어지며, 1절기는 15.218425일씩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나경패철의 원둘레는 360도이고 한 방위는 15도로 약간의 오차는 있지만 서로 같다고 본다. 즉 나경패철의 0도는 정북(正北) 자(子)다. 절기의 동지(冬至)와 같고 양(陽)의 시발점이다. 그 다음은 시계방향으로 15도 간격으로 계(癸)가 되는데 절기로는 소한(小寒)에 해당된다. 또 축(丑)은 대한(大寒), 간(艮)은 입춘(立春), 인(寅)은 우수(雨水), 갑(甲)은 경칩(驚蟄), 묘(卯)는 정동(正東)으로 90도인 춘분(春分)이 된다. 을(乙)은 청명(淸明), 진(辰)은 곡우(穀雨), 손(巽)은 입하(立夏), 사(巳)는 소만(小滿), 병(丙)은 망종(芒種), 오(午)는 정남(正南)이며 180도인 하지(夏至)가 되고 음(陰)이 시작되는 점이다. 정(丁)은 소서(小暑), 미(未)는 대서(大暑), 곤(坤)은 입추(立秋), 신(申)은 처서(處暑), 경(庚)은 백로(白露), 유(酉)는 정서(正西)이며 270도인 추분(秋分)이다. 신(辛)은 한로(寒露), 술(戌)은 상강(霜降), 건(乾)은 입동(立冬), 해(亥)는 소설(小雪), 임(壬)은 대설(大雪), 그리고 다시 원점으로 돌아와 정북(正北)인 자(子)로 동지(冬至)가 된다. 24좌향은 태양의 움직임과 계절의 변화에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기후, 풍토적 해석이 가능하고 인간의 길흉화복(吉凶禍福)을 가늠할 수 있는 것이다.
◎ 24절기
[봄]
1) 입춘(立春) 양력 2월4일, 5일 경 [음력 정월(1월) 절기, 간(艮)] 음력 정월(正月)이 시작된다. 동풍(東風)이 불어 언 땅이 녹고, 동면(冬眠)했던 벌레들이 움직이기 시작한다. 물고기들은 얼음 밑을 돌아다닌다.
2) 우수(雨水) 양력 2월19일, 20 경 [음력 정월 중기, 인(寅)] 봄을 알리는 단비가 내려 대지를 적신다. 겨우내 얼었던 대지가 녹아 물이 많아진다는 의미로 우수(雨水)라 하였다. 대동강 물이 풀린다는 옛말이 있다.
3) 경칩(驚蟄) 양력 3월5일, 6일 경 [음력 2월 절기, 갑(甲)] 날씨가 따뜻해져 초목(草木)의 싹이 돋고, 동면(冬眠)했던 동물이 깨어 꿈틀대기 시작한다. 개구리가 잠에서 깨어 나온다는 말이 있다.
4) 춘분(春分) 양력 3월21일, 22일 경 [음력 2월 중기, 묘(卯)] 밤과 낮의 길이가 같고 제비가 날아오고, 우레 소리가 들린다. 그 해 처음 번개가 친다고 한다.
5) 청명(淸明) 양력4월5일, 6일 경 [음력 3월 절기, 을(乙)] 날씨가 ‘청명하다’라는 말이 있듯이 맑고 깨끗한 기후의 절기다. 한식(寒食)날이 이 날을 전후하여 있다. 이날 묘지 수리를 하면 좋다고 한다.
6) 곡우(穀雨) 양력 4월20일, 21일 경 [음력 3월 중기, 진(辰)] 봄비가 내려 백곡(百穀)이 윤택해지는 절기다. 농가에서는 못자리를 마련하고 한 해 농사가 시작된다.
[여름]
7) 입하(立夏) 양력 5월6일, 7일 경 [음력 4월 절기, 손(巽)] 여름에 들어섰다고 하여 입하라 한다. 청개구리가 울고, 지렁이가 땅에서 나온다. 참외가 나오는 절기다.
