考古學

중국 전한(bc206~8)~후한시대(75~220)...한나라 황제 가계도

吾心竹--오심죽-- 2009. 4. 1. 15:24

전한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서한 문서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서한의 다른 의미에 대해서는 서한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중국의 역사  v  d  e 


신화와 고대
선사 시대
신화·삼황오제
기원전2000? – 기원전1600?
기원전1600? – 기원전1046
기원전1122 – 기원전256
  서주
  동주
    춘추 시대
    전국 시대
제국의 시대
기원전221 – 기원전206

기원전206 – 서기220
  전한
  8 – 23
  후한

삼국 시대 220–280
  , ,
265 – 420
  서진
  동진 오호 십육국 시대
304–439
남북조 시대 420 – 589
581 – 618

618 – 907
무주 690 – 705

오대십국 시대
907 – 960

916 – 1125

960 – 1279
  북송 서하
1038 – 1227
  남송
1115 – 1234
1271 – 1368

1368 – 1644


1644 – 1912

현대의 중국
중화민국 1911 – 현재
중화인민공화국
1949 – 현재

중화민국 (타이완)


전한(前漢, 기원전 206년 ~ 8년)은 고조 유방(劉邦)이 항우(項羽)와 대륙쟁탈 뒤에 세운 황조로서 (秦)에 이어 중국을 두번째로 통일한 황조이다.

목차

[숨기기]

[편집] 전한의 건국

고조 유방은 원래 정장(亭長)의 신분으로 의병을 일으켜 패공(沛公)의 자리에 올라 초(楚)의 의제(義帝)를 섬기다가 그 세력이 커져 또다른 거대세력인 항우와 경쟁하였다. 처음에는 패배를 거듭하였으나, 장량(張良), 한신(韓信), 소하(蕭何) 등 수하의 인재들이 많아 그들의 도움으로 기원전 202년 해하 전투에서 항우를 자살시키고 한(漢)을 건국했다. 수도를 장안으로 삼았다.

[편집] 전한의 전성기

문제(文帝), 경제(景帝)부터 시작된 전한의 선정은 무제(武帝)에 이르러 절정에 이르렀고 무제는 장건(張騫), 위청(衞青), 곽거병(霍去病) 등을 등용하여 변방의 큰 오랑캐인 흉노(匈奴)를 물리쳤다. 또한, 동월(東越), 남월(南越 - 베트남)까지 정복하여 전한의 최전성기를 이룩하였으나 재정이 크게 악화되어 무제 이후 전한은 점점 쇠퇴하기 시작했다.

[편집] 전한의 멸망

무제 이후 여러 황제들을 거치면서 황후의 아비들인 외척들이 힘을 얻게 되었고 그들은 결국 권력을 위해 쟁탈전까지 벌였다. 그 중 왕망(王莽)은 평제(平帝)를 독살시키고 섭정을 하는 등 그 위세가 극에 달했고 결국 전한은 왕망에 의해 멸망당하였다. 왕망은 국호를 (新)이라 하고 황제의 자리에 올랐으나 건국된 지 15년 만에 유방의 후손 유수(劉秀)에게 멸망당하고 말았다.

