慰禮城 地名由來

고구려어로 착각한 전기 백제어

吾心竹--오심죽-- 2010. 1. 30. 17:00

고구려어로 착각한 전기 백제어에 대하여 역사와 인문사회학

2007/09/05 17:18

복사 http://jisiks.com/10021602321

흥미로운 도수희 교수님의 논문입니다. 받아보기가 좀 어려워 요약만 올려봅니다.

---------------------------------------------------------------------------------------------
후기 백제어(475~660)의 ‘지명 자료’는 ?삼국사기? ‘지리 3, 4’에 남아 있다. 그러나 전기 백제어의 ‘지명 자료’는 ?삼국사기? ‘지리 2, 4’에 ‘고구려 지명’으로 표제하였기 때문에 그 표제(겉)만 본다면 누구나 고구려어로 속도록 되어 있다. 이처럼 베일에 가린 ‘전기 백제어’(18 B.C.~475)를 어디서 찾아낼 것인가. 그것은 고구려한테 빼앗긴 백제 전기 시대(18 B.C.~475)의 영역에서 찾을 수 있다. 백제의 전기 영역은 고구려가 남침하여 강점한 고대 한반도의 중부 지역(‘지리 2, 4’의 한주ㆍ삭주)이었다. 이 빼앗긴 지역의 토착민(백제인)은 그들의 고유 지명을 사용하였다. 따라서 ?삼국사기? ‘지리 4’의 고유 지명(토착 지명)은 ‘전기 백제어'임이 분명하다. 그런데도 이 고유 지명을 고구려어로 착각한 일본 학자들의 잘못된 초기(1900년 전후)의 학설이 너무나 오랫동안 추종되어 왔다.
그러나 필자는 그것이 ‘고구려어로 착각한 전기 백제어’라는 이의를 최초(도 수희 1977:46~47)로 제기한 이후 줄기차게 역설하여 왔다. 다행이 이제는 필자의 주장을 긍정하는 석학들이 많아졌다. 따라서 만일 필자의 주장을 부정할 만한 결정적인 이의가 제기될 수 없다면 이제까지 고구려어로 착각한 언어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한 “고구려어의 XXX에 관한 연구”란 논제는 “백제어(전기)의 XXX에 관한 연구”로 바뀌어야 마땅하다. 그 연구에 이용한 지명 자료가 실질적으로 ‘전기 백제어’이기 때문이다.
---------------------------------------------------------------------------------------------


누가 본문 전체를 올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아래 내용은 본문 내용중 일부인것 같습니다.

  전기 백제어> 고구려어                 전기 백제어>고구려어
조파의(租波衣)>휴암(鵂巖)                한홀(漢忽)>한성(漢城)      
수지의(首知衣)>우령(牛嶺)                도랍(刀臘)>치악(雉嶽)
굴어압(屈於押)>강서(江西)                약지두치(若只頭恥)>삭두-의두(朔頭-衣頭)
야야,야아(耶耶,夜牙)>장천성(長淺城)        야시매(也尸買)>생천(牲川)    
요은홀차(要隱忽次)>양구(楊口)                밀파혜(密波兮)>삼현(三峴)      
조사(鳥斯)>저족(猪足)                        마홀(馬忽)>비성(臂城)
수지(首知)>신지(新知)                        동음내(冬音奈)>휴음(休陰)  
달을성(達乙省)>고봉(高烽)                복사매(伏斯買)>심천(深川)    
개차정(皆次丁)>왕기(王岐)                별사파의(別史波衣)>평회압(平淮押)
미을성(未乙省)>국원성(國原城)                동사(冬斯)>율목(栗木)      
고사야홀차(古斯也忽次)>장항(獐項)        남매(南買)>남천(南川)  
멸오(滅烏)>구성(駒城)                        성지매(省知買)>술천(述川)
어사매(於斯買)>횡천(橫川)                거사참(去斯斬)>양근(楊根)
매홀(買忽)>수성(水城)                        송촌활달(松村活達)>부산(釜山)
고사야홀차(古斯也忽次)>장항구(獐項口)        구사파의(仇斯波衣)>동자홀(童子忽)
개백(皆伯)>왕봉, 왕영(王逢, 王迎)                난은별(灘隱別)>칠중(七重)
어을매곶(於乙買串)>천정구(泉井口)        모을동비(毛乙冬非)>철원(鐵圓)
빗물(非勿)>승량(僧梁)                        공목달(功木達)>웅섬산(熊閃山)
어사내(於斯內)>부양(斧壤)                아진압(阿珍押)>궁압(窮嶽)
니사파홀(泥沙波忽)>마전천(麻田淺)        조아홀(鳥阿忽)>진임성(津臨城)
갑비고차(甲比古次)>혈구(穴口)                달을참(達乙斬)>고목근(高木根)
매단홀(買旦忽)>수곡성(水谷城)                덕돈홀(德頓忽)>십곡(十谷)
우차탄홀(于次呑忽)>오곡(五谷)                내미홀(內米忽)>지성, 장지(池城, 長池)
고소어(古所於)>장새(獐塞)                부사파의(夫斯波衣)>구사현(仇史峴)
나토(奈吐)>대제(大堤)                        금물내(今勿內)>만노(萬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