8) 소만(小滿) 양력 5월21일, 22일 경 [음력 4월 중기, 사(巳)] 만물이 생장하여 가득 찬다는 의미다. 날씨가 여름 날씨로 접어들며, 보리수확을 하고 모내기가 시작되는 절기다.
9) 망종(芒種) 양력 6월6일, 7일 경 [음력 5월 절기, 병(丙)] 종자를 뿌려야 할 적당한 시기라는 의미다. 보리 베기와 모내기가 완성되는 시기다. 까마귀와 왜가리가 나타난다.
10) 하지(夏至) 양력 6월21일, 22일 경 [음력 5월 중기, 오(午)] 낮의 길이가 1년 중 가장 긴 날이다. 지구 표면이 태양열을 가장 많이 받아 날씨가 더욱 더워진다.
11) 소서(小暑) 양력 7월7일, 8일 경 [음력 6월 절기, 정(丁)] 더위가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장마 전선의 정체로 습도가 높아 불쾌지수가 높다. 장마철이 시작된다.
12) 대서(大暑) 양력 7월23일, 24일 경 [음력 6월 중기, 미(未)] 폭염의 더위가 심한 중복(中伏)의 절기다. 장마로 인한 많은 비가 내린다.
[가을]
13) 입추(立秋) 양력 8월8일, 9일 경 [음력 7월 절기, 곤(坤)] 날씨가 가을의 문턱에 와 서늘한 바람이 불어온다. 이슬이 진하게 내리고, 귀뚜라미가 운다.
14) 처서(處暑) 양력 8월23일, 24일 경 [음력 7월 중기, 신(申)] 더위가 물러간다는 의미다. 천지가 쓸쓸해지며 논의 벼가 익는다. 매가 새를 잡아 늘어놓는다는 말이 있다.
15) 백로(白露) 양력 9월8일, 9일 경 [음력 8월 절기, 경(庚)] 밤에 기온이 내려가 대기 중의 수증기가 엉겨 이슬이 되어 풀잎에 맺히는 시기다. 기러기가 날아오고, 제비가 돌아간다. 새들은 먹이를 저장한다.
16) 추분(秋分) 양력 9월23일, 24일 경 [음력 8월 중기, 유(酉)] 밤낮의 길이가 같다. 추수기가 시작되고, 백곡이 풍성한 때다. 우레 소리가 그치고, 동면할 벌레가 구멍을 막는다. 땅위의 물이 마르기 시작한다.
17) 한로(寒露) 양력 10월8일, 9일 경 [음력 9월 절기, 신(辛)] 찬이슬이 내린다는 의미다. 초목들은 단풍이 짙어지고, 여름새와 겨울새가 교체되는 절기다. 오곡백과(五穀百果)를 수확하고, 국화꽃이 핀다.
18) 상강(霜降) 양력 10월23일, 24일 경 [음력 9월 중기, 술(戌)] 찬 서리가 내린다는 의미다. 쾌청한 가을 날씨가 계속되며, 밤에는 기온이 낮다. 초목이 누렇게 변색하여 낙엽이 진다. 동면하는 벌레가 모두 땅 속으로 숨는다.
[겨울]
19) 입동(立冬) 양력 11월 7일, 8일 경 [음력 10월 절기, 건(乾)] 겨울로 접어드는 절기다. 물과 땅이 처음 언다. 꿩은 드물고 조개가 잡힌다고 한다.
20) 소설(小雪) 양력 11월22일, 23일 경 [음력 10월 중기, 해(亥)] 첫 눈이 내린다는 의미다. 첫 겨울의 증후가 보인다.
21) 대설(大雪) 양력 12월7일, 8일 경 [음력 11월 절기, 임(壬)] 눈이 많이 내린다는 의미다. 실제 추위는 동지를 넘어서 온다.
22) 동지(冬至) 양력 12월22일, 23일 경 [음력 11월 중기, 자(子)] 밤의 길이가 가장 길다. 역귀를 쫓는다는 의미로 새알심이라는 단자를 넣은 팥죽을 쑤어 먹는다. 또 팥죽 물을 벽이나 문에 뿌렸다.