[편집] 역대 황제

전한 황제와 연호
대수 묘호 시호 성명 연호 재위기간
- - 태상황제
(太上皇帝)
(한 고조 추숭)
유단(劉煓) - -
제1대 한 태조
(漢太祖)
(한 고조<漢高祖>)
고황제
(高皇帝)
유방(劉邦) - 기원전 202년 ~ 기원전 195년
제2대 - 효혜황제
(孝惠皇帝)
유영(劉盈) - 기원전 195년 ~ 기원전 188년
제3대 - 소황제
(少皇帝)
유공(劉恭) - 기원전 188년 ~ 기원전 184년
제4대 - 소황제
(少皇帝)
유홍(劉弘) - 기원전 184년 ~ 기원전 180년
제5대 한 태종
(漢太宗)
효문황제
(孝文皇帝)
유항(劉恆) 전원(前元) 기원전 179년 ~ 기원전 164년
후원(後元) 기원전 163년 ~ 기원전 157년
기원전 180년 ~ 기원전 157년
제6대 - 효경황제
(孝景皇帝)
유계(劉啓) 전원(前元) 기원전 156년 ~ 기원전 150년
중원(中元) 기원전 149년 ~ 기원전 144년
후원(後元) 기원전 143년 ~ 기원전 141년
기원전 157년 ~ 기원전 141년
제7대 한 세종
(漢世宗)
효무황제
(孝武皇帝)
유철(劉徹) 건원(建元) 기원전 140년 ~ 기원전 135년
원광(元光) 기원전 134년 ~ 기원전 129년
원삭(元朔) 기원전 128년 ~ 기원전 123년
원수(元狩) 기원전 122년 ~ 기원전 117년
원정(元鼎) 기원전 116년 ~ 기원전 111년
원봉(元封) 기원전 110년 ~ 기원전 105년
태초(太初) 기원전 104년 ~ 기원전 101년
천한(天漢) 기원전 100년 ~ 기원전 97년
태시(太始) 기원전 96년 ~ 기원전 93년
정화(征和) 기원전 92년 ~ 기원전 89년
후원(後元) 기원전 88년 ~ 기원전 87년
기원전 141년 ~ 기원전 87년
제8대 - 효소황제
(孝昭皇帝)
유불릉(劉弗陵) 시원(始元) 기원전 86년 ~ 기원전 80년
원봉(元鳳) 기원전 80년 ~ 기원전 75년
원평(元平) 기원전 74년
기원전 87년 ~ 기원전 74년
제9대 - 폐황제
(廢皇帝)
(창읍왕<昌邑王>,
해혼후<海昏侯>)
유하(劉賀) - 기원전 74년
- - 효도황제
(孝悼皇帝)
(한 선제 추숭)
유진(劉進) - -
제10대 한 중종
(漢中宗)
효선황제
(孝宣皇帝)
유순(劉詢) 본시(本始) 기원전 73년 ~ 기원전 70년
지절(地節) 기원전 69년 ~ 기원전 66년
원강(元康) 기원전 65년 ~ 기원전 61년
신작(神爵) 기원전 60년 ~ 기원전 58년
오봉(五鳳) 기원전 57년 ~ 기원전 54년
감로(甘露) 기원전 53년 ~ 기원전 50년
황룡(黃龍) 기원전 49년
기원전 74년 ~ 기원전 49년
제11대 한 고종
(漢高宗)
효원황제
(孝元皇帝)
유석(劉奭) 초원(初元) 기원전 48년 ~ 기원전 44년
영광(永光) 기원전 43년 ~ 기원전 38년
건소(建昭) 기원전 37년 ~ 기원전 34년
경녕(竟寧) 기원전 33년
기원전 49년 ~ 기원전 33년
제12대 한 통종
(漢統宗)
효성황제
(孝成皇帝)
유오(劉驁) 건시(建始) 기원전 32년 ~ 기원전 29년
하평(河平) 기원전 28년 ~ 기원전 25년
양삭(陽朔) 기원전 24년 ~ 기원전 21년
홍가(鴻嘉) 기원전 20년 ~ 기원전 17년
영시(永始) 기원전 16년 ~ 기원전 13년
원연(元延) 기원전 12년 ~ 기원전 9년
수화(綬和) 기원전 8년 ~ 기원전 7년
기원전 33년 ~ 기원전 7년
- - 효공황제
(孝恭皇帝)
(한 애제 추숭)
유강(劉康) - -
제13대 - 효애황제
(孝哀皇帝)
유흔(劉欣) 건평(建平) 기원전 6년 ~ 기원전 3년
원수(元壽) 기원전 2년 ~ 기원전 1년
기원전 7년 ~ 기원전 1년
제14대 한 원종
(漢元宗)
효평황제
(孝平皇帝)
유간(劉衎) 원시(元始) 1년 ~ 5년 기원전 1년 ~ 5년
제15대 - 유자
(孺子)
(정안공<定安公>)
유영(劉嬰) 거섭(居攝) 6년 ~ 8년
초시(初始) 8년
6년 ~ 8년

[편집] 참고 사항

 

후한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오대십국 시대 때 왕조에 대해서는 후한 (오대)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중국의 역사  v  d  e 


신화와 고대
선사 시대
신화·삼황오제
기원전2000? – 기원전1600?
기원전1600? – 기원전1046
기원전1122 – 기원전256
  서주
  동주
    춘추 시대
    전국 시대
제국의 시대
기원전221 – 기원전206

