慰禮 歷史 探訪-1

[스크랩] 위례성 (慰禮城)

吾心竹--오심죽-- 2010. 10. 18. 21:41

백제 초기의 도성. 시조 온조왕(溫祚王)이 위례성을 근거로 건국하였다고 전하나 확실한 위치는 알 수 없다. 그 위치에 대하여 전라북도 익산시(益山市), 충청남도 직산(稷山), 경기도 광주(廣州) 등 여러 설이 있는데, 현재는 경기도 광주라는 설이 가장 유력하다. 위례라는 명칭은 처음 온조가 남하하여 자리잡은 한강 북쪽, 지금의 서울 부근에 있던 위례부락에서 유래한 듯하지만 이것도 확실하지 않다. 한강을 뜻하는 아리수(阿利水)·욱리하(郁利河)에서 기원하였다는 설과 백제의 왕을 가리키는 어라하(於羅瑕)에서 유래하였다는 설, 또 울타리를 뜻하는 <우리>에서 연유하였다는 주장도 있다. 위례성은 한강을 기준으로 하북위례성과 하남위례성으로 나뉘는데, 《삼국사기》에 의하면 온조는 하북위례성에서 건국한 후 13년 만에 하남위례성으로 천도하였다고 한다.- 백과사전

 

위례성은 백제 한성시기 (B.C 18 ~ A.D 475)의 도읍이다
고구려에서 남하한 온조왕이 터전을 잡은곳으로 마추홀이 자리잡은 비류의 나라를 통합하고난후 백제의 수도로 자리하엿다
지리적으로 외적의 침입을 막는데 유리하고 토지가 비옥하여 벡제가 성장하는데 큰 기반이 되었다.

 

위레성은 백제 건국초기의 생활상을 보여주는 곳으로 안태전, 좌장청, 좌평청, 망루, 고상가옥, 움집 등 총 30동이 재현됐다. 
좌장청에서는 군사업무를, 좌평청에서는 행정업무를 담당했다.
방어시설로 판축식 토성을 쌓고 정면에 해자를 두어 개국 당시 궁성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백제문화단지내에 조성된 위례성 

자그마한 크기에 놀랐고, 성이 마치 도적소굴같아 다시한번 놀랐다

 

남문이다

 

토성앞에 나무철책이 서있고...

 

 

해자도 보인다

 

위례성의 크기는 아무도 알수없으니, 논외로하고

조성된 위례성의 크기는 청주 정북동토성이나 평택농성만 했다

하지만 풍납토성의 예로보아 아마 그정도는 되지 않았을까..하는 내 추측이다

 

안으로 들어가보자

 

백제 초기의 집들이 보인다

 

토성위로...

 

남문 문루다

 

 

남벽에서 이어지는 서벽

 

 

성안 내부

 

뒤돌아본 남문

 

서문과 망루

 

서문을 지나고...

 

서벽이다

 

위례궁도 보인다

 

서벽에서 북벽으로...

 

북벽이다

 

 

망루를 지나면 동벽

 

동벽과 동문

 

 

동문을 지나고..

 

다시 남문으로 한바퀴 돌았다. 딱 평택농성만한 크기다

 

사비궁의 제향루다

 

고상가옥
고상가옥(高床家屋)은 땅을 파서 기둥을 세우거나 박아 넣어서 만든 건물로, 바닥면이 지면 또는 지표면보다 높은 곳에 있는 것을 말한다. 우리나라에서 확인된 고상식 건물은 청동기시대 전기의 하남 미사리유적이 가장 빠르지만 창고 용도로 이해되며, 백제시대에 이르러 아산 갈매리와 오창 유적 등지에서 주거의 공간으로 추정할 수 있는 가옥이 다수 확인된다.

 

 

 

서문으로 나가보았다

 

 

개국공신, 마려의 집
온조왕을 따라 남하하여 백제를 건국한 신하인 마려의 집을 재현한 곳이다.『삼국사기』에 의하면 마려 외에도 오간 등 열 명의 신하가 동행하였다 한다. 본 가옥은 당시 귀족이 사용하던 주옥과 노비들이 거처하던 부옥으로 구성하였으며, 백제 지배층의 권위와 취향을 나타낼 수 있는 집기와 장신구들로 재현하였다.

 

 

당시의 단촐한가구도 재현해놓았다

 

 

위례궁
온조왕이 하남위례성에 도읍하였을 때 정무를 보던 왕궁을 재현한 곳이다. 『삼국사기』에는, 새로 궁실을 지었는데 ‘검소하지만 누추하지 않았고, 화려하지만 사치스럽지 않았다’는 기록이 보인다. 중앙의 정청인 안태전(安泰殿)과 동쪽의 좌평청(佐平廳), 서쪽의 좌장청(佐將廳)으로 이루어져 있다.

좌장청에서는 군사업무를, 좌평청에서는 행정업무를 담당했다.

 

 

문에서 안태전이 보인다

 

 

조선의 궁궐과 양식이 비슷하다.

안태전 주위로 방이 많은데 모두 비어있어 쓸쓸했다

 

안태전 뒤로가본다

 

침소다

 

 

여기는 행정업무를 보던 좌장청

 

 

후기 궁궐에서 볼수있는 행각의 모습이다

 

좌측이 좌장청의 문이다

 

군사업무를 보는 좌평청의 문

 

좌평청

 

 

동문으로 나간다

 

동문을 뒤로하고 위례성을 나왔다

 

위례성은 아무도 그 실체를 알수가 없으니, 그나마 이정도 재현해 놓은것으로 위안을 삼아야 하나...

출처 : 오솔길
글쓴이 : 메탈 원글보기
메모 : 좋은 사진과 글...담아갑니다...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