23) 소한(小寒) 양력 1월6일, 7일 경 [음력 12월 절기, 계(癸)] 춥다는 의미다. 대한이 더 춥다는 의미이지만 실제로는 소한 때가 더 추워 “대한이 소한 집에 놀러갔다가 얼어죽었다.”는 말이 있다.
24) 대한(大寒) 양력 1월20일, 21일 경 [음력 12월 중기, 축(丑)] 겨울 추위가 매듭을 짓는다는 의미다. 1년의 마지막 절기다. 대한의 마지막 날이자 입춘 전날은 콩을 방이나 마루에 뿌려 마귀를 쫓았다. 새해를 맞이하는 풍속이 있다.
|
(5) 천산72룡 (穿山七十二龍)
나경패철의 5층은 천산72룡이다. 4층 지반정침의 24방위를 각각 3칸으로 나누어 모두 72칸으로 되어 있다. 1칸은 5도씩이다. 4층 지반정침 지지자 밑에는 3룡씩 60갑자(甲子)가 등재되어 있다. 8천간과 4유자 아래 중앙은 공칸으로 되어 있고, 좌우 양쪽에 2룡씩 갑자가 등재되어 있다. 모두 60갑자와 12개의 공란을 합쳐 72룡이라 한다. 천산(穿山)이란 주산으로부터 혈 뒤 입수도두(入首倒頭)까지 내려오는 용맥을 더욱 세분하여 용의 생기가 어느 맥을 뚫고 오는가를 가늠하는 것이다. 세분한 용맥이 모두 72개이므로 천산72룡(穿山七十二龍)이라고 한 것이다. 천산72룡은 용의 중심맥을 말한다. 예를 들어 용을 4층 지반정침으로 측정하니 자(子)룡 이었다면, 자룡(子龍) 중에서도 중심으로 오는 맥은 병자(丙子), 무자(戊子), 경자(庚子)로 더욱 세분된다. 이중 중심맥은 어디에 해당되며, 이것들의 길흉화복은 어떠한지를 살피는 것이 천산72룡을 측정하는 목적이다.
[천산72룡 도표]
4층 |
壬 |
子 |
癸 |
丑 |
艮 |
寅 |
甲 |
卯 |
乙 |
辰 |
巽 |
巳 |
5층 |
癸亥 |
|
甲子 |
丙子 |
戊子 |
庚子 |
壬子 |
|
乙丑 |
丁丑 |
己丑 |
辛丑 |
癸丑 |
|
丙寅 |
戊寅 |
庚寅 |
壬寅 |
甲寅 |
|
丁卯 |
己卯 |
辛卯 |
癸卯 |
乙卯 |
|
戊辰 |
庚辰 |
壬辰 |
甲辰 |
丙辰 |
|
己巳 |
辛巳 |
癸巳 |
己巳 |
4층 |
丙 |
午 |
丁 |
未 |
坤 |
申 |
庚 |
酉 |
辛 |
戌 |
乾 |
亥 |
5층 |
丁巳 |
|
庚午 |
壬午 |
甲午 |
丙午 |
戊午 |
|
辛未 |
癸未 |
乙未 |
丁未 |
己未 |
|
壬申 |
甲申 |
丙申 |
戊申 |
庚申 |
|
癸酉 |
乙酉 |
丁酉 |
己酉 |
辛酉 |
|
甲戌 |
丙戌 |
戊戌 |
庚戌 |
壬戌 |
|
乙亥 |
丁亥 |
己亥 |
辛亥 |
천산72룡의 측정은 용의 특성이 가장 잘 나타나는 과협처(過峽處)나 결인속기처(結咽束氣處)에서 한다. 이곳의 제일 높은 지점에 나경패철을 정반정침하고 4층 지반정침으로 용맥을 살핀다. 그 다음 중심으로 오는 맥을 5층 천산72룡으로 정확하게 측정한다. 중심맥이 60갑자중 병자순(丙子旬)이나 경자순(庚子旬)으로 들어오면 왕상맥(旺相脈)으로 매우 길한 용맥이 된다. 갑자순(甲子旬)과 임자순(壬子旬)은 고허맥(孤虛脈)으로 소길다흉(小吉多凶)한 용맥이다. 무자순(戊子旬)은 패기맥(敗氣脈)으로 매우 흉(凶)하다. 공칸은 공망맥(空亡脈)으로 더욱 흉하다.