기원전206 – 서기220
  전한
  8 – 23
  후한

삼국 시대 220–280
  , ,
265 – 420
  서진
  동진 오호 십육국 시대
304–439
남북조 시대 420 – 589
581 – 618

618 – 907
무주 690 – 705

오대십국 시대
907 – 960

916 – 1125

960 – 1279
  북송 서하
1038 – 1227
  남송
1115 – 1234
1271 – 1368

1368 – 1644


1644 – 1912

현대의 중국
중화민국 1911 – 현재
중화인민공화국
1949 – 현재

중화민국 (타이완)

후한(後漢, 25년~220년)은 전한신나라왕망에 의하여 멸망한 이후, 한 왕조의 일족인 광무제 유수가 한 왕조를 부흥시킨 나라이다. 수도를 낙양에 두었는데 그 위치가 전한의 수도 장안보다 동쪽에 있기에 동한(東漢)이라고도 한다.

[편집] 역사

신나라 말기, 한조 부흥 운동 과정에서 제위에 오른 경시제의 휘하에 있었던 유수는 곤양 전투에서 대활약을 펼치는 등 두각을 나타냈다. 이후 유수는 왕망과 적미군을 연달아 격파하면서 제장들의 추대를 받아 무능한 경시제를 폐위하고, 후한 왕조를 창업하였다. 광무제는 선정을 베풀어 후한 왕조의 기틀을 닦았다.

후한 시대에는 채륜이 세계 최초의 종이채후지를 만들고, 장형혼천의지동의를 만드는 등 문화가 번창하였다. 그리고 반초서역의 여러 나라와의 교역길을 열어 실크로드를 다시 개척하였다.

그러나 외척환관들의 세력 다툼으로 정치는 점점 타락해 갔으며 사회 전반의 침체가 뒤따랐다. 당고의 화가 두 차례나 일어나면서 유능한 선비들이 정가에서 축출·제거되어 조정의 자정 능력이 현저히 저하되었고, 매관매직과 수탈이 빈번해지면서 백성들의 삶이 피폐해져 갔다.

정국이 점차 어지러워지는 틈을 타 거록 사람 장각황건적의 난을 일으켰다. 결국 이 난은 정부군과 조정을 지지하는 군벌에 의하여 제압되기는 하였지만, 그 과정에서 각지의 군벌들이 힘은 강화된 반면, 후한 조정의 권위는 더욱 약해졌다. 결국 군벌들의 힘이 후한 왕조를 능가하게 되면서 천하를 둘러싼 영웅들의 대결이 펼쳐지고 삼국 시대가 사실상 개막되었다.

서량의 군벌이었던 동탁낙양에 입성하여 소제를 폐위시키고, 헌제를 추대함으로써 본격적인 군웅 할거 시대가 개막되었다. 탁월한 전략가이자 정치가인 조조헌제를 보위하는 데 성공하고, 숙적 원소와의 대결에서 승리하며 화북과 화중의 일부를 차지한다. 이후 조조의 아들인 문제 조비에게 헌제가 제위를 넘겨주며 후한 왕조는 멸망하였다.

[편집] 사상

왕망이 전한의 정권을 약탈하는 데 이용한 부명(符命)의 예언설이나, 광무제가 한실(漢室)을 부흥하기 위하여 광범위하게 활용한 도참(圖讖 = 예언이나 주문에 사용되던 신비적인 언어)은 각기 준거할 곳을 유가 경전에서 구하여 권위를 세우려고 하였다. 이미 전한말에는 음양5행설(陰陽五行說)을 원리로 삼는 갖가지 천인감응 사상에 의하여 유가의 경서를 해석하고 있었지만, 그러한 시류의 유자(儒者=금문학자)는 한층 권력에 영합키 위해 공자의 저작으로 가탁한 위서(緯書=비서)를 만들어 경학을 신비주의로 감쌌다.