[천산72룡(穿山七十二龍)을 나경패철에서 쉽게 찾아보는 법]
◎ 4층 지반정침에서 지지자(子, 丑, 寅, 卯, 辰, 巳, 午, 未, 申, 酉, 戌, 亥)의 가운데 용맥은 무자순(戊子旬) 패기맥(敗氣脈)으로 취용 할 수 없다. 그 양쪽 용맥은 병자순(丙子旬), 경자순(庚子旬)으로 왕상맥(旺相脈)이므로 취용한다.
◎ 4유(乾, 坤, 艮, 巽)와 8천간(甲, 乙, 丙, 丁, 庚, 辛, 壬, 癸)자의 가운데 용맥은 공란인 대공망(大空亡)으로 사용할 수 없다. 그 양쪽은 갑자순(甲子旬), 임자순(壬子旬)으로 고허맥(孤虛脈)이므로 소길다흉(小吉多凶)의 용맥이다.
◎ 병자순(丙子旬), 경자순(庚子旬)의 모든 용맥은 왕상맥(旺相脈)으로 길격(吉格)이다.
◎ 갑자순(甲子旬), 임자순(壬子旬)은 고허맥(孤虛脈)이 되어 소길다흉(小吉多凶)하므로 사용할 수 있는 용맥도 있지만 대체로 흉이 많다. (*참조)
◎ 무자순(戊子旬), 대공망(大空亡)은 패기공망맥(敗氣空亡脈)으로 모든 용맥이 대흉(大凶)하므로 사용할 수 없다.
천산72룡은 너무 세분화되어 있다. 행룡하는 용맥이 한 지점에서는 왕상맥이라도 다른 지점에서는 패기맥이 될 수도 있다. 반대로 과협처에서는 무기맥이라도 결인속기처에서는 왕상맥이 될 수도 있다. 때문에 이를 실용(實用)하기에는 문제점이 많이 있다. 따라서 설사 72룡이 나쁘다 할지라도 주룡의 형기(形氣)가 좋으면 이에 구애받지 않는다. 이기(理氣)에 따른 약간의 흉함은 있을지라도 혈의 결지에는 큰 지장이 없다는 것이 여러 풍수학자들의 주장이다. 따라서 이기에 너무 치우쳐 용진혈적한 진혈지를 버리는 우를 범해서는 안되겠다. 참고로 빈칸으로 내려온 천산72룡을 쓸 수 있다고 쓰여진 책도 있는데 옛 산서(山書)에 “십이공간위위대공망위흉(十二空間謂爲大空亡爲凶)”이라고 하였다. 이를 해석하면 “12개의 빈칸을 설명하자면 대공망이 되어 흉하다”라고 하였다. 착오 없기를 바란다. |
(6) 제6층 인반중침 (人盤中針)
6층 인반중침은 혈 주변의 사격(砂格)의 방위를 측정하는데 사용한다. 모두 24방위가 배열되어 있는데, 4층 지반정침에 비해 반위(7.5도) 뒤쪽에 놓여있다. 시계 바늘 방향을 순행으로 볼 때 반대 방향으로 7.5도 뒤에 있다. 그 이유는 물은 양이기 때문에 반위 앞서고, 산은 음이기 때문에 7.5도 역행된 것이다. 24방위의 한 궁위는 15도다. 묘나 혈지의 중앙에 나경패철을 정반정침하고 6층으로 사격의 방위를 측정한다. 주변 사격들이 혈을 도와줄 수 있는 방위에 있는지 없는지를 각종 이법으로 살펴보는데 사용한다. 하늘에는 수 천억 개의 별들이 있다. 그 중에서 인간이 살고 있는 지상(地上)에 조응(照應)하는 별은 해(日)와 달(月)을 비롯하여 금성(金星), 수성(水星), 목성(木星), 토성(土星), 화성(火星) 등과 자미원(紫微垣, 亥方), 천시원(天市垣, 艮方), 태미원(太微垣, 巽方), 소미원(小微垣, 兌方)과 28성수(星宿)가 있다. 사격은 주로 28성수(星宿)로 본다.