기원후 56년 광무제가 도참을 천하에 공포하고, 장제(章帝)가 79년에 학자를 백호관(白虎觀)으로 모아놓고 5경(五經)의 국정 해석(國定解釋)을 토의시켜 전한 이래의 금문(今文)학의 우위를 보증하였다. 그러나 왕망의 신(新) 정권에 활용되었던 고문(古文) 경학의 세력도 무시할 수 없을 정도로 권력에 접근하고 있었다. 금·고문의 차이는 금문이 《춘추공양전(春秋公羊傳)》을 근거로 한왕조의 정책 운용에 적응한 이론을 제공하여 학관(學官=오경박사)을 독점해 오고 있었는데 반하여 고문은 복고주의를 주창하면서 고대 성현의 이상정치에 접근하는 방법으로서 5경을 종합하는 텍스트의 언어해석을 기초로 한 해석학을 확립시켰다. 유흠(劉歆), 가규(賈逵), 반고(班固)와 같은 학자들은 고문의 경전이 도참의 불비를 보강할 수 있는 것이라 하여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 《모시(毛詩)》 등을 국가에 공인시키려고 한 운동을 격렬하게 일으켰으나 대개 이 학문의 본령은 민간 사학에서 발휘되었다.

후한 때에는 일반적으로 ‘녹리(祿吏)의 도(道=사관 등용)’가 개방되었으므로 유생들이 다투어 경학을 배워 금고문에 능통하게 되었다. 따라서 신분질서를 중하게 보는 계급사상과 그 실천인 예를 존귀하게 여기는 명절(名節)의 기풍이 넘치게 되었다. 대략 명(明)·장(章)·화(和)의 3제(三帝, 58~105) 시절에 예교 국가(禮敎國家)의 체제가 정비되면서 당시의 지식인의 언행은 점차로 관료 후보의 예비공작적인 것으로 변해 갔다. 금고문 두 학파의 논쟁이 체제교학(體制敎學)의 강화에 일정한 역할을 수행하는 중에 학술의 기운이 사법(師法)을 준수한 전한의 일경 전문(一經專門)으로부터 5경 겸학(兼學)으로 진보하고, 다시 금문·고문 양 경학을 겸습하여 절충하고 총합하려고 하는 학자가 나타났다. 가규와 허신 등이 그들이다. 후한말이 되어 하휴(何休, 129~182)는 훈고의 형식에 의하여 춘추학을 완성시켰고, 정현(鄭玄)은 참위설도 살려가며 금고문의 예학을 통합함으로써 위진(魏晋) 이후의 경학의 일대 종주가 되었다.

국교인 유학이 신비화의 깊이를 더하고 있는 중에 지배권력의 의사를 거슬려서 천인감응의 참위설을 부인하는가 하면 음양오행설을 신봉하는 모든 학설에 대하여 비판의 화살을 돌려댄 지식인들이 출현하였다. 환담(桓譚)에서 시작하는 무신론자의 계열이 그것이다. 그들은 경험주의와 예리한 이성으로 그런 것들에 공격을 가하였다. 왕충을 필두로 왕부(王符), 중장통(仲長統)이 계속 나왔다. 왕부는 그의 〈잠부론(潛夫論)〉에서 빈부를 사회적 근원부터 추구하여 유법(儒法) 양면에서 사회비판을 행하였고, 중장통은 〈창언(昌言)〉에서 신권적인 왕조 순환사관(王朝循環史觀)을 비판하며 지배자의 철학에 각각 준열한 타격을 주었다.[1]