목요성 금요성 토요성 일요성 월요성 화요성 수요성 - 칠정(七政) 각(角), 항(亢), 저(?), 방(房), 심(心), 미(尾), 기(箕) - 동방7수 두(斗), 우(牛), 여(女), 허(虛), 위(危), 실(室), 벽(壁) - 북방7수 규(奎), 루(婁), 위(胃), 앙(昻), 필(畢), 자(?), 삼(參) - 서방7수 정(井), 귀(鬼), 류(柳), 성(星), 장(張), 익(翼), 진(軫) - 남방7수
이러한 별들은 지상에 조림(照臨)하여 산의 형태를 만들고, 산은 혈에 비추어 인간의 길흉화복에 관계한다. 천상의 별과 지상의 산이 서로 조응하여 혈에 비추는 방위가 바로 6층 인반중침이다. 이를 서로 작용시키는 오행은 성수오행(星宿五行)이라는 특수오행이다.
사격의 측정 방법은 혈의 4층 지반정침으로 측정한 좌(坐)를 기준으로 하여 6층으로 사격을 측정한다. 성수오행으로 좌와 사격과 육친(六親)관계를 살핀다. 이때 좌(坐)도 반드시 성수오행에 대입시켜 오행의 상생상극(相生相剋)을 살펴 사격의 길흉화복을 판별한다.
◎ 상생(相生) : 목생화(木生火), 화생토(火生土), 토생금(土生金), 금생수(金生水), 수생목(水生木)
◎ 상극(相剋) : 목극토(木剋土), 토극수(土剋水), 수극화(水剋火), 화극금(火剋金), 금극목(金剋木)
◎ 육친(六親) 생아자(生我者)는 인수(印綬)로 사격(砂格)이 혈(穴)을 도와주기 때문에 길(吉)하다. 아생자(我生者)는 상관(傷官)되어 혈의 기운을 사격이 설기(泄氣)하여 흉하다. 아극자(我剋者)는 처재(妻財)되어 혈이 사격(砂格)을 지배하기 때문에 길(吉)하다. 극아자(剋我者)는 칠살(七殺)되어 사격이 혈을 극(剋)하기 때문에 흉하다. 비화자(比和者)는 형제(兄弟)되어 혈과 사격이 동등하여 서로 돕기 때문에 길하다.
예1】4층 지반정침으로 혈의 좌향을 측정하니 자좌오향(子坐午向)이었다. 6층 인반중침으로 측정하니 진(辰) 방향에 수려하고 단정한 사격이 있다. 이때 이 사격은 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답】좌의 자(子)는 성수오행으로 화(火)다. 사격의 진(辰)은 성수오행으로 금(金)이다. 좌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오행의 상생상극을 살피면 화극금(火剋金)한다. 즉 좌의 오행이 사의 오행을 극하므로 육친에서 아극자(我剋者)는 처재(妻財)로 길하다.
【예2】4층으로 측정한 혈의 좌향이 계좌정향(癸坐丁向)이고 6층으로 측정한 사격은 축(丑)방위에 깨지고 부서지고 흉하게 있다. 이때 사격은 혈에 직접적인 피해를 주는가? 【답】계좌(癸坐)는 성수오행으로 토(土)이며, 축(丑)은 금(金)이다. 토생금(土生金)하므로 상관(傷官)이고 사격이 혈의 기운을 빼앗아 가므로 설기되어 흉하다.
【예3】4층으로 측정한 혈의 좌향이 신좌을향(辛坐乙向)이고 6층으로 측정한 사격의 방위가 간(艮) 방위에 있다면 목극토(木剋土)하여 사격이 혈을 극하므로 극아자(剋我者)가 되어 칠살(七殺)로 흉하다.
|
(7) 제7층 투지60룡
7층은 4층 지반정침의 쌍산(雙山) 방위에 각각 5개룡씩 60갑자가 등재되어 있다. 1개의 투지룡은 6도다. 투지(透地)란 주산 현무봉에서 천산의 과정을 거치며 혈장의 입수도두까지 내려온 주룡의 용맥이 입수도두에서 혈까지 들어가는 것을 말한다. 주룡의 생기가 최종적으로 혈에 전달되는 과정으로 화갱살요공망맥(火坑煞曜空亡脈)은 피하고, 주보왕상맥(珠寶旺相脈)만을 혈의 광중(壙中)까지 정확하게 입맥(入脈)시켜 재혈(裁穴)을 올바르게 하는데 사용한다. 나경패철에 있는 4층 지반정침과 7층 투지60룡을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5룡 중에서 두 번째 왕기맥(旺氣脈)인 병자순(丙子旬)과, 네 번째 상기맥(相氣脈)인 경자순(庚子旬)만을 주보맥(珠寶脈)으로 사용할 수 있다. 나머지는 갑자순(甲子旬)은 냉기맥(冷氣脈), 무자순(戊子旬)은 패기맥(敗氣脈), 임자순(壬子旬)은 퇴기맥(退氣脈)으로 화갱살요공망맥(火坑煞曜空亡脈)이라 하여 흉하다. 천산72룡은 자연의 상태로 있는 용맥을 측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임의로 조정할 수 없다. 반면에 투지60룡은 지사(地師)가 주보왕상맥(珠寶旺相脈)만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때문에 재혈(栽穴)과 천광(穿壙)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투지60룡의 측정은 혈 뒤 입수도두의 중앙 분수척상(分水脊上)에 나경패철을 정반정침하고 혈을 보고 천광할 자리의 중심을 투지60룡의 주보맥인 병자순(丙子旬)과 경자순(庚子旬)에 맞추어 결정한다. 이 용맥을 정확하게 맞추는데는 다소의 경험이 필요하다. 초보자의 경우 실이나 줄을 이용하여 입수도두처 중앙에 막대기를 꽂아 실을 매어 달고 혈에 와서 7층 주보맥과 일치하도록 하여 천광할 자리의 중심을 결정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
(8) 제8층 천반봉침
8층에는 모두 24방위가 표시되어 있고, 4층 지반정침에 비해 반위[7.5도] 순행방향으로 앞서 있다. 이는 물은 움직이는 것으로 양(陽)이기 때문이다. 8층 천반봉침은 득수처(得水處), 수구처(水口處), 지호수(池湖水) 등 정확한 위치를 측정하는데 사용한다. 풍수지리에서 물은 용혈(龍穴)과 더불어 매우 중요하다. 음인 용과 양인 물이 서로 음양 교배를 해야 만이 혈을 결지 할 수 있다. 득수처의 측정은 혈 앞 명당으로 들어오는 물이 처음 보이는 곳인 시견처(視見處)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혈 앞을 지나는 물이 우측에서 나와 좌측으로 흐르는지, 좌측에서 나와 우측으로 흐르는지를 살핀다. 그 다음 혈에서 앞을 보고 몸은 돌리지 말고 고개만 좌나 우로 돌려 처음 보이는 곳이 득수처다. 대개 향에서 120도 정도이므로 8궁위 떨어진 곳이 해당된다. 예를 들어 자좌오향(子坐午向)이 있고, 혈 앞을 흐르는 물이 좌측에서 나와 우측으로 빠져나간다면, 혈에서 오(午) 방향을 보고서서 좌측으로 고개를 돌려보면 8궁위 떨어진 인(寅) 방위가 해당 될 것이다. 이곳이 득수처다. 파구처(혹은 수구라고도 함)의 측정은 혈을 둘러싼 청룡 백호의 끝이 서로 만나거나 교차하는 지점이다. 청룡 백호가 감싸안은 공간(이를 보국이라고 함) 안에 있는 물이 최종적으로 빠져나가는 곳을 말한다. 