[편집] 역대 황제

후한 황제와 연호
대수 묘호 시호 성명 연호 재위기간
제1대 한 세조
(漢世祖)
광무황제
(光武皇帝)
유수(劉秀) 건무(建武) 25년 ~ 56년
건무중원(建武中元) 56년 ~ 57년
25년 ~ 57년
제2대 한 현종
(漢顯宗)
효명황제
(孝明皇帝)
유장(劉莊) 영평(永平) 58년 ~ 75년 57년 ~ 75년
제3대 한 숙종
(漢肅宗)
효장황제
(孝章皇帝)
유달(劉炟) 건초(建初) 76년 ~ 84년
원화(元和) 84년 ~ 87년
장화(章和) 87년 ~ 88년
75년 ~ 88년
제4대 한 목종
(漢穆宗)
효화황제
(孝和皇帝)
유조(劉肇) 영원(永元) 89년 ~ 105년
원흥(元興) 105년
88년 ~ 105년
제5대 - 효상황제
(孝殤皇帝)
유융(劉隆) 연평(延平) 106년 105년 ~ 106년
- - 효덕황제
(孝德皇帝)
(후한 안제 추숭)
유경(劉慶) - -
제6대 한 공종
(漢恭宗)
효안황제
(孝安皇帝)
유호(劉祜) 영초(永初) 107년 ~ 113년
원초(元初) 114년 ~ 119년
영녕(永寧) 120년 ~ 121년
건광(建光) 121년 ~ 122년
연광(延光) 122년 ~ 125년
106년 ~ 125년
제7대 - 소황제
(少皇帝)
(북향후<北鄕侯>)
유의(劉懿) - 125년
제8대 한 경종
(漢敬宗)
효순황제
(孝順皇帝)
유보(劉保) 영건(永建) 126년 ~ 132년
양가(陽嘉) 132년 ~ 135년
영화(永和) 136년 ~ 141년
한안(漢安) 141년 ~ 144년
건강(建康) 144년
125년 ~ 144년
제9대 - 효충황제
(孝沖皇帝)
유병(劉炳) 영희(永憙) 145년 144년 ~ 145년
제10대 - 효질황제
(孝質皇帝)
유찬(劉纘) 본초(本初) 146년 145년 ~ 146년
- - 효목황제
(孝穆皇帝)
(후한 환제 추숭)
유개(劉開) - -
- - 효숭황제
(孝崇皇帝)
(후한 환제 추숭)
유익(劉翼) - -
제11대 한 위종
(漢威宗)
효환황제
(孝桓皇帝)
유지(劉志) 건화(建和) 147년 ~ 149년
화평(和平) 150년
원가(元嘉) 151년 ~ 152년
영흥(永興) 153년 ~ 154년
영수(永壽) 155년 ~ 158년
연희(延熹) 159년 ~ 167년
영강(永康) 167년
146년 ~ 167년
- - 효원황제
(孝元皇帝)
(후한 영제 추숭)
유숙(劉淑) - -
- - 효인황제
(孝仁皇帝)
(후한 영제 추숭)
유장(劉萇) - -
제12대 - 효영황제
(孝靈皇帝)
유굉(劉宏) 건녕(建寧) 168년 ~ 172년
희평(熹平) 172년 ~ 178년
광화(光和) 178년 ~ 184년
중평(中平) 184년 ~ 189년
168년 ~ 189년
제13대 - 소황제
(少皇帝)
(홍농회왕<洪農懷王>)
유변(劉辯) 광희(光熹) 189년
소녕(昭寧) 189년
189년
제14대 - 효헌황제
(孝獻皇帝)
(효민황제<孝愍皇帝>,
산양공<山陽公>)
유협(劉協) 영한(永漢) 189년
중평(中平) 189년
초평(初平) 190년 ~ 193년
흥평(興平) 194년 ~ 195년
건안(建安) 196년 ~ 220년
연강(延康) 220년
189년 ~ 220년

[편집] 참고 사항

  • 한나라 황제 가계도 

 

한나라 황제 가계도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 문서는 전한, 후한촉한 황제의 가계도이다.

(위 정통론의 경우 촉한은 제외되는 것을 주의.)

제1대 고조 유방┬제2대 혜제┬제3대 소제 공
               │          └제4대 소제 홍
               └제5대 문제─제6대 경제┬제7대 무제┬제8대 소제 불릉
                                       │          └―――제9대 선제─제10대 원제┬제11대 성제
                                       │                                         ├공제(정도공왕, 추존)─제12대 애제
                                       │                                         └□─제13대 평제장사정왕 발―――-―――――――――――――――――┐
                                       └중산정왕 승-―――――――――――――――――――┐│
                 ┌――――――――――――――――――――――――――――――――――――┘│
                 │┌――――――――――――――――――――――――――――――――――――┘
                 ││
                 │├유인
                 │└①광무제─②명제─③장제┬④화제─⑤상제
                 │                          ├덕제(추존)─⑥안제─⑧순제─⑨충제
                 │                          ├□─□─⑦소제 의
                 │                          ├―――――――――――――⑩질제
                 │                          ├―――――――――――――⑪환제 
                 │                          └―――――――――――――⑫영제 굉┬⑬소제 변      
                 │                                                               └⑭헌제 협
                 └――――――――――――――――――――――――――――――――――――――⑴소열제 비─⑵후주
  • ①은 후한, ⑴은 촉한 황제 계승 순서임.
  •  
  •