그러나 실제 파구(破口)의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이때는 청룡 백호가 감싸 안은 보국(保局) 안에 물을 가득 부었다고 상상한다. 그리고 물이 밖으로 빠져나간다면 혈에서 보았을 때 어느 곳이 가장 마지막으로 보이게 되는지를 가늠한다. 그 위치를 파구처로 삼아 방위를 측정한다. 파구의 위치는 매우 중요하다. 목국(木局), 화국(火局), 금국(金局), 수국(水局)의 사국(四局)을 정하는 기준이 된다. 팔십팔향법(八十八向法)에서 좌향을 결정할 때 제일 먼저 살펴야 하는 것이 바로 파구의 방위다. 파구의 방위를 잘못 측정하면 모든 이법(理法)이 틀리게 되므로, 길흉화복 역시 큰 차이가 나게 된다. 목국(木局)은 물이 정미(丁未), 곤신(坤申), 경유(庚酉) 방위로 나간다. 화국(火局)은 신술(辛戌), 건해(乾亥), 임자(壬子) 방위로 나간다. 금국(金局)은 계축(癸丑), 간인(艮寅), 갑묘(甲卯) 방위로 나간다. 수국(水局)은 을진(乙辰), 손사(巽巳), 병오(丙午) 방위로 나간다. 이처럼 물이 빠져나가는 것을 기준으로 정한 것이 사국이다. 저수지나 연못, 호수 등은 혈에서 보이는 부분 중에서 중앙을 측정한다. 의수입향(依水入向) 즉 물을 보고 향을 결정하는 88향법을 쓸 때는 4층 지반정침 대신 8층 천반봉침(흔히 외반봉침 이라고 함)으로 좌향을 본다. 이는 물을 보고 향을 정하기 때문이다. 만약 4층으로 향을 결정한다면 8층과는 7.5도 차이가 생겨 정확한 물의 기운을 얻을 수 없다. |
(9) 9층 분금
분금법(分金法)은 장사(葬事)에서 최종적 마무리 작업이다. 내광(內壙)에 하관(下棺)할 때 고허살요공망맥(孤虛煞曜空亡脈)은 피하고 왕상분금(旺相分金)만을 취하여 영혼의 명복과 그 자손의 부귀왕정(富貴旺丁)을 도모하는 층이다. 나경패철의 9층에는 4층 지반정침의 24좌산(坐山) 위에 각각 5분금씩 모두 120분금이 등재되어 있다. 이 5분금중 3분금은 공란이고 2분금만 60갑자가 쓰여 있다. 또 등재되어 있는 글자[60갑자]는 천간자(天干字)가 모두 병(丙), 정(丁), 경(庚) ,신(辛)으로만 되어 있다. 이는 왕상분금인 병, 정, 경, 신 (丙, 丁, 庚, 辛) 천간자로 시작되는 분금만을 표시한 것이다. 고허살요공망 분금인 갑, 을, 무, 기, 임, 계(甲, 乙, 戊, 己, 壬, 癸)의 천간자로 시작되는 분금은 아예 기록하지 않고 공란으로 하였다. 120분금중 갑을맥(甲乙脈)은 고(孤)하고, 병정맥(丙丁脈)은 왕(旺)하며, 무기맥(戊己脈)은 살요(煞曜)이고, 경신맥(庚辛脈)은 상(相)이며, 임자맥(壬癸脈)은 허(虛)하다. 따라서 좌를 정하고 그 좌에서 9층에 있는 2개의 분금 만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두개의 분금 중 납음오행(納音五行)을 보아, 망명(亡命)의 생년(生年) 납음오행을 생하여 주거나, 비화(比和)하거나, 망명의 납음오행이 분금의 납음오행을 극(剋)하면 길하다. 두개의 분금 중 이에 해당되는 하나를 골라 사용한다. 만약 2개의 분금중 어느 것도 망명의 납음오행을 생하거나 ,비화하거나 극을 당하지 않아서 사용할 수가 없다면, 망명의 납음오행 대신 사손(嗣孫)인 장손(長孫) 또는 다른 자손의 생년 납음오행을 맞춘다. 생아자(生我者) 즉 분금의 납음오행이 망명의 납음오행을 생하여 주면, 인수생조(印綬生助)로 길하다. 비화자(比和者) 즉 분금의 납음오행이 망명의 오행과 같으면, 비화형제(比和兄弟)로 길하다. 아극자(我剋者) 즉 망명이 산명(山命) 즉 분금의 납음오행을 극하면, 처재(妻財)로 길하다. 아극자(剋我者) 즉 산명(山命)이 망명(亡命)을 극하면, 관극살요(官剋煞曜)로 크게 흉하다. 생아자(生我者) 즉 망명이 산명을 생하면, 상식설기(傷食洩氣)하여 흉하다.
[보기] 4층의 자(子)에도 9층에 병자(丙子)와 경자(庚子)만 기재되어 있고, 계(癸)에도 9층에 병자(丙子)와 경자(庚子)만 기재되어 있다.
이때 주의할 점은 오행의 크기다. 분금과 망명의 오행은 서로 적당한 크기로 상생과 상극이 이루어져야 한다. 상생이 좋다고는 하지만 큰 오행이 작은 오행을 상생해주면 오히려 흉하다. 상극이 나쁘다고 하지만 작은 오행이 큰 오행을 상극하면 큰 해는 없다. 예를 들어 수생목(水生木)이라 하나, 대해수(大海水)와 같이 큰물이 석류목(石榴木)과 같이 작은 나무를 생 해주면 오히려 죽이는 꼴이 된다. 금극목(金剋木)이라 하나, 금박금(金箔金)과 같이 작은 쇠가 대림목(大林木)같이 큰 나무를 자를 수는 없다. 오히려 작은칼이 부러지고 만다.
[납음오행을 쉽게 찾는 법] 천간 (天干) 갑을(甲乙) - (1) 병정(丙丁) - (2) 무기(戊己) - (3) 경신(庚辛) - (4) 임계(壬癸) - (5)
지지 (地支) 자축오미(子丑午未) - (1) 인묘신유(寅卯申酉) - (2) 진사술해(辰巳戌亥) - (3)
천간(天干)과 지지(地支)를 합한 수가 1 이면 목(木), 2 이면 금(金), 3 이면 수(水), 4 이면 화(火), 5 이면 토(土)이다. 합한 수가 5를 넘으면 5를 뺀 나머지 숫자다.
【예】 갑자(甲子)의 납음오행은 천간 甲은 1이고 지지 子 또한 1이므로 합하면 2다. 2는 금에 해당된다. 납음오행 표에서 갑자(甲子)는 해중금(海中金)으로 똑같다.
분금 사용에 대한 예를 들어보자. 【예】 임자병향(壬坐丙向)의 혈에 1929년 기사생(己巳生)인 사람이 사망하여 장사를 지내려 한다. 이때 분금은 어떻게 놓아야 할까? 【답】 4층 지반정침 임좌(壬坐)에 있는 9층의 분금은 정해(丁亥)와 신해(辛亥)다. 기사년(己巳年) 생인 망명의 납음오행은 대림목(大林木)이다. 분금 정해(丁亥)는 옥상토(屋上土), 신해(辛亥)는 채천금(釵釧金)이다. 망명의 납음오행을 생(生)하여 주거나 서로 같은 오행인 비견(比肩)이거나 망명이 산명(山命, 분금의 납음오행)을 극(剋)하는 것을 찾아야 한다. 정해(丁亥)분금은 목극토(木剋土)하여 망명이 산명(山命)을 극하여 지배하므로 길하다. 신해(辛亥)분금은 금극목(金剋木)하여 산운이 망명을 극하므로 흉하다. 따라서 임좌병향으로 천광한 내광(內壙) 안에서 시신을 머리 쪽은 9층 정해(丁亥)로 하고, 아래쪽은 정해와 대칭인 정사(丁巳)로 일직선 되게 맞추면 된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